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rvey for Awareness of Radiation Dose of CT and General X-ray Examination

전산화단층촬영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방사선 선량에 대한 인식도 조사

  • Joo, Young-Cheol (Dept. of Dignostic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
  • Lim, Cheong-Hwan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Jung, Hong-Ryang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You, In-Gyu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Cho, Han-Byul (Dept. of Dignostic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
  • Yang, Oh-Nam (Dept. of Radiation Oncology, Gangneung Asan Hosptal) ;
  • Kim, Min-Cheol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nseo University) ;
  • Yoon, Joon (Dept. of Radiotechnology, Dongnam Health College)
  • 주영철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유인규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조한별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양오남 (강릉아산병원) ;
  • 김민철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윤준 (동남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12.01.31
  • Accepted : 2012.03.19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waken about risk occurred by CT examination. For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S medical center' located in Seoul, we investigated a recognition about dose and risk CT and normal X-ray examination according by working experience in hospital, experience about CT examination and radiation source. For subjects of investigation,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S medical center' located in Seoul helped us. We collected 131 questionnaires for a test of hypothesis. Cronbach @ coefficients of questionnaires were 0.825988 and 0.767161 and a rejection rate of p-value was below 0.05.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statistic package was used for hypothesis test. We used Mann-Whitney test, Kruskai-Wallis test, Two sample T-test, Two sample T-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One-way ANOVA methods. P-values of hypothesis about dose of CT and normal X-ray examination were 0.2291 ~ 0.9663. p-values of hypothesis about risk were 0.1924 ~ 1.0000. All of hypothesis is over rejection rate(<0.05). This study shows that radio-technologists of S medical center recognized that CT has higher dose and risk than general X-ray examination.

서울소재 'S'병원에서 근무중인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병원 근무경력 및 CT검사실 근무 경험 유 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사선 선원의 종류에 따른 CT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방사선 선량과 위험성에 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CT검사의 위험성에 대한 각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상의학과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중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문항의 Cronbach @계수는0.825988과0.767161로 나타났으며, p-value의 기각률은<0.05로 하였다. 연구가설검정을 위해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Mann-Whitney test와 Kruskai-Wallis test, Two sample T-test, Two sample T-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One-way ANOVA 통계분석방법 등을 이용하였다. CT검사와 일반촬영의 선량에 관한 가설의 각 p-value 값은 0.2291~0.9663의 범위로 나타났고, CT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위험성에 관한 가설의 각 p-value 값은 0.1924~1.000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든 연구가설의 p-value값이 기각률(<0.05)을 상위하여 나타났으며, 현재 'S'병원에 근무중인 방사선사들은 근무경력 및 CT검사실 근무경력 유무, 현재 사용하는 방사선 선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반촬영 보다 CT검사가 선량이 많으며,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청환 : 전산화단층촬영의 방사선피폭에 위한 위험도 추정,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 2004
  2. David J. Brenner, DScCarl D : Estimated Radiation Risk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Full-Body CT Screening, Radiology, 735, 2004
  3. 이홍, 김문찬, 신상보 : CT검사 시 목적장기 이외 부위의 차폐를 통한 피폭선량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2009 : 11(1), 132
  4. Nickoloff EL, Alderson PO :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 from CT: Reality, public perception and policy, AJR, 177, 285-291, 2001 https://doi.org/10.2214/ajr.177.2.1770285
  5. Aaron Sodickson, Pieter F. Baeyens, Katherine P. Andriole et al. : Recurrent CT, Cumulative Radiation Exposure, and Associated Radiation-induced Cancer Risks from CT of Adults, Radiology, 251(1), 176, 2009
  6. 고경남 : 전산화단층촬영 환자에서 조영제 사용에 다른 부작용의 역학적 특성, 충남대학교 보건.바이오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2007
  7. 보건복지가족부 : CT엑스선검사에서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8-9, 2009
  8. S J Golding, P C Shrimpton : Radiation Dose in CT : are we meeting the challenge?, BJR: 75, 1, 2002 https://doi.org/10.1259/bjr.75.889.750001
  9. 임청환 : 전산화단층촬영의 방사선피폭에 위한 위험도 추정,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2004
  10. 이재기 : ICRP 보조지침 2 방사선과 당신의 환자: 의료인을 위한 지침, 1, 2006
  11. 김문찬, 한동균 : CT검사의 방사선 피폭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8(1), 25-36, 2006
  12. 신상보, 신설경, 이대규, 김문찬: 소아 CT 검사시 적정 노출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9(1), 59, 2007
  13. 김문찬 : 64채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의 선량 : 검사 프로토콜 다변화에 따른 환자선량 감소, 방사선기술과학: 32(3), 300, 2009
  14. Wakeford R, Little MP : Risk coefficients for childhood cancer after intrauterine irradiation: a review, Int J Radiat Biol: 79, 293-309, 2003 https://doi.org/10.1080/0955300031000114729
  15. Correspondence : Computed Tomography and Radiation Exposu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8), 851-852, 2008
  16. 유흥준, 권성옥 : CT검사 시 촬영조건에 따른 Image quality와 Dose에 관한 연구,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10(1), p.8, 2008
  17. Christoph I. Lee, Andrew H. Haims, Edward P. Monico al. : Diagnostic CT Scans: Assessment of Patient, Physician, and Radiologist Awareness of Radiation Dose and Possible Risks, Radiology: 231, 393-398, 2004 https://doi.org/10.1148/radiol.2312030767
  18. 김순근: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회지, 29(3), 177-184, 2006
  19. 주명숙, 남상륜.: 골다공증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류마티스 건강학회지, 6(1), 37-50, 1999
  20. 이운정: 성인여성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소 섭취와 골밀도 관계. 계명대학교, 2005
  21. 이광성, 권인선, 조영채: 성인여성의 월경력 및 산과적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1), 1-11, 2009
  22. 김려화: 일부 농촌 주민들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23. 박선주, 안윤진, 민해숙: 지역사회 코호트 여성의 요골과 경골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4), 536-545, 2005
  24. 김순분. 김기진: 40대 중년여성의 12주간 댄스스포츠 수행이 건강관련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493-501, 2002
  25. 정혜원, 김승철: 폐경기 여성의 요추 골밀도와 혈청 지질농도의 관계: 이화의대지. 18(2), 117-123, 1995
  26. Bess D. H.: The role of Calcium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H Consen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2000
  27. 승정자, 최선혜, 김미현 등: 농촌지역 폐경 여성의 골밀도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와 모성요인 생활주기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2), 192-204, 2001
  28. Holbrook TL, Barrett-Connor E.: A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J, 306, 1506-1509, 1993 https://doi.org/10.1136/bmj.306.6891.1506
  29. University of Sheffield Medical School: WHO Scientific Group Technical Report: Assessment of Osteoporosis at the Primary Health Care Level,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