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national Migration and Socio-Spatial Changes in S. Korea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02.03
  • Accepted : 2012.02.27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paper is to reconsider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major issues on transnational immigrant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nd their impacts on socio-spatial changes in S. Korea. Foreign immigrants who have moved on the contexts of unevenness of globalization and advancces in transport &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global level and of economic development and shortage of cheap and unskilled workers have been distributed unevenly, concentrating on the Capital region and local areas with industrial complexes. Foreign workers seems to have some negative influences on regional economies in the long-term, though positive in the short-term. Domestic people seem to have an ambivalent attitude which accepts necessity of multi-culture, while simultaneously continues to be self-confident on ethnic homogeneity.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multicultural policies for foreign immigrants by the mid-2000, but still continues some policies with assimilationism and differential exclusionism, marginalizing them socio-spatially, while lacking local government's policy and programmes. In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to transfer multicultural societal space of Korea, a geography of transnational migration which promotes especially discourse and policy with authentic multiculturalism, extending roles of local government, and ensuring glocal citizenships.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난 20년 동안 급증했던 초국적 이주자들의 국내 유입과 이에 따른 사회공간적 변화에 관한 주요 세부 주제들을 전반적으로 그러나 가능한 체계적으로 성찰해보기 위한 것이다. 지구화의 불균등성과 교통통신기술의 발달 그리고 국내 경제성장과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급증하게 된 외국인 이주자들은 수도권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불균등하게 분포해 있다. 이주노동자들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내국인들은 다문화의 필요성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단일민족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앙정부는 2000년 중반 이후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하여 본격적인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동화주의 또는 차별배제주의를 내재하면서 이들을 주변화시키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역할은 매우 미흡한 편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다문화사회공간으로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진정한 다문화주의 담론과 정책, 지방정부의 역할 증대, 지구-지방적 시민권의 보장 등을 촉구하는 초국적 이주의 지리학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