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nowledge Contents Acquisition in Public Organizations

공무원들의 지식콘텐츠 획득 현황과 방안

  • 이향수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 ;
  • 이성훈 (청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과)
  • Received : 2011.04.05
  • Accepted : 2011.07.06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Knowledge contents acquisition has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unlike knowledge sharing and utilization. For an organization to generate and preserve a competitive advantage, it is vital that its knowledge contents be acquired. This study analyzes, by quantitative approach of surveys, the degree of activities of knowledge contents acquisition for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are not aggressively involved in knowledge contents acquisition activities.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유형 또는 무형의 지식콘텐츠는 공사부문을 막론하고 모든 조직에서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콘텐츠의 획득활동은 조직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의 유입을 의미하며, 또한 획득 활동을 기반으로 공유나 활용 등의 기타 지식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조직의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통해 공무원들의 개별적 특성과 지식콘텐츠 획득활동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정도는 보통수준이며, 형식적이며 소극적인 지식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 M. Drucker,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Collins. 1993.
  2. 매일경제신문사, 두뇌강국보고서, 1999.
  3. 행정자치부, "정부지식관리시스템구축 기본계획", 2000.
  4. K. M.Wiig, Knowledge Management Foun dations: Thinking About Thinking - How People and Organizations Create, Repre sent, and Use Knowledge, Schema Press, Arlington, TX. 1993.
  5. V. der Spek and A. Spijkervet, "Knowledge Management: Dealing Intelligently with Knowledge," In Liebowitz & Wilcox, eds.,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Integrative Elements, CRC Press, 1997.
  6. R. Ruggles, "Tools for Knowledge Management: An Introduction," R. Ruggles, ed. Knowledge Management Tools, Butterworth-Heinemann, 1997.
  7. M. Marquardt, Buil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McGraw Hill, 1996.
  8. K. Wang, O. R. Hjelmervik, and B. Bremdal, Introduction to knowledge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Tapir Academic Press, 2001.
  9. 이재규, 글로벌 지식사회의 지식경영학원론, 박영사, 2003.
  10. 허명숙, 천명중, 지식경영시스템, 서울:한경사, 2007.
  11. 안문석, 정보체계론, 학현사, 2005.
  12. M. Alavi and D. Leidner, Review: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Conceptual Foundations and Research Issues, MIS Quarterly, Vol.25, No.1, pp.107-136, 2001. https://doi.org/10.2307/3250961
  13. 이정호, 김영걸, 김민용, "지식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창출활동과 지식 공유활동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7권, 제1호, pp.13-30, 2006.
  14. 이종수, "공공조직, 민간조직 종사자들간의 욕구 체계 비교분석과 정책적 함의: 효과적 인력관리를 위한 인센티브의 운용 관점에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제28권, pp.149-168, 1997.
  15. C. L. Jurkiewiez, T. K. Massey, and R. G. Brown, Motivation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 Comparative Study, Public Productivity & Management Review, Vol.21, No.3, pp.230-250, 1998. https://doi.org/10.2307/338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