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Loading and Atmospheric Pollutants Loading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혼합소각시 열부하 변화 및 대기오염물질 부하 변화를 통한 혼합소각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조재범 ((주)태영건설 기술연구소) ;
  • 김우구 ((주)태영건설 기술연구소) ;
  • 연경호 ((주)태영건설 기술연구소) ;
  • 신정훈 ((주)태영건설 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2.08.28
  • Accepted : 2012.09.25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various promotion countermeasures such as solidification, carbonization, and the creation of cement materials have been considered to existing treatment methods such as incineration and the creation of composts, since direct landfill was prohibited for encouraging the recycling based on the sludge treatment on lan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SW (Municipal Solid Waste) and SS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and atmospheric pollutants. In this study, LHV (Low Heating Value) is 100~300 kcal/kg because the MC (Moisture Content) of de-hydrated sewage sludge is approximately 80%. From the results, we knew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SW (80%) and SS (20%). As the co-incineration rate of SS up to 20% became higher, the loading of heat and atmospheric pollutants was not influenced.

하수슬러지의 처분 방안으로서 하수슬러지를 생활폐기물과 혼합소각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전체폐기물 중 하수슬러지를 20%까지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열부하 및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 황산화물)부하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하수슬러지(함수율 78.8%) 및 건조하수슬러지(함수율 60%)를 혼합소각한 결과, 건조하수슬러지를 혼합한 경우에는 열부하변동이 거의 없었으나 생하수슬러지를 혼합소각한 경우는 열부하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전처리를 한슬러지 혼합소각이 평상시와 같은 운전조건으로 소각로 연소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고발열 생활폐기물 발열에 의한 소각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비용 및 슬러지 경화현상에 의한 국부소각 방지 등을 고려하여 생하수슬러지에 수분을 공급하여 소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수, "하수슬러지의 감량 및 재이용 방안," 첨단환경기술, 6(7), 10-17(1998)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슬러지상 산업폐기물 혼합소각을 위한 화격자와 공급설비 개발," pp. 17-20(2002)
  3. 환경부, "하수도 통계," p. 1232(2011)
  4. 환경부, "도시쓰레기와 유기성슬러지의 혼합소각 공정 및 장치 상용화 개발," pp. 184-186(2006)
  5. 배성근, "도시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기술," 한국폐기물학회지, 18(3), 39-48(2001)
  6. Werther, J. and Ogada, T., "Sewage sludge combustion," Prog. Energy Combust. Sci., 25, 55-90(1999) https://doi.org/10.1016/S0360-1285(98)00020-3
  7. Bensted, J. and Barnes, P.,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Cements," Spon Press, 50(2002)
  8. 황진우, 배재근, 고현백, 고병산, "하수슬러지성상에 따른 건조-소각을 위한 슬러지 성상분석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9(3), 283-291(2002)
  9. 이호태, "하수슬러지 적정 처리기술," 월간폐기물, 4(44), 34-43(1996)
  10. 배성근, "슬러지와 도시쓰레기 혼합소각," 한국폐기물학회 슬러지 건조소각 심포지움, pp. 151-172(2006)
  11. 정종수, 이교우, 이춘식, "노즐 화격자 상에서의 고함수 폐기물의 소각실험," 한국폐기물학회지, 17(6), 734-740(2000)
  12. Calvin, R. Burnner, "Handbook of incineration system," Mc- Graw-Hill, 36-46(1991)
  13. LaGrega, M. D., "Hazadous Waste Management," McGraw- Hill, 12-18(1994)
  14. 서용칠, 김인태, 안병길, 김준형, "단일 연소실 공기제어 소각로의 특성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6(2), 129-135(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