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f Recent Climate Trends and Causes over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기후변화의 추세와 원인 고찰

  • An, Soon-Il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Ha, Kyung-Ja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eo, Kyong-Hwan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eh, Sang-Woo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rine Scirences, Hanyang University) ;
  • Min, Seung-Ki (Climate Research Division, Environment Canada) ;
  • Ho, Chang-Hoi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안순일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 하경자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 서경환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 예상욱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민승기 (캐나다 환경청 기후연구부) ;
  • 허창회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1.12.1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 review on the recent climate change over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change due to the human-induced global warming more strongly than other regions. The recent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ver the Korean peninsula shows a faster rise than the global average, and the increasing trend in surface temperature over this region is much larger than the global mean trend. Recent observational studies reporting the weakened cold extremes and intensified warm extremes over the region support consistently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Surface vegetation greenness in spring has also progressed relatively more quickly. Summer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has increased by about 15% since 1990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is was mainly due to an increase in August. On the other hand, a slight decrease in the precipitation (about 5%) during Changma period (rainy season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was observed. The heavy rainfall amounts exhibit an increasing trend particularly since the late 1970s, and a consecutive dry-day has also increased primarily over the southern area. This indicates that the duration of precipitation events has shortened, while their intensity became stronger. During the past decades, there have been more stronger typhoons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landing more preferentially over the southeastern area. Meanwhile, the urbanization effect is likely to contribute to the rapid warming, explaining about 28% of total temperature increase during the past 55 years. The impact of El Nino on seasonal climate over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well established - winter [summer] temperatures was generally higher [lower] than normal, and summer rainfall tends to increase during El-Nino years. It is suggested that more frequent occurrence of the 'central-Pacific El-Nino' during recent decades may have induced warmer summer and 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short, detection and attribution studies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needed to construct more reliable projections of future climate changes, and therefore more comprehensive researches ar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ast climate variations.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나타난 기후변화 추세를 요약하고 그 원인을 평가하였다. 인간 활동에 기인한 기후 변화는 한반도 지역에 상대적으로 빠른 변화를 유도하였다. 지난 10년간 한반도 지역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전 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상승했으며, 평균기온 역시 지구평균 기온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혹한기온 발생은 감소하고, 혹서기온 발생은 증가하여 평균 기온의 상승을 유도하였고, 지표면 녹지화(greenness) 역시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한편, 한반도의 1990년 이후의 여름철 평균 강수는 그 이전에 비해 15 % 정도 증가하였다. 이는 8월 강수량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장마 기간 동안의 평균 강수량은 오히려 약 5 % 감소하였다. 집중호우의 경우 197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강수가 없던 날의 지속일수 역시 다소 증가하여, 강수의 지속성은 약해지고 집중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한 태풍의 발생 빈도가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10년 동안에는 한반도 남동쪽으로 상륙하는 태풍의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도시화 효과에 의한 기온 증가는 1950년대 이후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반도 평균기온 증가의 약 28%가 도시화 효과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엘니뇨 해의 한반도 겨울철 평균 기온은 대체로 평년보다 높았으며, 여름철 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다. 여름철 강수의 경우 엘니뇨 해에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근 들어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시작한 중태평양 엘니뇨의 발달시기에는 한반도에 온난한 여름 가을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기후변화 탐지와 원인규명은 미래 기후변화 전망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건으로, 앞으로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환경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