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y of Washland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강변저류지 설치 우선순위 선정

  • Ahn, Tae-Jin (Dept. of Civil Eng., Hankyong National Univ.) ;
  • Kim, Do-Hyeon (Division of Water Res., SANGJI Eng.) ;
  • Baek, Chun-Woo (School of Envir. Systems Eng. & Centre for Ecohydrology, Univ. of Western Australia)
  • Received : 2011.02.08
  • Accepted : 2011.06.21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Within a basin, there are potentially multiple locations that can be used as a washland, given their relatively small size when compared with other hydraulic facilities such a dam.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install washlands in all these potential locations due to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is study, a new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y of washlands is presented. How to integrate the decision variables in this decision making problem has been a key issue in previous studies because a washland can provide many benefits such as flood reduction, agricultural benefit and recreational benefit. In particular, a methodology is needed to integrate all decision variables realistically, properly and reasonably,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t sufficient data for direct integration of all these decision variables such as construction cost or benefits a washland can provide. This new methodology aims to suggest how to integrate methodologi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suggested methodology uses four different rankings which are determined based on a flood reduction effect, a relative significance index, an economic analysis, and a space planning suitability index. These rankings are integrated to determine a final installation priority ranking of washlands by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e new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the Anseong river basin, to show its applicability, and the application result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설치가 가능한 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강변저류지의 설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강변저류지의 최적위치 선정을 위해 기존의 수행된 연구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나,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변수의 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해결해야할 가장 큰 문제이다. 특히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해야할 다양한 변수를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하기 위한 자료가 불충분한 국내의 경우,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가정들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변수들은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기법은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해 수행된 기존 연구결과들의 장점을 포함하며, 보다 많은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존에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단위저류용량대비 홍수저감효과에 의한 우선순위,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한 우선순위, 경제성평가에 의한 우선순위 및 공간계획적합성 평가에 의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들 네 가지 순위와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하나의 순위를 도출한다. 제안된 기법을 안성천유역의 13개 후보강변저류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5). 천변저류지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 건설교통부(2007). 안성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건설교통부.
  3. 곽재원, 김덕길, 윤선화, 김형수(2009). "다차원법을 이용한 천변저류지의 홍수조절 효과분석." 한국습지학회지, 한국습지학회, 제10권, 제3호, pp. 69-78.
  4. 김덕길,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2007).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홍수위저감효과 분석." 2007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660-2663.
  5. 박창근, 박재현, 이종진(2007).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2007한 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31-335.
  6. 백천우, 김복천, 안태진(2009). "월류부특성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1호, pp. 145-150.
  7. 백천우, 변천일, 김도현, 안태진(2010). "강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0권, 제2호, pp. 123-133.
  8. 백천우, 안태진(2009). "설계빈도를 고려한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7호, pp. 559-569. https://doi.org/10.3741/JKWRA.2009.42.7.559
  9. 안태진, 강인웅, 백천우(2008).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 기반의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7호, pp. 725-735. https://doi.org/10.3741/JKWRA.2008.41.7.725
  10. 안태진, 변천일, 노희성, 백천우(2010). "경제성 분석에 의한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8호, pp. 681-694. https://doi.org/10.3741/JKWRA.2010.43.8.681
  11. 장동수, 백미나(2009). "천변저류지 공간계획의 적합성 평가지표 선정."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한국 생태환경건축학회, 제9권, 제3호, pp. 21-27.
  12.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2005).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2005 대한토목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3-236.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기 술개발 : 홍수터 보존/복원 기술개발(06건설핵심B01), 3차년도 연구성과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4. Forster, S., Kneib, D., Gocht, M., and Bronstert, A. (2005). "Flood risk reduction by the use of retention areas at the Elbe river." International Journal of River Basin Management, IAHR, INBO and IAHS, Vol. 3, No. 1, pp. 21-30.
  15. Kruskal, J.B. (1964). "Multidimensi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Vol. 29, No. 1, pp. 1-27. https://doi.org/10.1007/BF02289565
  16. Yeh, C.H., and Labadie, J.W. (1997). "Multiobjective watershed-level planning of storm water deten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3, No. 6, pp. 336-343.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7)123:6(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