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 and Gyeongbuk Area

  • 성현란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Hyun-Ran Sung (Department of Psych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투고 : 2011.03.07
  • 심사 : 2011.04.15
  • 발행 : 2011.05.31

초록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에 있어서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그리고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다문화가정의 부부 100쌍이었으며 남편 평균 연령은 41.6세, 아내 평균 연령은 29.6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은 주로 베트남과 중국이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아내문화수용의 세 변인은 아내의 문화적응의 네 하위 요인(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주변화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남편의 이들 세 변인 중 아내문화수용만 아내의 결혼만족과 삶의 만족을 각각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아내 문화적응의 네 하위유형 중 주변화는 아내의 결혼 및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통합은 삶의 만족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남편의 성역할고정관념은 아내문화수용 및 다문화감수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내의 문화적응 중 동화는 통합과 약한 정적 상관, 주변화와는 중간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만족 및 삶의 만족은 남편의 이문화 이해를 비롯한 남편관련 변인에 의한 문화적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문제가 아닌 다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임을 인식시켜주었다는 점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wife's culture on immigrant women's accultur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The data of 100 immigrant women and their husbands were analyzed. Husbands' mean age was 41.6 and wifes' mean age was 2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wives' culture together explain only marginalization among wives' acculturation(integration, assimilation, segregation, and marginalization) significantly, but individual variable's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second, husbands' acceptance of wives' culture explain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ird, only marginalization among four types of acculturation explain significantly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tegration explain only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s related with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and their intercultural sensitivity negatively. In wives' acculturation, there is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and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in intercultural family in Korea are explained by acculturati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ir husband's acceptance of wives' culture and they are not only immigrant wife's problem but multicultural problem.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10년 대구경북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도움을 주신 대구경북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와 연구수행에 도움을 준 당시 석사과정생 지은주 선생님에게 감사한다.

참고문헌

  1. 강유진 (1990).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권복순, 차보현 (2006).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지, 58(3). 109-134.
  3. 금명자, 권혜수, 이희우 (2004). 탈북 청소년의 문화적응과정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95-308.
  4. 김근영, 곽금주, 배소영 (2009).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71-597.
  5. 김미자 (2008). 북한이탈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양희, 장미혜, 김경희, 장윤선, 조소영, 박기남, 남정현, 김영주, 함한희, 김미경, 이미원, 김혜림, 염미경 외 (2006). 국가균형발전모델의 성주류화 전략 개발-성평등한 균형 발전과 지역혁신. 한국여성개발원.
  7. 김영주 (2006) 농촌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과 특성: 충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2006년도 정기학술대회논문집, 47-59.
  8. 김오남 (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 박사학위 논문.
  9. 김오남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한국가족복지학, 12(3). 47-73.
  10. 김은경 (2008).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83-94.
  11. 김진희, 박옥임 (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8(1), 127-160.
  12. 김한곤 (2009).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경북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9(1), 83-120.
  13. 김혜순 (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 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42(2), 38-71.
  14. 나임순 (2008). 외국인 결혼 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영리연구, 7(1), 97-135.
  15. 문은희 (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여가참여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명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경동 (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1131-1152.
  17.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18.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19. 박재규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요인분석: 전북지역사례. 농촌경제, 29(3). 67-84.
  20.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21. 박주희, 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21.
  22. 법무부(2009). 2008년부터 2009년 8월말까지 연도별 여성결혼이민자 체류현황.
  23. 변미희, 강기정 (2010). 다문화 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2), 127-141.
  24. 설동훈 (2006). 한국의 결혼이민자 가족: 현황과 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7.
  25. 성지혜 (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 간의 결혼 연구. 대구효성가롤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안지민 (2009). 대구지역 다문화지원 인프라 운영 모델 및 발전방향. 대구경북연구원.
  27. 안현정 (2003).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한국남성과 필리핀여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양순미 (2007).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행복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17(2), 5-39.
  29. 양순미, 정현숙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30. 양옥경 (1994).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4. 157-194.
  31.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지, 14(1), 137-168.
  32. 유영은 (2006).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윤순갑, 김명하 (2007). 대구, 경북 지역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동서사상, 8, 33-64.
  34. 윤형숙 (2004).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년도 한국여성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35. 윤형숙 (2005). 외국인 출신 농촌 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 와 지방문화, 8(2), 299-339.
  36. 이은희 (2009).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결혼 이민자 여성의 적응연구-탄력 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가족복지학, 14(1), 73-94.
  37. 이정희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장온정 (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전병희 (2008).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전은애 (2008).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어머니 문화적응차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정승혜 (1987).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2.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101-136.
  43. 정천석, 강기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1), 5-23.
  44. 조혜선 (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자원, 성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 37(1), 91-115.
  45. 지은주 (2011). 아동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간 감수성 및 부모 고정관념이 아동의 다문화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천혜정, 민성혜, 이민영, 최혜영 (2009).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14(2), 5-27.
  47. 최경숙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대구경북지 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8. 최운선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6(1), 141-181.
  49.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1(1). 163-194.
  50. 통계청 (2009). 지자체별 외국인 주민현황.
  51.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 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52. 홍기혜 (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Barry, D. T. (2001).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acculturation: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EAAM). Journal of Immigrant Health, 3(4), 193-197.
  54. Berry, J. W. (1990). Psychology of acculturation: Understan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ulture. In R. Brislin (Ed.). Applied cross-cultural psychology. Newbury Park, CA: Sage.
  55.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Padilla(ed).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Boulder, CO: Westview.
  56.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57. Berry, J. W. (2006).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3), 697-712.
  58. Berry, J. W., Phinney, Sam, Vedder, (2006). Immigrant youth: 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55(3), 302-332.
  59. Berry, J. W., & Sam, D. L. (1997).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J. W. Berry, M. H. Segall, & C. Kagitcibasi (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 Social behavior and applications (2nd edition. pp. 291-326). Boston, MA: Allyn & Bacon.
  60. Chen, G. M., & Starosta, W. J. (200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8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eattle, WA.
  61. Gustavo, S. Mesch, H. T., & Fishman, G. (2008).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the Well-being of Immigrant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7, 592-604.
  62. Katie, A. M. (2007). Racial/Ethnic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 801-816.
  63. Valery, C. (2009). Critical psychology of acculturation: What do we study and how do we study it, when we investigate accultu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3, 94-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