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Gyeongju Using RUSLE Method

RUSLE 기법을 이용한 경주지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 Oh, Jeong-Hak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u, Ju-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Kim, Kyung-T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S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of top soil conservation in soil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 soil loss by establishing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using RUS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apply the RUSLE model, we calculated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by using 5 factors; rainfall erosion factor(R), topographical factor(LS), soil erosion factor(K), land cover factor(C) and erosion control factor(P). The assessment map of soil loss was drawn up by classifying 5 grades. According to the soil loss estimation by the RUSLE, it showed that approximately 83.9% of the study area had relatively lower possibility of soil loss which was the 1 ton/ha in annual soil loss. Whereas, the 7.0% of the study area was defined as high risk area which was the 10 ton/ha in annual. Therefore, this area was needed that there wa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of farm land, improvement of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o forth.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the amount of soil loss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yeongsan river watershed,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soil environment in Gyeongsangbuk-do.

Keywords

References

  1. 고병구, 강기경, 홍석영, 이덕배, 김민경, 서명철, 김건엽, 박광래, 이정택, 2009, 용인시의 토지이용면적과 지표면 온도 변화를 이용한 환경보전 기능 변동 계량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8(1), 1-8.
  2. 고지연, 이재생, 정기열, 윤을수, 최영대, 김춘식, 박성태, 김복진, 2006, USLE 및 GIS, R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3), 173-183.
  3. 경주시, 2009, 경주시통계연보, 경주시.
  4. 국립방재연구소, 1998,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I), 국립방재연구소.
  5. 권형중, 박근애, 김성준, 2002, GIS 및 다시기 RS 자료를 이용한 토양손실량 변화 및 이동경로 추정, 한국GIS학회지, 10(1), 139-152.
  6. 김영표, 이관희, 송성태, 2008, 가야산국립공원의 토양침식지역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3), 1-11.
  7. 김주훈, 김경탁, 연규방, 2003, GIS를 이용한 토양 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 22-32.
  8. 김주훈, 오덕근, 2004, 빈도별 R인자에 의한 토양 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2), 47-56.
  9. 김주훈, 이충대, 김경탁, 최윤석, 2007, WAMIS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 분석-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22-131.
  10. 김주훈, 김경탁, 이효정, 2009,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 지역 분석, 한국GIS학회지, 17(3), 261-268.
  11. 노진운, 2008, 도시화유역의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 24-36.
  13. 박재현, 2004, 리기다소나무림 임분에서 숲가꾸기가 토양의 물리성 및 산림의 수질정화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 한국임학회지, 93(1), 1-9.
  14. 박지상, 김건하, 2006, RUSLE 모델을 이용한 금강 유역의 토지이용별 토사유출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619-625.
  15. 송성태, 2006, GIS 및 RUSLE 모형을 이용한 가야산국립공원의 토양침식 위험지역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오정학, 정성관, 2005, 토지자원관리를 위한 낙동강 유역의 잠재적 토양유실량 산정, 농촌계획, 11(2), 9-19.
  17. 이규성, 1994, 산림유역의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범용토양유실식(USLE)에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83(3), 322-330.
  18. 이근상, 이환주, 임승현, 조기성, 2001, GSIS를 활용 한 토양침식모형에서 지형인자의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1(4-D), 545-554.
  19. 이근상, 최연웅, 박진혁, 2011, GIS를 이용한 댐 저수지의 흙탕물 발생 가능성 비교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 94-106.
  20. 이길하, 이근상, 조홍연, 2008, 기후변화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GIS 기반 토양침식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3D), 423-429.
  21. 임현수, 2005, RUSLE와 GIS를 이용한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량 산정 및 잠정 위험 지구 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영률, 이근상, 조기성, 2002, GIS기반에서 토양 침식의 정량화를 위한 해상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0(2), 301-316.
  23. 정강호, 김원태, 허승오, 하상건, 정필균, 정영상, 2004, 수치정밀토양도에 기초한 전국 토양유 실량의 평가를 위한 USLE/RUSLE 인자의 산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4), 199-206.
  24. 정영상, 권영기, 임형식, 하상건, 양재의, 1999, 강원도 경사지 토양유실 예측용 신USLE의 적용을 위한 강수인자와 토양침식성인자의 검토,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1), 31-38.
  25.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김기태,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 112-118.
  26. 최윤영, 최정우, 2010,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사량 특성분석을 위한 SWAT 모형의 적용, 한국수처리학회지, 18(1), 59-72.
  27. 허봉구, 임상규, 김유학, 이계엽, 1997, 우리나라 논 토양 유형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0(1), 62-66.
  28. Morgan, R.P.C., 1995,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 Longman, London.
  29. van Remortel, R.D., M.E. Hamilton, and R. Hickey, 2001, Estimating the LS factor for RUSLE through iterative slope length processing of DEM elevation data, Cartography, 30(1), 27-35. https://doi.org/10.1080/00690805.2001.9714133
  30. van Remortel, R.D., R.D. Maichle, and R.J. Hickey, 2003, Computing the LS factor for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hrough array-based slope processing of digital elevation data using C++ executable, Computers and Geoscience, 30(9-10), 1043-1053.

Cited by

  1. 소옥천유역 토양유실 우심지역 선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vol.21, pp.5, 2012, https://doi.org/10.14249/eia.2012.21.5.617
  2. 경주국립공원 도심 지역 내 탐방로의 자연도 평가 - 소금강 지구, 화랑 지구, 서악 지구를 대상으로 - vol.22, pp.4, 2011, https://doi.org/10.14249/eia.2013.22.4.303
  3. RUSLE 모형을 이용한 경주국립공원의 토양침식 위험지역 추정 vol.27, pp.5, 2011, https://doi.org/10.13047/kjee.2013.27.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