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이지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이주연 (세계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학과)
  • Received : 2012.09.03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regard of the impa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nutshell,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coping sty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whil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depression, the more passive and active stress-coping sty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less their depression, behavior disorder, loss of interest, self-abasement and physical symptoms. Third, high levels of teachers'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coping styles and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finding implie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perceive high levels of peer support, cope with stress better and thus reduce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의 다문화가정 아동 총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은 부적관계,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양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신체적 증상 수준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에는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또래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행정안전부, 2010년 외국계주민 현황조사, 행정안전부, 2010.
  2. 서현, 이승은,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25-47, 2007.
  3.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4. 오성배,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61-83, 2005.
  5. 김승권,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 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6. 안효자, "일개 시 농어촌 다문화가족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83-391, 2008.
  7. 안효자, 조성식, 조원탁, "일본인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족 중.고등학생의 일본 관련 역사교육 경험", 한국지역사회학회, 제19권, 제3호, pp.47-75, 2011.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 사회복지의 선진화를 위한 사회서비스 정책의 성과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9. 정문자, 박진아,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273-295, 2007.
  10. 오성배,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11. 김교정, 정규석,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273-28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1.272
  12. G. Liu, G. W. Ladd, R. Menia, and A. Padilla,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Vol.67, No.3, pp.1103-1108, 2011.
  13. 이옥주,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17권, 제3호, pp.77-85, 2003.
  14. R. T. Rowlison and R. D. Felner,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Personal SocPsychol, Vol.55, No.3, pp.432-444,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3.432
  15. 박희석, 오상우, 손정락,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2권, 제2호, pp.179-196, 1993.
  16. H. Band and D. H. Weisz,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Vol.56, pp.438-447, 1988.
  17. R. H. Moos and A. G. Billing,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b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6, pp.877-891, 1984. https://doi.org/10.1037/0022-3514.46.4.877
  18. R. S. Lazarus, "An analysis coping a middle-aged commun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 No.9, pp.219-239, 1981.
  19. M. Billings,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 :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0, pp.277-290, 1981.
  20. C. Holahan and R. H. Moos, "Life stressors, resistance factors, and psychological health: An extension of the stress-resistan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909-917, 1985.
  21. 김정희, 이장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 연구, 제7권, pp.127-138, 1985.
  22. 임인순,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경험과 대처방식이 우울, 무망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윤지혜, 낙관성이 우울과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대처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Y. J. Le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suicidal ideators for children : Problem behaviors, selfesteem, social skill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5, No.1, pp.163-175, 2004.
  25. 김미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38-34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38
  26. A. Mazza,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6, pp.201-228, 2008.
  27. K. Rao, C. Booth, L. Rose-Krasnor, and R. Mills,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 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In S. Shulman(Ed.), Human development: Vol.7, Close relationship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pp.63-94).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5.
  28. 이주연, 정현희, "인지상태와 아동의 우울불안간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제9권, 제2호, pp.49-63, 2010.
  29. 문은식,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제26권, 제1호, pp.147-162, 2005.
  30.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40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31. P. A. Thoits, "Multiple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a refor-mation and test of the social isolation hypothesis," American Sociogical Re-view, Vol.48, pp.174-187, 1983. https://doi.org/10.2307/2095103
  32. E. F. Dubow and D. G. Ulman,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pp.52-64, 1989.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1_7
  33. 고유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외국인 어머니 가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4. 박은혜,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5. 서정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이영주, 다문화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7. 전푸르나,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8. 홍정미,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9. R. S. Lazarus and S. Folkman,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A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8, No.1, pp.150-170, 1985. https://doi.org/10.1037/0022-3514.48.1.150
  40.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41. M. Kovacs, "Ration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m," Acta Paedapsychiatrica, Vol.45, pp.112-126, 1981.
  42. 조수철, 이영식,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Vol.29, No.4, pp.943-955, 1990.
  43.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R. M. Baron and D. A. Kenney, "The moder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5. J. Cohen and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ing, 1988.
  46. 김남희,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7. 김혜정,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8. 최덕희,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의 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9.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0. 이지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1. 정윤정,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2. 정현영,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3. 이지영, 이주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10권, 제2호, 2012.

Cited by

  1.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Emotional Control on Depression/Anxiety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ol.26, pp.3,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