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ndency Analyze the Cor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Directors

지방자치단체장의 주요정책 경향분석(I):민선 5기 선거공약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0.23
  • Accepted : 2012.11.05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directors by performing centrality analysis on their core policies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was verified to some extent that major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directors were changing during the path to arrive at 5th civil election. However, according to policy type by Peterson (development policy, allocation policy and redistribution policy) it was found that they still focused on development policies. However, it is encouraging that the government directors elected in the 5th election started to pay attention to 'Culture' which is one of allocation policies.

본 연구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민선5기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주요시책의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여 자치단체장들의 시책 중에서 중심 위치에 해당되는 핵심 시책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민선 5기에 도달하는 동안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주요정책의 방향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어느 정도 증명되었다. 그러나 Peterson의 정책유형(개발정책, 할당정책, 재분배정책)에서 보면 아직까지도 지방자치단체장들은 개발정책에 많은 집중을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해 보면, 첫째, 핵심키워드 빈도분석과 등위성 구조 분석결과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장들은 할당정책(문화, 교육 등)이나 재분배정책(복지 등)에 비해 개발정책의 공약이 다수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결중심성 분석결과를 보면,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의 주요시책간 연결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위세중앙성 분석결과를 보면, 민선 5기 자치단체장의 주요정책의 위세(지위)중심은 '일자리창출'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일자리창출'이라는 커다란 지위중심축을 바탕으로 '지역경제활성화', 그리고 '문화관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방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병만, "한국행정학보속에 나타난 한국행정학의 변화", 한국행정학보, 제20권, 제2호, pp. 359-382, 1986.
  2. 김인철, "한국정책학 분야의 연구내용과 그 성격",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4호, pp.1049-1068, 1922.
  3. 이영균, "행정학 연구영역의 변천에 관한 소고 : 박사학위논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28권, 제4호, pp.1463-1479, 1994.
  4. 권경득,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분석 :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1호, pp.261-277, 1996.
  5. 신무섭, "한국행정학보를 통해 본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 제23권, pp.87-108, 1997.
  6. 주상현, "한국행정학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7년(1995-2001)간 한국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3호, pp.39-55, 2002.
  7. 안병영, "행정학의 토착화, 한국화, 그리고 세계화", KAPA 포럼, 제111호, 2005.
  8. 박흥식, "한국행정학의 토착화의 실체와 의미", KAPA 포럼, 제111호, 2005.
  9. 이시경, "행정학의 한국화",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10. 김병섭, "한국행정학의 토착화 : 제2세대의 역할과 공헌",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
  11. 박종민, "행정학 : 미국행정학인가 한국행정학인가", 한국행정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10.
  12. 최호택, 류상, "민선 4기 자치단체장의 평가와 발전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347
  13. 임수복,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확인 및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주민 및 공무원의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4. 이제학, 로컬 거버넌스 체제하에서 민선자치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도지사를 중심으로, 경기대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임순미, 지역개발사업과 지방정부의 정치리더십: 민선자치이후 경기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6. 조성호, "민선 5기의 지방분권 이슈와 과제", 정책연구, 제1호, 2010.
  17. 금창호, "민선 5기 출범과 지방자치의 과제 : 민선 5기 출범의 의의와 자치단체장의 책무", 지방행정, 제59권, 제681호, 2010.
  18. 김순은, "민선 5기 출범과 지방자치의 과제 : 민선 5기 지방자치의 운영전략", 지방행정, 제59권, 제681호, 2010.
  19. 김익식, "민선 4기 지방자치 평가와 과제 : 민선 5기와 선진 지방자치의 비전", 지방행정, 제59권, 제680호, 2010.
  20. 조기현, "민선 5기 지방재정 운용방향 : 민선 5기 지방재정 건전성 제고방향, 지방행정, 제59권, 제683호, 2010.
  21. 소진광, "민선 4기 지방자치 평가와 과제 : 민선 5기 지방자치의 과제와 발전방향", 지방행정, 제59권, 제681호, 2010.
  22. 김병국, "민선 5기 출범과 지방자치의 과제 ; 민선 5기 주민참여와 역할", 지방행정, 제59권, 제681호, 2010.
  23. 손희준, "민선 5기 지방재정 운용방향 : 민선 5기 지방재정의 환경변화 및 전망", 지방행정, 제59권, 제683호, 2010.
  24. 이주희, 민선 5기 출범과 지방자치의 과제 : 지방의회, 지방행정, 제59권, 제681호, 2010.
  25. 김병식,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공약과 공약이행평가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정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4권, 제2호, 2002.
  26. Peterson. Paul, City Limits. Boston: Little & Brown. 1981.
  27. 박종민, 배병룡, 유재원, 최승범, 최흥석, "한국지방정치의 특징",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2호, pp.123-139, 1999.
  28. 정세욱, "자치행정권의 범위에 관한 연구: 중앙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세미나 자료집, 2000.
  29. U. Matzat, Social Networks and Cooperation Electronic Communities. A Theoretical-Empirical Study On Academic Communication and Internet Discussion Groups. Thela Publisher. 2001.
  30. 한원택, 박희정, 나휘문, "지방자치 실시 이후 기초자치단체의 기능수행방식과 핵심기능변화",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2권, 제3호, pp.63-85, 2000.
  31. 최영출, 박수정,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1호, pp.123-139, 2011..
  32. S. Wasser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 Cambridge. 1994.
  33. B. Wellman, "Computer Networks as Social Networks," Science, Vol.293, No.14, pp.2031-2034, 2001. https://doi.org/10.1126/science.1065547
  34.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1.
  35.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5.
  36. E. Ekoku, N. Nnazer, and B. Wellman, "Netting Scholars : Online and offlin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4, No.10, pp.1752-1774, 2001.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8023
  37. L.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pp.215-239,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