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cing Distrubution based on Relative Speeds between Vehicles -Focused on Uninterrupted Traffic Flow-

차량간 상대속도에 따른 차두거리 분포에 관한 연구 -연속류 교통흐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2.02.28
  • Published : 2012.04.15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raffic data which are collected by VDS(Vehicle Detection System)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ng distribution and vehicles' relative speed. The collected data are relative speed between preceding and following vehicles, passing time and speed. They are also classified by lane and direction. For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same platoon, we figure out that mean of spacing is 40m, which can be a value to determine section A to D. To compare spacing according to time interval, this study splits time intervals to peak hour and non-peak hour by peak hour traffic volume. In conclusion, vehicles in peak hour are in car following because most drive similar speed as preceding vehicle and they have relatively small spacing. On the other hand, non-peak hour's spacing between vehicles is bigger than that of peak hour. This implies driver's behaviors that the less spacing, the more aggressive and want to reduce their travel time in peak hour, whereas most drive easily in non-peak hour and recreational trip purpose because of less time pressure.

선행 차량과의 상대속도에 따른 차두거리 분포에 관한 연구를 위해 연속류 도로 중 국도에 설치된 차량검지기(VDS, Vehicle Detection System)의 교통정보 수집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자료를 차선별, 방향별로 정렬하여 선행 차량과 후행 차량 사이의 속도차이인 상대속도와 검지기 통과시간 및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차두거리를 산출하였다. 모든 시간대를 대상으로 산출된 상대속도와 차두거리의 분석을 통해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일차량군 주행에서 차두거리의 중간값은 약 40m이며, 이는 자료구축 및 분석부분에서 언급한 A~D영역을 분류함에 있어 기준이 될 수 있었다. 시간대에 따른 차두거리 분포에 대한 분석을 위해 수집된 모든 자료의 교통량을 통해 첨두교통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첨두시간과 비첨두시간을 분류하여 차두거리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첨두시간은 비첨두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앞 차량과의 속도 차이가 적고 차두거리가 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선행차량과 같은 주행 패턴으로 추종한다고 할 수 있고 비첨두시간는 차두거리가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전자의 행태를 나타낼 수도 있는 것으로 차두거리가 좁을수록 공격적인 운전을 하며 본인의 총 통행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하지만 여가통행과 비첨두시간의 경우는 첨두시간에 비해 차두거리가 넓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시간적 압박이 적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운전행태를 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점산, 차두시간분포 분석을 통한 고속도로 설계용량 산정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6(2D), pp.251-258, 2006
  2. 김재석, GPS를 이용한 연속류 통행차량의 속도차와 차두간격 변화에 대한 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4(3), pp.51-60, 2001
  3. 남궁문, 도로상의 관측 차두간격 정보에 의한 차간거리 인지 추정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5(1), pp.1-8, 1995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 분석자료집, pp.15-168, 2008
  5. 배상훈, 첨단제어차량의 추종거동을 위한 최적 안전거리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7(1D), pp.1-7, 2007
  6. 이기영, 연속류 차량군 분류기준 정립 및 분석모형 개발, 한국 ITS학회 제7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2008
  7. 이수일 외, 안전측면의 도로선형 설계일관성 평가기준 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27(3), pp.269-274, 2007
  8. Jianlong Zhang, Adaptive Vehicle Following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Time Headways, 44th IEEE Conference, 2005
  9. Mark Brackstone, Determanants of Following Headway in Congested Traffic,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12(2), pp.131-142, 2008
  10. Othman Che Puan, Driver's car following headway on single carriageway roads, Journal Kejuruteraan Awam 16(2), pp.15-27, 2004
  11. Yusria Darma, Headway and Speed Characteristics on Urban Arterials,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