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 the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System

행정검시제도 개선방안

  • 김헌진 (공군사관학교 국제관계학과)
  • Received : 2011.11.10
  • Accepted : 2012.01.3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Current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system is have many problems. Almost local governor don't exercise about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authority. Thus, prosecutors have to many decisions about judicial death investigation authority. Consequently, these vicious cycle is repeated. There is not clear regulations about scope for judicial death investig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mprove the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system are as follows : First, the uniform act of death investigation is have to legislated. Second, the scope for death investigation is clearly legalized. Medical examiner is must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law. Also prosecutor can order to judicial autopsy to medic examiner. Third,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rules should be clarified. Introduce a Medical Examiner System Korean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system centered on prosecutor and judicature who are not a specialist in pathology or forensic medicine. Lacking in professional understanding cause less accuracy of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To overcom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ur Administrative Death Investigation system is suggested to introduce a Medical Examiner system.

현행 행정검시제도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행정검시권자는 자치단체장이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형사소송법상 변사체로 처리되어 검사의 지휘로 사법검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검시대상이 분명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제대로 죽음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이른바 의문사의 문제도 사회적인 현안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행정검시제도 개선방안으로 첫째 검시에 관한 통일적인 법률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며 둘째 검시대상을 명확히 함으로써 법의관은 법률에 규정된 사체에 대한 검시책임을 지며, 그 결과 범죄가능성이 있는 경우 수사기관에 통보할 의무를 부여하고, 셋째 수사기관도 검시가 필요한 사체에 대해 법의관에게 검시를 요구해야 한다. 넷째, 사망원인 조사에 전문성이 부족하면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의학적 전문지식이 있는 법의병리전문의 또는 법의관이 검시의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행정검시제도의 한계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행정검시 개선방안을 소개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법의학회, 사인확인제도 개선방안연구, 2002.
  2.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제2판, 박영사, 2010.
  3. 곽순기, "검시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검시제도 개선을 위한 학술세미나 자료집, 경찰청, 5면, 2010. 10.
  4. 강대영, 강현욱, 곽정식 외 9인, 법의학, 정문각,2009.
  5. B. A. J. Fisher, 홍성욱, 최용석 역, 현장감식과 수사 CSI, 수사연구사, 2008.
  6. 한길로, "외국과 우리나라의 검시제도 비교 연구",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연보, 제36권, p.107, 2004.
  7. 하태훈, "현행 검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형사정책, 제18권, 제2호, p.510, 2006.
  8. 한상희, "시체검안서.사망진단서 불일치 오류 많다", 메디컬투데이, 2009. 5. 27.
  9. 도중진, 검시제도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44, 2005.
  10. 임준태, 임준태교수의 법과학과 범죄수사, 21세기사, 2007.
  11. 박희경, "대륙법 검시제도 고찰 -스코틀랜드의 경우와 비교분석-", 인권과 정의 제327호, p.117, 2003. 11.
  12. 조기룡, "각국의 검시제도", 해외연수검사연구논문집 제20집, 법무연수원, p.221, 2005.

Cited by

  1.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ostmortem Inspection Cases of National Forensic Service Seoul Institute in 2015 vol.41, pp.1, 2017, https://doi.org/10.7580/kjlm.2017.41.1.1
  2.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ostmortem Inspection Cases of National Forensic Service Seoul Institute in 2016 vol.41, pp.3, 2017, https://doi.org/10.7580/kjlm.2017.4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