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Key of Relationship Between Labor-Management Cooperation

협력 상생을 위한 노사문화 형성 요인 연구

  • Received : 2011.10.13
  • Accepted : 2011.11.17
  • Published : 2012.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factors which exert an import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employer-employee management systems of enterprises and finally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establishing the future's union-management rela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research find each of important factors of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employer-employee management systems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ose factors.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ere systematized by the AHP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of all, the management expecting the employees should be strengthened. Then, the establishment of transparent management and union-management systems sharing the enterprise's vision and valu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ormation cooperative employer-employee management system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alternative for establishing the future's union-management rel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최근 급변하는 경제상황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생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경쟁력은 기업간 협력의 중요성 이면에 기업내부의 협력적인 노사문화가 정착되지 않고서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기업간 상생협력이 요원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협력적 노사문화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사협력 관계 형성을 위한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협력적 노사문화 형성의 중요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각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들은 AHP분석을 통하여 중요성 및 우선순위를 체계화하였다. 분석결과 종업원을 존중하는 경영이 강화되어야 하며 투명경영 정착,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는 관계 형성이 협력적 노사문화 형성에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업의 협력적 노사문화 형성을 위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윤대혁, 노사관계론, 도서출판 대명, 2003.
  2. J. T. Dunlop, Industrial Relation System. Holt. New York, 1993.
  3. 김영재, 인적자원관리, 삼영사, 2005.
  4. W. N. Cooke, "Toward a General Theroy of Industrial Relation," In David B. Lipsky. editor, Advances in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Vol.2, Greenwich, CT:JAI Press, 1985.
  5. L. Badler and Z. Nadler, "Developing Human Resources (3rd ed),"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Publishers, 1989.
  6. A. Eaton, "The Survival of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in Unionized Setting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Vol.47, No.3, 1994.
  7. D. Q. Mills, Labor-Management Relations. 2nd ed. Mcgraw-Hill Book Company, 1992.
  8. 윤대혁, "협력적인 노사관계체제의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특별호, 2009
  9. 배진한, "노동자 경영참가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10. 김정호, 공공부문의 협력적 노사관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1. 김창선,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2. 나영재(2010). 노사관계 특성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논문.
  13. 노영진 , "노사파트너십의 노사관계 효과성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Vol.20, No.3, 2010.
  14. 박지만, 윤리경영의 효과적인 실천을 이끄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5.
  15. 윤종익, 협력적 노사관계의 결정요인과 조직성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9.
  16. 이원덕, 참여․협력적 노사관계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996.
  17. 지광수, 조기전, 협력적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 경영경제연구, 2005.
  18. http://www.kli.re.kr/
  19. L. Badler and Z. Nadler, "Developing Human Resources (3rd ed),"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Publishers, 1989.
  20. J. Hensley and D. D. Burke, The Changing Nature of Supervision: Implications for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ETON HALL LEGISLATIVE JOURNAL, Vol.33, No.2, 2009.
  21. J. G. Getman and J. Fine, "Labor-Management Relations: Restoring the Power of Unions: It Takes A Movement," Industrial & labor relations review, Vol.64, No.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