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ression Methods of Peony Patterns in Korean Textiles

한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Qiao, Dan (Dept. of Clothing, Chung-ang University) ;
  • Jeong, Youngok (Dept. of Costume Design, Dongshin University) ;
  • Lee, Eunjin (Dept. Clothing & Textil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교단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
  • 정영옥 (동신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이은진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2.01.01
  • Accepted : 2012.09.1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istory of Korean peon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eony patterns on the fabric.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and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71 kinds of peony woven on 66 Korean fabrics. First, it was observed that 38 of the 66 studied fabrics (57.6%) were relics from the 17th century, and from this it can be deduced that the peony patterns began to appear regularly around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and were used habitually in the 17th century. Second, 71 kinds on 66 fabrics can be divided into Real Type, Design Type, and Abstraction Type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Among these types, 49 kinds of them are Real Types (69.0%), forming the greatest part and 19 kinds belonging to the Design Type (26.8%), and lastly, 3 kinds were under the Abstraction Type (4.2%). In particular, peony patterns of Design Types and Abstraction Types from the 17th century an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were more prevalent,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16th century or the 18th century. Third, Real Types shown on the Korean fabrics are subdivided into 9 types, and the Real Type A among them, which describes to be as real as possible, is 12 kinds, the largest number of them. Therefore, real and natural pattern of peony is the favorite type in Korea, while rather emphasized pattern of peony is the more preferred pattern in China. And also Design Types are subdivided into 6 types again; There are 6 kinds of design type A, the largest part of Design Types. Patterns of Design Type A are most similar to real peony flowers, but more simplified than the Real Type A. This result also contrasted with the trend in China, where the Design Type C, expressed petals in detail was the favored pattern. Fourth, 9 kinds of unique types are found in Korean fabrics, especially Real Type M has not been shown on Chinese fabrics. Real type M, consisting of two parts, inner and outer, where two curve lines between two parts appear as antennas of a butterfly.

Keywords

References

  1.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2.
  2. 이순자 (1985), 牡丹紋樣에 대한 考察, 服飾, 9, pp. 89-106.
  3. 유혜영 (1987), 모란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영란 (1992), 모란무늬에 대한 고찰-조선조 공예품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 8, pp. 87-109.
  5. 김재임 (1999), 한․중․일 모란무늬의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교단 (2009), 중국과 한국 직물에 나타난 모란문양 및 복식디자인 응용,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7. 三國史記, 善德女王條.
  8. 三國遺事, 第27.
  9. 宣和奉使高麗圖經, 卷第9, 儀物一.
  10.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3.
  11.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7.
  1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2.
  13. 수덕사 근역성보관 편 (2004), 至心歸命禮-韓國의 佛腹藏,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86, pp. 254-255.
  14.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54-256.
  1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6.
  16.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92-293.
  17.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95.
  18.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292
  19.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95.
  20.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27.
  2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51.
  2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9.
  2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1.
  2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97.
  25.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343.
  26.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2000),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 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99.
  27.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2000),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 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100.
  28.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3.
  2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79.
  30.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정사공신 신경유공 묘 출토 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49.
  31. 조효숙 (2008), 신경유 묘 출토직물 연구, 한국복식, 26, p. 76.
  32.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313.
  3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1.
  3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5.
  35. 경기도박물관 편 (2003), 동래정씨묘 출토 복식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 26.
  36. 경기도박물관 편 (2003), 동래정씨묘 출토 복식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40.
  37.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63.
  38.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9.
  3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3.
  40.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07.
  41.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73.
  42. 김영자 외 (1999), 조선시대복식연구, 서울: 學硏文化社, p. 106.
  4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42.
  4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53.
  4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69.
  4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73.
  4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79.
  4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97.
  4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2010), 해평 윤씨 출토복식,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110.
  50.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10.
  5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323
  52. 이경자 외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26.
  53.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09.
  54.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9.
  5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16.
  56.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83.
  57.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87.
  58.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49.
  59.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124.
  60. 심연옥 (2002), 한국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53.
  61.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296.
  62.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회, p. 128.
  63.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88.
  64.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180.
  65.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127.
  66.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p. 334.
  67.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20.
  68.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22.
  69.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118.
  70.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회, p. 132.
  71. 김영숙, 박윤미 (2007), 조선조왕실복식, 서울: 十月, p. 306.
  72.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4.
  73.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7.
  74.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07-109.
  75.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2.
  76.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0-111.
  77. 교단, 이은진 (2010),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服飾, 60(1), p.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