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성인기의 생애주기별 사회적지지망 연구

  • Received : 2012.04.30
  • Accepted : 2012.10.3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Method: A total of 1,047 subjects included 454 young adults, 262 middle-aged adults and 331 senior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Oh's Korean Version Norbeck's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 For the young adults, parents were the top and second priority as important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third was siblings, and then friends. For the middle-aged, spouse was the first priority as an important social support resource, while the second and the third were children. For the senior adults, children ranked from the top to the seventh priority. The mean number of social support resources was 13.23 for the young adult, 12.93 for the middle-aged and 5.30 for the senior adults. Social support networks of the young adult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That of the middle-aged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family size. In addition, that of the senior adul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religion and family siz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when making a social support intervention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희, 김정아, 오가실, 오경옥, 이선옥, 이숙자, 전화연, 김혜령 (2008). 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사회적지지. 성인간호학회지, 20(6), 866-882.
  2. 강혜원, 한경혜 (2005) 부정적 가족생활사건, 배우자지지와 정신건강-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8), 55-68.
  3. 곽삼근, 조혜선, 윤혜경 (2005). 생애주기별 성역할 발달 및 갈등. 한국여성학, 21(2), 149-177.
  4. 김광숙, 조윤희, 라진숙 (2008).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망 및 건강습관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22(2), 11-223.
  5. 김란이, 용진선 (2005).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자가간호와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270-277.
  6. 김연정, 이광자 (2010). 유방암과 간암환자의 자살생각, 사회적지지 및 삶의 의미 간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40(4), 524-532. https://doi.org/10.4040/jkan.2010.40.4.524
  7. 김정선, 신경림 (2004). 성인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4(2), 352-361.
  8. 김혜령, 오가실, 오경옥, 이선옥, 이숙자, 김정아, 전화연, 강정희 (2008).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38(5), 694-703. https://doi.org/10.4040/jkan.2008.38.5.694
  9. 노필순, 윤혜미 (2007). 중학생의 빈곤감,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 및 문제행동. 학교사회복지, 12, 23-46.
  10. 박헌일, 김기원 (2001).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계명연구논총, 19(1), 7-23.
  11. 반필주 (2010). 노인의 건강수준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영향과 사회적지지 관련요인. 인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12. 양재근, 이종훈, 김영호, 현승권 (2006). 성인들의 운동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변인의 관련성. 체육과학연구, 17(1), 119-130.
  13. 엄은하 (2007).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진로 탐색행동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4. 오가실, 박영주, 오경옥, 김정아, 이숙자, 김희순, 정추자 (1999). 한국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소. 대한간호학회지, 29(4), 780-789.
  15. 오세진, 김용희, 김청송, 김형일, 신맹식, 양계민, 양돈규, 이요행, 이장한, 이재일, 정태연, 현주석 (2010). 인간행동과 심리학. 서울: 학지사.
  16. 윤진 (1985).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7. 은영, 고성희, 김명자, 김진선, 박명화 (2010). 노인전문간호총론, 서울: 현문사.
  18. 이경선 (2009).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이선옥 (2001). 사회적지지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7(1), 113-125.
  20. 이선옥 (2003a). 만성관절염 환자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9(2), 253-263.
  21. 이선옥 (2003b).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36, 299-311.
  22. 이영주 (2003). 노인의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무력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3. 이영휘 (2002),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4), 539-549.
  24. 이은영 (2007).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5. 전미숙, 김현옥 (2011). 학령기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3), 272-280.
  26. Murrell, S., Norris, F., & Chipley, Q. (1992). Functional versus Structural in Older adults. Psychological Aging, 7, 562-570. https://doi.org/10.1037/0882-7974.7.4.562
  27. Norbeck, J. S., Lindsey, A. M. & Carrieri, V. L. (1981).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30(5), 264-269.
  28. Oh, K. S. (1984).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Families with Mentally-retarded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en's University, Texas, U.S.

Cited by

  1. The problem group?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married people living alone in the Republic of Korea vol.32, 2015, https://doi.org/10.4054/DemRes.2015.32.47
  2. The Effect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Fishermen's Quality of Life vol.25, pp.4, 201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