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현대 도시의 실내와 실외의 경계는 모호해짐과 동시에 서로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환경 설계가들에게는 실내와 실외공간에 대한 통합적 사고와 이에 따른 공간 설계의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설계의 기준이 되는 공간에 대한 감각(공간감)을 정량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63명의 실험자들이 서울대학교 캠퍼스 내 실내 15곳, 실외 14곳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어휘는 크기감(좁은-넓은), 개방감(폐쇄적인-개방적인), 온도감(따뜻한-차가운), 밝기감(밝은-어두운), 경연감(부드러운-딱딱한), 공간친밀도, 방문빈도였으며, 이를 통해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실내 외 크기감의 차이는 약 2배로 나타났으며, 실내 외 친밀한 공간의 기준은 실내에서 W/H비가 약 5.71이면서 창문면적/입면적의 비율이 높은 공간으로, 실외에서 넓이 $3,800m^2$와 W/H비 5.57정도의 공간으로 정할 수 있었다.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는 심리적 감각에 의해 주도되는데, 실내에서는 규모가 커질수록 차갑고 어두우며, 딱딱하게 느낀 반면 실외에서는 따뜻하고 밝으며 부드럽게 인식하였다. 또한 실내의 심리적 감각은 공간의 규모와 지각에 크게 영향 받지 않았기 때문에 친밀한 공간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실외의 심리적 감각은 규모와 지각에 관계되었으므로 친밀한 공간의 크기와 비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은 서로 상대적인 차이를 가지며, 물리적인 기준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실내 혹은 실외공간 설계 시 환경설계가들에게 유용한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contemporary times, "environmental designers" need to consider both exterior and interior aspects because of the growing trend in dissolution between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To quantify "spatial sense" which serves as the standard for environmental design, this study has asked 63 subjects to evaluate 15 interior and 14 exterior spaces. The "spaciousness (small-large)", "openness(closed-open)", "warmness(warm-cold)", "brightness(bright-dark)", "softness(soft-hard)", "spatial intimacy" and "frequency of visit" were adopted as variables of spatial sen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variables, this study could gain the difference between spatial sense for exterior and interior environments, quantify the spatial sense that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ppropriates to human be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wice the amount of spaciousness was observed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And the standard on intimate space is established with W/H ratio of 5.71 and high Window/Wall Area ratio in the interior and an area of 3,800m2 and a W/H ratio of 5.57 in exteri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tial sense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is mostly dependent on the psychological sense. The increase of physical size caused by the interior space to be perceived as cold, dark and hard psychologically, but exterior space to be perceived as warm, bright and soft. Psychological senses, especially softness, affect spatial intimacy to the greatest extent among the given variables. As the psychological senses for interior spaces were largely independent from the given space's size and perceptive senses, the size of the interior space, which exhibited spatial intimacy, could not be deduced. In comparison to this, due to the high dependency between the psychological senses for exterior spaces and the given space's size and perceptive sens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have relatively different spatial sense and physical standards. Such research results are predicted to provide applicable standards for environmental designers for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