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최병훈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Received : 2012.02.12
  • Accepted : 2012.03.30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114 papers about mathematical creativity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7 to 2011 with regard to the years, objects, subjects, and methods of such research. The research of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2000. The frequent objects in the research were non-hum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gifted students, teachers (in-service and pre-service), and kindergarteners in order.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general study of mathematical creativity, or the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was active, whereas that of dealing with curricula and textbooks was rar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quantitative research one. The mixed research method was hardly us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hows how mathematical creativity was studied until now and gives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mathematical creativity.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미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14편을 선정하여 분류기준에 따라 연도별, 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대상별 동향분석에서는 연구주제가 사람이 아닌 경우, 중등학생, 초등학생, 영재학생, 교사, 유치원생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별 동향분석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방법, 수학적 창의성의 일반연구, 수학적 창의성 측정과 평가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이 양적 연구방법에 비해 많았으며 혼합 연구방법은 저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수학적 창의성이 어떻게 연구되었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총론, 재량활동-.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2]. 교육과학기술부.
  3. 권오남, 박지현, 박정숙, 박재희, 조경희, 오혜미, 이지은, 김아미, 권수경, 장혜경, 김미주, 박귀희, 나미영, 오국환, 김소연, 최성이 (2010). 수학과 창의․인성 수업모델 개발 연구. 정책연구 2010-08.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4. 김부윤, 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방안에 대한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327-341.
  5. 김부윤, 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 48(4), 443-454.
  6. 김부윤, 이지성 (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수학교육, 45(1), 25-34.
  7. 김석우, 최태진 (2007).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8. 김용대 (2003). 창의적 문제 해결과 문제변형을 위한 사고. 수학교육, 43(4), 399-404.
  9.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1(1), 271-282.
  10. 도종훈 (2007). 개방형 문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두 개의 개방형 문제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221-235.
  11.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 (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4(3), 389-413.
  12. 박병기, 강현숙 (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13. 박선영, 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85-308.
  14. 박숙희 (2007).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6(2), 149-164.
  15. 방정숙 (2009). 2009년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pp. 8-17).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6. 방승진, 이상원 (2007). 영재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매체의 활용 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1(1), 81-105.
  17. 방승진, 최종오 (2010). 수학 학문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멘토십 프로그램 모형 개발. 영재교육연구, 20(1), 205-229.
  18. 유윤재 (2002). 수학적 창의성의 검사. 수학교육 학술지, 7, 1-22.
  19. 유윤재 (2003). 창의적 수학문제 해결력 검사도구의 요소. 수학교육논문집, 17, 159-168.
  20. 유윤재 (2004).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수학교육논문집, 18(3), 81-94.
  21. 이강섭, 황동주, 서종진 (2003). 수학과 창의성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16, 201-215.
  22. 이강섭, 황동주 (2004). 수학 영재교육의 최근 동향에 대한 분석: APCG 8, ERIC, ICME 10, ICCME&EGS'03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18(3), 199-208.
  23. 이경화, 최병연 (2006).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른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및 영역 창의성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5(2), 119-134.
  24. 이동희, 김판수 (2010). 수학적 창의성과 태도 및 학업에 미치는 등산학습법의 적용과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23-41.
  25. 이종승 (2009).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6. 이채호, 최인수 (2009). 유아 창의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30(5), 1-8.
  27. 최미정 (2006).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사고개발, 2(2), 87-115.
  28. 최병연, 박숙희 (2008). 영재 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창의성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7(2), 5-19.
  29. 최정화, 주미 (2001).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2001년도 춘계 수학교육학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171-190.
  30.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67-83.
  31. 한인기 (2006). 러시아 교사들의 창의적 수학 경진대회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81-495.
  32.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33. 황정숙 (2007).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7(2), 19-35.
  34. 홍미영 외. (2010).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I 2010-2.
  35.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42-53).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6. Renzulli, J. S. (1986). The three 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son (Eds.), conception of giftedness (pp. 246-27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7(3), 75-80.
  38.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Cited by

  1.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Mixed Methods - Focusing on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vol.28, pp.3,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