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부등안과 동등안의 양안 굴절요소 차이 비교

A Comparison of Refractive Components in Anisometropia and Isometropia

  • 투고 : 2011.04.30
  • 심사 : 2011.06.18
  • 발행 : 2011.06.30

초록

목적: 굴절부등안과 동등안에서 안축장, 각막굴절력, 전방깊이,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굴절요소와 굴절부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광주광역시 B병원에서 굴절검사를 통해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을 받고자 하는 환자 중 2.7~15.3세 총 83명, 굴절부등안 45명(90안)과 굴절동등안 38명(7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IOL Master를 이용 안축장과 전방깊이, 각막곡률반경, 각막굴절력을 측정하였고, Auto-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굴절부등안은 안축장이 유의하게 차이가 났으며, 굴절부등안과 동등안에서 굴절이상, 안축장,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굴절부등을 일으키는 요인은 45명 전원이 안축장으로 나타났다. 굴절요소 중 안축장,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는 상관성이 높았고, 각막굴절력은 상관이 없었으며 전방깊이는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굴절이상은 대부분 안축장에 의한 축성 비정시이었으며, 굴절부등의 원인도 다른 굴절요소와는 상관성이 적고, 안축장 차이가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both eyes in corneal powers, axial lengths, anterior chamber depths in anisometropia and isometropia,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isometropia and refractive components. Methods: The subject was a total of 83 patients, anisometropia 45 patients (90 eyes) and isometropia 38 patients (76 eyes) from 2.7 to 15.3 years old, prescribed eyeglasses and contact lenses by refraction from July 2010 to August 2010 in Gwangju City B eye clinic. Axial length, anterior chamber depth, corneal curvature, and corneal refractive power were measured using IOL Master.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meter. Results: Anisometropia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xial length, binocular refractive components,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 Axial length/corneal radius (AL/CR) rati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isometropia and isometropia. The major cause of anisometropia all 45 subjects was the axial length. Among the refractive components axial length, AL/CR had a strong correlation, but corneal refractive power had no correlation. Anterior chamber depth had a weak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refractive error was the most axial ametropia caused by the axial length. The main cause of anisometropia was the axial length, but refractive components had a weak correl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丸尾敏夫, "屈折異常 診療", 4판, 文光堂, pp. 72-73 (1997).
  2. Olsen T., "Prediction of the effective postoperative (intraocular lens) anterior chamber depth", J. Cataract. Refract. Surg., 32:419-424(2006). https://doi.org/10.1016/j.jcrs.2005.12.139
  3. 강현식, "안경학개론", 4판, 신광출판사, pp.300-301 (2008).
  4. Benjamin and William 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W. B. Saunders company, pp.1134-1135(1998).
  5. 마기중, 이군자, 장태원, "서울 거주 어린이에서 안구성장이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4(1):1- 9(2002).
  6. 김동필, 백승선, 김현수, 백행운, 이규병, 홍성혜, 두하영, "대전지역 대학 신입생들의 굴절이상도 및 안광학성분 변화에 대한 추적연구", 대한시과학회지, 12(1):37-51 (2010).
  7. 주석희, 심문식, 심현석, "근시성 굴절부등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국안광학회지, 14(1):121-125(2009).
  8. 박성빈, 권정윤, "굴절부등약시에 대한 가림치료의 효과", 대한안과학회지, 42(12):1753-1759(2001).
  9. 신진아, "안기능과 임상굴절", 1판, 한미의학, pp.218- 219(2003).
  10. 최진영, 김재민, 김현정, "유발된 부동시의 교정에 따른 입체시 변화", 한국안광학회지, 13(4):121-126(2008).
  11. Louis T., Yiong-Huak C., Gus G., Donald T., and Seang- Mei S., "Longitudinal study of anisometropia in singaporean school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47(8):3247-3252(2006). https://doi.org/10.1167/iovs.05-0906
  12. 이상민, 권정윤, "부등시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41(12): 2638-2644(2000).
  13. 최미영, 김연희, "한 눈의 시력이 0.1 이하인 순수 굴절부 등약시의 임상 분석", 대한안과학회지, 49(6):973-978 (2008).
  14. 지미정, 백혜정, 이창훈, "단안 부등시성 약시안구의 해부학적 양상", 대한안과학회지, 44(5):1125-1130(2003).
  15. 노승수, 양홍석, 장윤희, 유영주, 이종복, "굴절부등 약시 환아의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안과학회지, 48(4):535-540(2007).
  16. 백승희, 박원호, 공상묵, "원시성 굴절부등약시에서 가림 치료 후 최종시력과 빛 간섭 단층촬영의 변수와의 관계", 대한안과학회지, 48(6):828-834(2007).
  17. 임승정, 최억, "근시안에서의 굴절이상도와 안축장 및 전방깊이와의 상관관계", 대한안과학회지, 27(3):371-376 (1986).
  18. 최영호, 최윤영, "소아 굴절검사방법에 따른 차이 비교 및 생활양식이 근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46(11):1841-1847(2005).
  19. Tailor D., "Pediatric Ophthalmology", 2nd ed, London, Blackwell Science, pp.57-73(1990).
  20. Von Noorden G. 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C.V. Mosby, pp.206-296(1996).
  21. Walravan J. and Janzen P., "TNO stereopsis test as an aid to the prevention of amblyopia", Ophthalmic. Physiol. Opt., 13(4):350-356(1993). https://doi.org/10.1111/j.1475-1313.1993.tb00490.x
  22. Stewart J., Gross K., Hare F., and Murphy C., "Enlisting the eccentric photoscreener in a public hospital eye department", Aust. NZJ. Ophthalmol., 19(4):283-290(1991). https://doi.org/10.1111/j.1442-9071.1991.tb00673.x
  23. Wang Y. D., Thompson J. R., Goulstine D. B., and Rosenthal A. R., "A survey of the initial referral of children to an ophthalmology department", Br. J. Ophthalmol., 74:650-653(1990). https://doi.org/10.1136/bjo.74.11.650
  24. Hubel D. H. and Wiesel T. N., "The period of susceptibility to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unilateral eye closure in kittens", J. Physiol., 206:419-436(1970). https://doi.org/10.1113/jphysiol.1970.sp009022
  25. Harwerth R. S., Smith E. L. III., Duncan G. C., Crawford M. L., and von Noorden G. K., "Multiple sensitive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imate visual system", Science, 232(4747):235-238(1986). https://doi.org/10.1126/science.3952507
  26. 이내호, 김기산, 조윤애, "초음파 생체계측에 의한 정시안 및 안축장에 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24(1):27- 33(1983).
  27. 김찬수, 김수영, 박영훈, 이영춘, "정시안에서 연령에 따른 안수치들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49(3):425-432 (2008).
  28. 전순우, 황혜경, 이선행, 박천만, "취학전 어린이들의 안광학 성분 측정 및 상관성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15(3):201-206(2010).
  29. 김창식, 이학준, "정상 대학생의 눈 굴절이상,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그리고 각막두께의 연관성", 한국안광학회지, 13(1):89-94(2008).
  30. 서용원, 최영준, "굴절이상과 안축장/각막곡률반경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4(2):23-32 (1999).
  31. Osuobeni E. P., "Ocular components values and their intercorrelations in Saudi Arabians", Ophthal. Physiol. Opt., 19(6):489-497(1999). https://doi.org/10.1046/j.1475-1313.1999.00453.x
  32. 마기중, 이혜정, 권용성, "한국인 눈의 광학상수 측정 및 상호연관성", 대한시과학회지, 2(2):145-159(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