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고령자 자립정도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 분석연구

  • Received : 2012.03.22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required the mandatory ratio of public housing including the housing unit for elderly in February 2012 and the number of them is expected to increase accordingly. To prepare for an aged society, these enabling ubiquitous technology will be able to support efficient health care services, which was mentioned in various studi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esign elements for an apartment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an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work out tactics by the evaluation of four actual cases. In housing unit in the elderly housing project, design elements supporting amenity improvement was rated to the highest importance, however, in reality, was reflected at lower rate while the risk management plan for public space was applied at the highest rate. Design elements required by new technology such as health monitoring and community management with outside world are still not reflected,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health care services in various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housing planning.

정부는 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주택의 의무 설치비율에 대한 기준을 2012년 2월에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자의 자립정도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령자 주택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현재 기축된 4곳의 사례 적용평가를 통해 실태 파악과 추후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자 주택계획에서 주호 내 어메니티를 지원하는 부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주택에서 반영 비율은 낮았고 공용공간의 위험 관리계획이 가장 높은 비율로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건강측정이나 외부와의 커뮤니티 돕는 것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에이징인 플레이스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서비스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1999), 노인주거 개발과 장애인 편의시설, 화영사.
  2. 강병근(1996), 노인전용주거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내부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5), 노인가구 주택 개조 매뉴얼.
  4. 고대영(2010), "홈네트워크기반 원격진료서비스 및 원격건강관리서비스 소비자 이용의향 결정요인 분석", 경제와 정책연구, 16(1).
  5. 고유상(2011), "헬스케어산업의 메가트렌드와 한국의 기회", 삼성경제 연구소.
  6. 권현주(2008), "Aging-in-Place를 지원하는 고령친화 디지털 홈 계획방향 요구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7).
  7. 김경선, 이지은, 윤영호(2011), "주거공간을 고려한 저소득층 고령자를 위한 u-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1(1).
  8. 김영희(2011), "공공부문 u-Health 사업 소개(원격 건강모니터링)", Korea Home Network Industries Association.
  9. 김태일, 이경락(2010), "고령자의 주택내 안전사고에 의한 의료비 추정 및 주택 개조 가능성 판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4).
  10. 나지영, 윤영호(2011), "스마트 홈에서의 홈헬스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요소기술 고찰",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1(1).
  11. 보건복지부(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1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06),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보고서.
  13. 전명희, 홍근표, 이경훈(2006), "시설 입소에 의한 생활환경의 변화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7).
  14. 정강현, 박재헌, 김자원(2010), "U-헬스 시장을 향한 ICT업계의 본격화된 경쟁", kt 경제경연 연구소.
  15. 오찬옥(2008), "노인을 위한 지능형 공간환경 연구 -주거공간의 디지털 시스템화를 위한 노인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5).
  16. 윤수영(2010), "텔레케어, 황혼기 삶의 질 높인다", LG Business Insight.
  17. 조재형(2012), "IT기술이 만성질환관리 시간.비용 줄일 핵심 열쇠", 코리아 헬스로그 신문기사(2012.04.18).
  18. 홍일선(2010), 스마트홈 서비스, kt 종합기술원.
  19. LH, SH, 현대정보기술,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11),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친화적 스마트홈 아이템 43, 고령친화적 헬스케어 스마트홈 연구단.
  20. LH․SH․현대정보기술(2011),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친화적 스마트홈 기술 개발 보고서(1차년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Cited by

  1.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in Using u-Health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s vol.25, pp.4, 20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4.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