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 워>, 매혹의 영화

, the Cinema of Attractions

  • 류재형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투고 : 2012.10.22
  • 심사 : 2012.12.14
  • 발행 : 2012.12.31

초록

<디 워>는 실패한 블록버스터인가?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이 영화의 가치에 대해 재고의 여지는 남아 있지 않은가? 이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심형래 감독의 <디 워>는 영화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영화를 둘러싼 민족주의 담론으로 평단과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나, 이야기와 형식 모두에서 분명 기존의 한국형 블록버스터와 차이를 보이면서 850만이라는 투입 대비 다소 실망스러운 박스오피스 성공과 민족주의에 경도된 일부 관객들의 열광적인 지지, 그리고 영화의 예술성과 완성도에 대한 평단의 비판적 시각이라고 하는 부조화스러우면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를 낳았다. 결국 <디 워>는 문화적으로 논쟁거리를 제공했을 뿐 산업계와 비평계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영화로 남겨졌다. 그러나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디 워>를 지지하는 관객들과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 평론가들 사이에 한 가지 공통된 시각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디 워>의 스펙터클이 한국 관객의 기대 이상으로, 그리고 스토리 전개와 불균형을 이룰 정도로 불거졌다는 것을 양자 모두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러티브를 압도하는 <디 워>의 스펙터클은 일면 팬들을 열광시키는 동시에 평론가들로 하여금 이 영화를 외면하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디 워>의 예술적/이론적/비평적 가치에 논쟁을 불러일으킨 이러한 측면, 즉 '내러티브를 압도하는 스펙터클' 내지는 '스펙터클을 보여주기 위한 구실로서 존재하는 내러티브'라는 영화의 미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작품성의 측면에서 실패작으로 치부되어 온 <디 워>에 일말의 비평적 가치를 제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디 워>는 "기존의 영화비평 방식을 통해 접근해갈 수 없는 새로운 범주에 속하는 영상물"임을 제시하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개념적 틀을 통해 비평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디 워>의 서사미학을 밝히기 위해 스펙터클 중심적인 서사성(narrativity)의 미학, 내지는 내러티브보다 스펙터클을 더 중시하는 제작 양식을 일컫는 앙드레 고드로(Andre Gaudreault)의 '기교성(trickality)'이라는 개념과 이러한 미학이 지배하는 영화를 가리키는 톰 거닝(Tom Gunning)의 '매혹의 영화(the cinema of attractions)'라는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Is a failed blockbuster film? Is there no room for re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the film in terms of its contents and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2007, SHIM Hyung-rae's was in the limelight due to the nationalist discourse around the film rather than evaluation of the film itself. In terms of its narrative and formal properties, the film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Korean nationalist blockbuster films. It led to the disaccord and hard-to-understand results of having somewhat disappointed box-office success of 8,500,000 audiences in comparison to the input, of receiving well by a generous part of the audiences absorbed by nationalism, and of getting the critics' cynic criticism of the film's cinematic value. Eventually only provided the cultural battlefield of nationalism, was left as an unnoticed film in the realm of industry and criticism. However, it was interesting that there was a common ground between the film's supporters and the cynic critics. Both sides were being acknowledged that the spectacle of was way out of proportion to the degree that the spectacle was unbalanced with the story unfolding, achieved more than expected. Its spectacle overwhelming the narrative enfever a few aud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d some reasons making critics face away from the film.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 aesthetics that 'the spectacle dominating narrative' or 'the narrative as a pretext for showing spectacle,' leading to discussion of artistic/theoretical/critical value and to find out cinematic value of the film being regarded as a failure.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is a new kind of moving image that it cannot be analyzed with existed critical methods of narrative film criticism;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the chance to be evaluated through a new conceptual frame of the film. In order to grasp the narratological aesthe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trickality that Andre Gaudreault suggests, and Tom Gunning's 'the cinema of attractions,' referring to the spectacle-oriented narrativity or the mode of production displaying the spectacle more than the narra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역,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1997.
