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 of War Helmets Worn by High Nav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임진왜란기(1592~1598) 상급 수군 투구(胄)의 유형별 특성과 일러스트화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r helmets that were worn by high navy officer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War helmets worn during the War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a visor or 'cheom' and tongues or 'drim'. The war helmets of circumferential type has neither cheom nor drim. Those of cheom type has cheom, but not drim. And those of drim type has both drim and cheom or jeonbi. The war helmets of cheom type consist of a gamtu which is made of steel and looks like a reversed bowl and cheom that surrounds the entire circumference of gamtu. The war helmets of drim type are reclassified into two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gamtu and whether they have ganju. Of the two types, one type looks like a reversed bowl and has decorations on the top without ganju. The other type looks like a bottle neck and has ganju on the top, decorations above ganju. War helmets were in transi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Both the war helmets of cheom and drim types were worn during the War. At that time, the officers also wore war helmets having no ganju and looking like a reversed bowl and those having ganju and looking like a bottle neck. During the period, most war helmets were made of steel, but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most of them were made of leather.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임진왜란 조선 수군 군수품 복언제작 타당성 조사 용역

Supported by : 경상남도

References

  1. 이민웅 (2004). 임진왜란 해전사. 서울: 청어람미디어, pp. 18-19.
  2. 장학근 (1967). 임란기 선조의 전략사고와 수군의 입장. 檀國史學會, 史學志(제1집).
  3. 方相鉉(1991). 朝鮮初期水軍制度. 서울: 민족문화사.
  4. 장학근 외 지음 (1997). 조선시대 수군. 서울: 신서원.
  5. 오붕근 (1998). 조선수군사. 서울: 한국문화사.
  6. 김주식 외 지음 (1999.2000.2002.2003). 조선시대 수군(실록발췌수군관련사료집 2, 3-1, 3-2, 4, 5, 6). 서울: 신서원.
  7. 임원빈 외 공편 (2004). 조선시대 수군관련 사료집. 서울: 신서원.
  8. 方相鉉(1991). 朝鮮初期水軍制度. 서울: 민족문화사, pp. 181-182.
  9. 李康七(1978). 韓國의 甲冑小考-豆錫鱗甲冑를 中心으로-. 고고미술, 136.137.
  10. 李康七(1981). 韓國의 甲冑. 服飾, 5.
  11. 송계현 (1988). 삼국시대 갑주의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계현 (200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국립김해박물관, 韓國古代의 甲冑.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13.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 발달사(I).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14.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15. 장경숙 (1999). 영남지역 출토 縱長板胄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가영 (2008). 조선시대의 갑주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 구분. 服飾, 58(5).
  19.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20. 국립중앙박물관 (2007). 하늘이 내린 재상 류성룡.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p. 102-103.
  21.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241-242.
  22.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②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161-162.
  23. 李康七. (1981). 韓國의 甲冑. 服飾, 5, p. 26.
  24. 부산교통공단.慶南文化財硏究院(2010). 東萊邑城垓字II -도면.사진-. 창원: 慶南文化財硏究院, p. 129, 265.
  25. 부산교통공단.慶南文化財硏究院(2010). 東萊邑城垓字II -본문.부록-. 창원: 慶南文化財硏究院, p. 81, 134.
  26.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冑. 서울: 문화재관리국, p. 193.
  27. 자료검색일 2010. 4. 7, 자료출처 http://www.musenet.or.kr.
  28. 李康七(1999). 貞翼公李浣장군 遺物에 대하여 -주로 입사 상감을 중심으로-.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학예지(6), pp. 5-9.
  29. 유선혜 (2006). 李浣(1602-1674)將軍頭釘鐵甲제작기법과 복원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6-79.
  30. 자료검색일 2010. 4. 7, 자료출처 www.ghtv.kr
  31.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100-101.
  32. 김홍 편저 (2001). 韓國의 軍制史. 서울: 학연문화사, p. 148.
  33.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 부산박물관, p. 10.
  34.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 부산박물관, p. 13.
  35. 제장명 (2006). 임진왜란 終戰後李舜臣幕下人物의 활동.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이순신연구논총(7), pp. 82-89.
  36. 김강식 (2010).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효원사학회, 역사와 세계(37), p. 15.
  37.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3.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81.
  38. 李康七(1978). 韓國의 甲冑小考-豆錫鱗甲冑를 中心으로-. 고고미술, pp. 231-232.
  39. 李康七(1981). 韓國의 甲冑. 服飾, 5, pp. 34-35.
  40.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240-250.
  41.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0-111.
  42.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pp. 362-369.
  43.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 발달사(I).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p. 287.
  44.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가람기획, p. 367.
  45. 세종실록 오례 군례서례 병기 갑주 ; 국조오례의 서례 권지4 군례 병기도설.
  46.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0.
  47. 국립진주박물관 (2003). 삶에서 신화까지 충무공 이순신. 진주: 국립진주박물관, pp. 130-131
  48. 전라남도 (1988). 文化財圖錄. 광주: 光州日報出版局, p. 44
  49. 부산박물관. (2009). 조선전기 동래읍성 해자출토 찰갑. 부산: 부산박물관, pp. 28-85.
  50. 송계현 (200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국립김해박물관, 韓國古代의 甲冑.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pp. 44-53.
  51.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7). 대가야복식. 서울: 민속원, pp. 232-268.
  52. 이혜구 역주 (2000). 신역 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p. 494-495.
  53. 김영숙 편저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381.
  54. 세종실록 오례 군례서례 병기 갑주 ;국조오례의 서례 권지4 군례 병기도설 ; 이혜구 역주 (2000). 신역 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p.495.
  55. http://www.searchnavi.com/-hp/rekishi/youyaku/07-1.htm 秀吉の朝鮮侵攻最後の戦闘図
  56.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225.
  57. 조선왕조실록 중종 18년(1523) 6월 1일(경자) ...斬倭頭二十級倭箭十四介漆竹弓一環刀四長劍一槍五槍柄一護項四甲裳一鹿皮赤古里一沙乙甲之六刀鞘一班衣二臂赤一等封裹上送...
  58. 부산교통공단.慶南文化財硏究院(2010). 東萊邑城垓字 II -본문.부록-, p. 80.
  59.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4.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25.
  60.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4.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92.
  61.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4.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71, 74, 105.
  62. 국립대구박물관 (2004). 영남의 큰 고을 星州. 대구: 통천문화사, pp. 108-109.
  63.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冑. 서울: 문화재관리국, p. 188.
  64.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178.
  65. 김영숙 편저.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380.
  66.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冑. 서울: 문화재관리국, p. 210.
  67.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240-241.
  68.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242-251.
  69.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201,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