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ive Factors of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 Received : 2011.06.09
  • Accepted : 2011.07.11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for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to understand the predictive factors of social exclus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was examined targeting 4,040 old people in more than 65 years old by using the second data for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in 2008 by Korea Labor Institute.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for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the old people were indicated to be 45.4% for economic exclusion, 78.7% for working exclusion, 17.8% for residing exclusion, 43.8% for health exclusion, 33.7% for educational exclusion, and 34.3% for social-activity exclusion. Second,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economically was indicated to be bigger in the older age, in a case of not residing in a city and in the more number in household members.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working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that old person is woman, in the older age, in a case that old person’s religion is christianity, in a case without spouse, in the more residing in a city, in a case that a household type is poor, in a case of dwelling in apartment, in the more number in household members.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residing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without spouse, in the more residing in a city, in a case that a household type is poor, in a case that a residing house type is general house, and in the less number in children.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education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that old person is woman, in the older age, in a case that religion is not Christianity, in a case without spouse, in a case of not residing in a city, in a case that a household type is poor, in a case of the more children alive.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health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that old person is woman, in the older age and in a case that a household type is poor. The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social activity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that old person is woman, in the older age, in a case that religion is not Christianity, in a case that a household type is poor, in a case of dwelling in apartment. This study has value as a basic research on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 2008년도 고령화연구패널(KLoSA) 2차 data 중 65세 이상 노인 4,040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경제적 배제를 경험하는 노인이 45.4%, 근로배 제 78.7%, 주거배제 17.8%, 건강배제 43.8%, 교육배제 33.7%, 사회활동 배제 34.3%로 근로배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배제의 경우 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손자녀를 돌볼 경우 경제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배제는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할 경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근로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배제의 경우, 노인의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일반주택에 거주할 경우, 생존자녀수가 적을수록 주거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은 경우, 기독교가 아닌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생존자녀수가 많을 경우 교육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에, 연령이 많을수록, 빈곤가구일 경우 건강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일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기독교가 아닌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사회활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컸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의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기초적인 연구로 가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 "사회적 배제 개념의 정책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동향과 전망, pp.66,9-31, 2006.
  2. 강신욱, 김안나, 박능후, 김은희, 유진영.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2005.
  3. 강현정, 김윤정, "사회적 배제 경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4, No1, pp.333-358, 2010.
  4. 곽효문, "노인의 여가생활과 문화 복지적 접근, 노인복지연구", 가을, pp.27-49, 2002.
  5. 김교성, 노혜진,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Vol.34, pp.133-162, 2008.
  6. 김수영, 모선희, 원영희, 최희경, 노년 사회학, 학지사, 2009.
  7. 김수정,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pp.93-133, 2007.
  8.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이론, Vol.32, pp.227-330, 2007.
  9. 김안나, 노대명, 김미숙, 신호성, 홍인옥, 김태완, 강민희, 이소정, 원일, 윤필경, 유정예,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b.
  10. 김윤정, 노년학, 금광출판사, 2008.
  11. 김주현,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Vol.27, No.4, pp.739-754, 2007.
  12. 김태준,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남기철, "한국사회의 사회적 배제와 장애인 고용", 장애인고용, Vol.15, No.2, pp.121-142, 2005,
  14.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영국,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pp.253-277, 2004.
  15. 박능후, 송미영,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상태 변화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31, pp.7-26, 2006.
  16. 박석돈, 박순미, 이경희, 노인복지론, 양서원.
  17. 박영미, "복지국가에서의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적 배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8, No.4, pp.11-41, 2008.
  18. 배미애,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지역 차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Vol.24, No.1, pp.151-191, 2007,
  19. 배지연, 노병일, 곽현근, 유현숙,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33, pp.7-28, 2006.
  20. 백혜성, 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1. 보건복지가족부, 전국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7.
  22. 석재은, 김태완, 노인의 소득실태 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3. 심창학, "사회적 배제와 사회복지 정책적 접근", 상황과 복지, Vol.19, pp.13-54, 2004.
  24. 여유진,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5. 여지영, 여성가구주와 남성 가구주의 빈곤 차이에 간한 연구-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6. 유경준, 김대일, 외환위기이후 소득분배 구조변화와 재분배 정책 효과분석, 한국개발원, 2002.
  27. 유현숙, 곽현근, "여성 한 부모 가족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34, pp.245-272, 2007.
  28. 윤정향, 이병훈, "사회복지 배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 Vol.48, No.1, pp.145-186, 2005.
  29. 윤홍식,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 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2, pp.5-27, 2004.
  30. 정경희,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성공적 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31. 정경희,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Vol.2009, No.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6-14, 2009.
  32. 정미숙, "빈곤과 젠더의 상호연계성에 대한 시론-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pp.55-92, 2007.
  33. 정윤태, 노인의 사회적 배제 규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강 및 경제 의존성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4. 조명희, "노년기 여가활동; 노년기 여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5, No.1, pp.209-222, 2007.
  35.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2, pp.7-34, 2003.
  36. 최현수, 류연규, "우리나라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3, No.3, pp.143-160, 2003.
  37. 최희경, "빈곤여성노인의 생애와 빈곤형성분석", 노인복지연구, Vol.27, pp.147-174, 2005.
  38.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8.
  39. 통계청, e-나라지표, 통계청 D/B, 2009.
  40. 통계청, 2009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10.
  41.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Vol.22, No.3, pp.245-259, 2002.
  42. 한국가족학연구회, 가족학연구의 이론적 접근, 법문사, 1991.
  43. 한국노동연구원, 고령화연구 패널, 2011.
  44. Y. Berman and D. Phillips,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Exclusion at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0, 2000.
  45. Euro Health Net, Health, Poverty and social inclusion in Europe, Euro Health Net, 2003.
  46. J. Figueiredo and Hann, A. Social Exclusion; An ILO perspectiv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r Studies, 1998.
  47. Hooyman, R. Nancy and Asuman Kiyak, H, Social Gerontology, PERSON, 2008.
  48. L. Leisuring and S. Leibfried, Time and Poverty in Western Welfare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9. D. K. McLaughlin and L. Jensen, "Work History and U.S. Elders' Transitions into Poverty," The Gerontologist, Vol.40, No.4, pp.469-479, 2000. https://doi.org/10.1093/geront/40.4.469
  50. OECD, The OECD of Social Indicators. Paris, 1982.
  51. L. Richardson and L. J. Grand, Oursider and Insider Epertise, "The Response of Residents of Deprived Neighbourhoods to and Academic Definition of Social Exclusion,"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36, No.5, pp.496-515, 2002. https://doi.org/10.1111/1467-9515.00299
  52. G. Room, Beyo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Bristol, Policy Press, 1995.
  53. Social Exclusion Units, Preventing Social Exclusion Report by the Social Exclusion Unit. London, The Stationery Office, 2001.
  54. R. Walker, The dynamic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eyo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p.102-128. G .Room(ed.,). Bristol; Policy Press. 1995.

Cited by

  1.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of Elderly in Volunteer Activities vol.13, pp.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18
  2.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vol.24, pp.3, 2013, https://doi.org/10.7856/kjcls.2013.24.3.343
  3. A Multidimensional Approach on Poverty of Households with Children : A Typolog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vol.14, pp.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129
  4. Income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of Elderly Households vol.56, pp.2, 2018, https://doi.org/10.6115/fer.2018.014
  5. Multidimensional Poverty Analysis of Elderly Households by Cohort vol.57, pp.1, 2019, https://doi.org/10.6115/fer.2019.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