  2. 김선엽, 탈중심화된 중심으로서의 <디 워>와 심형래 감독, 디지털영상학술지 Preview, 5권2호(2008), pp.31-64.
  3. 김형래, 표피성의 미학과 외설성: 영화 <디-워>(D-War)를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10호(2009), pp.327-353.
  4. 류재형, 기교성에서 현실효과로의 이행: 초기영화 시각효과의 특성, 한국언론학보, 51권4호(2007), pp.58-84.
  5. 류재형,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한국 민족주의적 특성: <공동경비구역 JSA>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9호(2012), pp.116-137.
  6. 민대진, 송영애, 한국영화의 해외진출 방안 연구, 영화연구, 42호(2009), pp.261-306.
  7. 민대진.송영애, 미국 개봉 한국영화의 문화 담론 연구, 영화연구, 45호(2010), pp.99-135.
  8. 이명자, 남북 영화 대 영화 <디 워> <평양 날파람>: 남북의 블록버스터급 영화를 둘러싼 민족주의 담론, 민족21, 79호(2007, 10), pp.142-145.
  9. 이태훈, 이경환, 국내 3D 영상 콘텐츠의 국제경쟁력 분석연구 - 영구아트무비의 '디워'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1호(2011), pp.475-483.
  10. 이택광, <디워>와 영화비평의 딜레마: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영화를 변화시키는가?, 인물과 사상, 113호(2007), pp.117-129.
  11. 이현식, <디워>의 문제성, 플랫폼, 6호(2007), pp.86-89.
  12. 정민아, 이미지즘과 표층의 힘, 그리고 한국 뮤지컬 영화들: <삼거리 극장>, <구미호 가족>, <다세포 소녀>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9호(2008), pp.147-162.
  13. 조진희, 영화산업, 팬과 만나다 - <디워>를 통해 살펴본 팬의 참여문화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45호(2010), pp.477-502.
  14. Eisenstein, Sergei. "[Extract from] the montage of film attractions" in Philip Simpson, Utterson, Andrew and Shepherdson, K. J.(Eds.), Film theory: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2004, pp.99-110.
  15. Gunning, Tom, "An aesthetic of astonishment: Early film and the (in)credulous spectator" in Williams, Linda(Ed.), Viewing positions: Ways of seeing film, Rutgers University Press, 1995, pp.114-133.
  16. Gunning, Tom, "The cinema of attractions: Early film, its spectator, and the avant-garde" in Elsaesser, Thomas(Ed.), Early cinema: Space, frame, narrative, British Film Institute, 1990, pp.56-75.
  17. Musser, Charles,"Rethinking early cinema: Cinema of attractions and narrativity" in Strauven, Wanda(Ed.), The cinema of attractions reload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6, pp.389-416.
  18. Paci, Viva, "The attraction of the intelligent eye: Obsessions with the vision machine in early film theories" in Strauven, Wanda(Ed.), The cinema of attractions reload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6, pp.121-137.
  19. Beattie, Keith,"The cinema of (coming) attractions: Bruce Conner's a movie and documentary display", Metro Magazine, No.151(2002), pp.154-157.
  20. Cubitt, Sean,"Phalke, Melies, and special effects today", Wide Angle, Vol.21, No.1.(1999), pp.115-130.
  21. Gaudreault, Andre, "Theatricality, narrativity, and "Trickality": Reevaluating the cinema of Georges Melies", Journal of Popular Film & Television, Vol.15, No.3.(1987), pp.111-119.
  22. Gunning, Tom, "The whole town's gawking: Early cinema and the visual experience of modernity", Yale Journal of Criticism, Vol.7, No.2.(1994), pp.189-201.
  23. Jay, Martin, "Diving into the wreck: Aesthetic spectatorship at the fin-de-siecle", Critical Horizons, Vol.1, No.1(2000), pp.93-111. https://doi.org/10.1163/156851600510444
  24. North, Dan, "Magic and illusion in early cinema", Studies in French Cinema, Vol.1, No.2(2001), pp.70-79. https://doi.org/10.1386/sfci.1.2.70
  25. <달세계 여행>(A Trip to the Moon, 1902).
  26. <디 워>(D-War, 2007).
  27. <폭풍을 뚫고 전진하는 증기선 콥틱호>(S.S. "Coptic" Running Against the Storm , 1898).
  28. <물을 맞는 물 뿌리는 사람>(The Sprinkler Sprinkled, 1895).
  29. <열차의 도착> (Train Arriving at a Station, 1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