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 Factors on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련성 분석

  • Kim, Sun-H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aya University)
  • 김선희 (가야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1.02.28
  • Accepted : 2011.05.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factors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language 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mother's acculturation, parenting, an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150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aged 3, 4, and 5, their mothers, and 108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 (1) Mother's integrative accultu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mother's parenting.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cculturation and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and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3)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degree of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Keywords

References

  1. 구수연(2007).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95-124.
  2. 구효진․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3. 교육부(1999).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교육자료. 서울: 교육부.
  4. 권복순․차보현(2006).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 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5. 김경숙․공진희․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 311-335.
  6.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경기도: 학현사.
  7. 김수연(2007). 유아의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의 적응과의 관계: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2009년 전국다문화 가족실태조사 연구. 정책보고서 2010-06. 서울:보건복지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 사회연구원.
  9. 김오남(2005).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영숙(1997).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가정 환경 제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정구논문.
  11. 김영태․성태제․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2. 김영희(1996).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변인 탐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희태․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4. 박경자․김송이(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아동학회지, 28(5), 91-108.
  15. 박미경․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 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6. 박영신(2010).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1(6), 35-50.
  17. 박영아(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보육 교사의 보육경험 실태. 유아교육연구, 30(1), 197-223.
  18. 박희숙․이승은(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19. 배병렬(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2판). 서울: 청람.
  20.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21.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2.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3). 167-189.
  23. 신선희(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 적응유연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신지연, Bayram-Ozdemir, S., Lee, J., & Cheah, C. S. L.(2010). The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social emotional outcomes of Korean immigrant mothers with different acculturation strategies. 아동학회지, 13(1), 179-195.
  25.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오성숙(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언어능력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오재연․송미선(2009). 외국인 어머니를 둔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243-261.
  28.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29. 유우영(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윤갑정․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31. 윤현숙(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1), 415-430.
  32. 이경화․고진영(2006). 자아개념검사. 서울: 학지사.
  33. 이영숙․서소정(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5), 143-155.
  34. 임말자․최경순(2003). 유아의 성, 연령, 기질 및 가정 환경자극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3(1), 189-207.
  35. 임진숙(2008).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대현․장지영(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학논집, 13(1), 309-328.
  37. 정민영․정정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유아교육연구, 30(3), 141-168.
  38. 정선희(1997).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40.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1. 최정아(2008). 결혼이민자 가정의 가정환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최충옥․모경환(2007).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연구. 시민교육연구, 39(4), 163-182.
  43. 최형성(2009).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아동의 자존감 모형 탐색. 아동학회지, 30(5), 245-262.
  44.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45. 한지은(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 형태와 사회적 지지 정도가 자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홍달아기․채옥희(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47. 황상심(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Abidin, R. P.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 of Clinical Child, 21(4), 401-412.
  49. Andeson, M., & Hughes, H. M.(1989). Parenting attitudes and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J. of Genetic Psychology 150(4), 463-465. https://doi.org/10.1080/00221325.1989.9914615
  50. Banks, J. A., & Banks, C. M.(2003).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2nd ed.). CA:Jossey-Bass.
  51.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52.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An International Review, 46(1), 5-68.
  53.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164-176. https://doi.org/10.1037/0012-1649.22.2.164
  54. Calzada, E. J., Brotman, L. M., Huang, K., Bat-Chava, T., & Kingston, S. (2009). Parent cultural adaptation and child functioning in culturally diverse, urban families of preschoolers.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 515-524. https://doi.org/10.1016/j.appdev.2008.12.033
  55. Chen, X., Rubin, K. H., & Li, B. (1997). Maternal acceptance and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4), 663-681.
  56. Dinh, K. T., Roosa, M. K., Tein J., & Lopez, V. A.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problem behavior proneness in hispanic youth sample:a longitudinal mediation model. J.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3), 295-309.
  57. Farver, J. M., & Lee-Shin, Y. (2000). Acculturation and Korean-American children's social and play behavior. Social Development, 9(3), 316-336. https://doi.org/10.1111/1467-9507.00128
  58.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59. Jewsuwan, R., Luster, T., & Kostelin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60. Ladd, G. W., & Price, J. M.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https://doi.org/10.2307/1130613
  61. Marchand, J. F., & Ellen, H. (1998). The relation of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to depressive symptoms in mothers and fathers. J. of Genetic Psychology 159, 353-367. https://doi.org/10.1080/00221329809596157
  62. Rubin, K., Burgess, K. B., & Dwyer, K. M. (2003). Predicting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from toddler temperament, conflict, and maternal negativity. Developmental Psychology, 39(1), 164-176. https://doi.org/10.1037/0012-1649.39.1.164
  63. Schmidt, M., DeMulder, E. K., & Denham, S. (2002). Kindergarten social-emotional competence:Developmental predictors and psychosocial implica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 451-462. https://doi.org/10.1080/03004430214550
  64. Seifer, R., Dickstein, S., & Samerroff, A. J. (2001). Infant mental health and variability of parental depression symptoms. J.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12), 549-559. https://doi.org/10.1097/00004583-200105000-00014
  65. Shaffer, D. J.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CA:Wadsworth/Thompson Learning.
  66. Swenson, R. R., & Prelow, H. M. (2005). Ethnic identity, self-esteem, and perceived efficacy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of supportive parenting to psychosocial outcomes among urban adolescents. J. of Adolescence, 28, 465-477.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4.09.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