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한국 재래 산란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 능력 비교 연구

  • Kim, Young Sin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Jae-Hwan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uh, Sang Won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Hyun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Byun, Mi-Je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Myung-Jick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Ji Su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Ji Woo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ong-Bok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김영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상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변미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명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지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지웅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 최성복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Received : 2012.10.23
  • Accepted : 2012.12.11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Total number of chicks analyzed in this study was 276 and feeding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24, 2012 for 10 weeks. Five strains including 2 Korean native strains: A=Korean Native Black (Chungcheongbuk-do) and B=Korean Native Yellowish Brown (Gyeongsangbuk-do) and 3 imported layer strains: C=White Leghorn (Gyeongsangnam-do), D=White Leghorn (Seoul), and E=Ameraucanas (Gyeongsangbuk-do) were used to analyze the following traits such as fertility, hatchability, body weight at a different growing stage, averag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The fertilities and hatchabilities of strains were 93.88% and 95.65% in strain A, 81.75% and 86.24% in strain B, 82.25% and 88.15% in strain C, 79.25% and 90.85% in strain D, and 71.50% and 88.11% in strain E, respectively. A viability was excellent in strains A and E to be more than 98% and was low in strain D to be 86.67% at a whole week. The strain A had greater body weight during growing stages (p<0.05) than the other strains. The shank length of strain D of $56.69{\pm}3.27mm$ was the highest value at 10 weeks of age among strains (p<0.05). Th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ains A and D between an average body weight gain and a shank length were 0.63 and 0.73 during 0~2 wk, 0.70 and 0.55 during 2~4 wk, 0.55 and 0.54 during 4~6 wk, 0.50 and 0.24 during 6~8 wk, and 0.46 and 0.29 during 8~10 wk, respectively. The Korean native hens may have potential abilities to be used as an excellent seed stock for poultry industry.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 276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2 계통(A, B)과 도입종 산란계 3 계통(C, D, E)으로 총 5 계통의 수정률, 부화율,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 사료 요구율 등을 조사하였다. 수정률은 A, B, C, D 및 E계통에서 각각 93.88%, 81.75%, 82.25%, 79.25% 및 71.50% 이었고, 부화율은 5계통에서 각각 95.65%, 86.24%, 88.15%, 90.85% 및 88.11%로 나타났다. 육성률은 0~10 주령에서 A와 E계통에서는 9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D 계통은 86.6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계통은 육성단계별 체중에서 2주령부터 10주령까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전체 기간 동안에 가장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p<0.05). 정강이 길이는 D계통이 0주령에는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2주령부터 점차 증가하여 10주령에서는 $56.69{\pm}3.27m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A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는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63, 0.70, 0.55, 0.50 및 0.46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8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73, 0.55, 0.54, 0.24 및 0.29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78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국 재래계의 종자 산업화를 위하여 육성 후기의 능력 및 산란율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2. Jull MA, Glazener EW 1946 Growth rate of progeny to 10 weeks in relation to shank length of parents. Poultry Sci 25:256-261. https://doi.org/10.3382/ps.0250256
  3. Lemer IM 1937 Shank length as a criterion of inherent size. Poultry Sci 16:213-215. https://doi.org/10.3382/ps.0160213
  4. SAS Institute Inc 2002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USA.
  5. 강보석 홍의철 김학규 유동조 박미나 서보영 추효준 나승환 서옥석 황보종 2010 한국토종닭 3원 교잡종의 부화 및 육성 능력. 한국가금학회지 37(4):399-404. https://doi.org/10.5536/KJPS.2010.37.4.399
  6. 김상호 이상진 강보석 최철환 장병귀 오봉국 1998 한국재래 닭의 능력에 관한 연구 II. 한국재래닭의 계통별 능력 비교. 한국가금학회지 25(3):177-183.
  7. 김현 최진석 양보석 고응규 김재환 최성복 김성우 2011 한국 재래닭의 계통별 번식능력 비교. 한국가금학회지 35(3): 391-394.
  8. 대한양계협회 1994 재래닭의 계통육성 및 일반능력검정.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연구사업보고서. pp. 13-39.
  9. 박미나 홍의철 강보석 김학규 서보영 추효준 나승환 서옥석 한재용 황보종 2010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37(4):347-354. https://doi.org/10.5536/KJPS.2010.37.4.347
  10. 축산기술연구소 1998 재래닭 순수계통확립. 재래닭 순수화 개량 및 생산성 향상 연구. pp. 5-22.
  11.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2. 한성욱, 강민수, 김재홍, 박창식, 백동훈, 상병찬, 여정수, 이봉덕, 정선부, 최광수, 한재용 1996 가축의 품종. 선진문화사.

Cited by

  1.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t Rearing Stage between Korean Native Chicken and Imported Chickens vol.26, pp.4, 2014,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568
  2. Comparative Study on Growth Patterns of 25 Commercial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vol.43, pp.1, 2016, https://doi.org/10.5536/KJPS.2016.4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