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기영, 김주경, 홍관의, 성기백, 이철호, 문창호, 2005, 남대천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과 영양염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 55-56.
- 권기영, 이평강, 박철, 문창호, 박미옥, 2001,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부경사에 따른 동.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종조성, 한국해양학회지, 6, 93-102.
- 김용재, 2003,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18, 207-215.
- 김용재. 2007,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규조 군집변화, 한국육수학회지, 40, 468-480.
- 김용진, 신경애, 이옥민, 2009,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달천의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환경생물학회지, 27, 414-424.
- 김용진, 이옥민, 2010, 부착규조지수와 영양단계 평가를 이용한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수질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43, 117-128.
- 김치홍, 이완옥, 홍관의, 이철호, 김종화. 2006. 양양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 112-118.
- 박재충, 박정원, 김대현, 신재기, 이희무, 2005, 안동호의 수역별 영양상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한국육수학회지, 38, 95-104.
- 박종근, 이정준, 2005, 대청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20(3), 197-205.
- 신성교, 백경훈, 송미경, 2002, 낙동강 중 하류수역에서 클로로필 a 최대농도 출현지역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5, 21-27.
- 신용식, 이창희, 조기안, 송은숙, 2005,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orophyll a) 및수질동향, 한국육수학회지, 38, 160-180.
- 신윤근, 김영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2, 187-197.
- 신윤근, 전상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한국육수학회지, 35, 181-186.
- 윤이용, 김대현, 이승목, 1999, 강릉 남대천 하류의 오염물질 정체현상과 강릉수력 발전방류수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1, 2221-2230.
- 이옥민, 유미선, 이병인, 임안숙, 2008, 전남 갈곡천과 인천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한국조류학회지, 23, 257-268.
- 이용혁, 양재삼, 1997,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 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한국해양학회지, 6, 201-210.
-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17, 275-281.
-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2003,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징, 한국조류학회지, 18, 255-262.
- 정승원, 이진환, 허희권, 2004, 한강 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I, 부영양 요인의 통계적 해석, 한국육수학회지, 37, 78-86.
- 정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출판사, 서울, 496.
- 정준, 김한순, 김용재, 1994, 낙동강 하구댐의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구조, 한국육수학회지, 27, 33-46.
- 하경혜, 최광희, 김종욱, 2009, 강릉 연곡천 하구의 지형 특성과 염도 분포, 한국지형학회지, 16, 89-100.
- 홍재상, 서인수, 이창근, 윤상필, 전래홍, 2000, 양양 남대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 230-237.
- 황상일, 윤순옥, 2008, 한반도 중부 동해안 석호 및 주변 유역의 지형특성과 하구부 퇴적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5, 17-33.
-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us index for lak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 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 Ettl H., G. Gartner,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91b,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4. Bacillariophyceae,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86,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88,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2. Bacillariophyceae,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Berlin.
-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1991a,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3. Bacillariophyceae,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Berlin.
- Forsberg C. and Ryding V.H.,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Ws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es of Hydrobiology, 89, 189-207.
- Hirose H. M., Akiyama T., Imahori K., Kasaki H. Kumano S., Kobayasi H., Tajahashi E., Tsumura T., Hirano M. and Yamagishi T., 1977,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932.
- Horne A. J. and Goldman C. R.,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457-475.
- Jim?nez F. J., Bautista R. B. and Rodriguez V., 1987, 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phytoplankton cell abundance and biovolume during a winter bloom in Mediterranean costal water, J, Exp, Mar, Bio, Ecol, 105, 161-173. https://doi.org/10.1016/0022-0981(87)90169-9
- Lasson U. and Hagatrom A., 1982, Fractionate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in Baltic eutrophication gradient, Marine Biology, 67, 57-70. https://doi.org/10.1007/BF00397095
- Odete T. and Yanada M., 1993, Phytoplankton carbon biomass estimated from the sizefractionated Chl-a concentration and cell density in the Northern Costal Wasters from Spring bloom to summer, Bulletin of the Plankton Society of Japan, 39, 127-144.
- Palmer C. M., 1980, Algae and water pollution. Castle Publication Ltd., UK, 213.
- Patrick R. and Reimer C. W., 1975,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11(1), The Academy f Natural Sciences, Philadelphia, 213.
- Prescott G. 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Otto Koeltz Science Publishers, Germany, 976.
- Round F.E., Crawford R.M. and D.G. Mann, 1990, The Diatoms, 747.
- Shin J. K., 2003, Seasonal dynamics of aquatic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in Pyeongtaek reservoir, Korea, Algae, 18, 145-156.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45
- Stoermor E. F. and Ladewski T. B., 1978, Phytoplankton association in Lake Ontario during IFYGL (International Field Year for the Great Lakes), Univ. Michigan, Great Lakes Res, Div. Publ., 64.
- U.S. EPA, 1995, Generic quality assurance project plan guidance for programs using community-level biological assessment in stream and wadeable river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EPA 841-B-95-004.
- Watanae T, T Ohtsuka, A Tuji and A Houki,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es, Uchida roka-kuho, Tokyo. 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