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ndamental Study of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who don't have aptitude on Engineering: A Study with Using Holland Career Aptitude Test

공과대학 비적성 학생들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Holland 직업적성검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8.03
  • Accepted : 2011.03.0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who don't have aptitude in engineering. Therefore we began with analyzing the outcome of Holland career aptitude test from enrolled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first, we classified between students who have aptitude on engineering and who don't. Next, we compared grades of between them. Lastly, we studied the needs of the students who don't have aptitude in engineering. The final result and analysis of study were used for suggestion of develop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who don't have aptitude on engineer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비적성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공과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Holland 직업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을 기초로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Holland 직업적성검사를 실시하여 공학적성 학생과 공학비적성 학생을 구별하였다, 그리고 공학적성 학생과 공학비적성 학생의 공학수학 성적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공학비적성 학생들을 인터뷰하여 학생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내용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및 해석은 공학비적성 학생들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안을 제시하는 데 활용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은정(2008). 고등학생의 Holland 진로유형성격과 과학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기봉(2006). 인성.적성검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3. 김동욱(2006). 대학전공선택을 위한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봉환(2010). 진로상담이론=Career counseling 서울: 학지사.
  5. 김병진(2008). 홀랜드식 검사에 의한 직업유형 일치정도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와의 관계. 충남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선영(2009).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과 전공과의 일치도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차이.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윤경(2004).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분석. 대전대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종호.신용섭(2006). 2005학년도 적성탐색검사(Holland) 결과분석. 생활지도연구, 25: 87-100.
  9. 김지향(2001). Holland 진로탐색검사의 타당도 지표와 진로성 숙도와의 관계.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충기(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1. 김현재(2006). Holland 직업선택이론에서의 일 관도, 일치도, 변별도와 학과 만족도 및 진로 결정도: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김희정(2007). 한국 대학생을 위한 Holland 직업흥미모델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8(2).
  13. 박보경(2002).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적성 및 직업가치관의 관계 분석. 충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보경.이종승(2002). 직업성격유형과 적성 및 직업가치관의 관계. 교육발전논총(충남대학교), 23(2): 59-83.
  15. 박성미(2005). 대학생을 위한 직업준비교육. 고양: 서현사.
  16. 박헌일.김기원(2002). 대학생의 진로 지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교육학논총, 23(1): 99-126.
  17. 박현주(2000). 초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요소와 과학학업성취 및 과학적성과의 관계. 어룩교육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1999). 적성검사 실시 요강. 서울: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19. 송원영.김지영(2009). 대학생의 진로설계. 서울: 학지사.
  20. 안관수(2006). 대학 취업경쟁력 강화와 직업진로지도 방안. 경영교육논총, 43: 173-191.
  21. 양명희.박명지.김희정(2010).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직업흥미 수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2): 137-156.
  22. 용소현(2003). 청소년의 직업선호경향 이해 및 진로지도에 대한 방향성: 청소년직업흥미검사를 바탕으로. 인천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윤영란(2007).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123-168.
  24. 이경아.유나형.이은경.전주연.이기학(2004). 학습 성격 유형 및 전공 만족도에 따른 학업성취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학회지, 16(1): 107-121.
  25. 이나현(2006). 대학생의 5요인 성격특성과 직업 흥미간의 관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종승(2002). 대학생용 진로탐색검사 개발 연구. 교육학연구, 40(4): 1-29.
  27. 이현림(2000). 교육심리와 진로지도. 영남대학교 출판부.
  28. 이현림.김지영(2001).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2(2): 211-230.
  29. 이현정(2008). 대졸예정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진로미결정 및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임언.정윤경.윤창국(2003). 직업적성검사가 자기이해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6(1): 1-16.
  31. 조영실(2010). Holland의 성격유형에 따른 체험활동이 학생들의 진로준비 행동 및 진로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최종숙(2009). 대학생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진로지도 개선에 관한 연구. 경원대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Holland, John L(2004). 홀랜드 직업선택이론. 안창규(역) 서울: 한국가이던스.
  34. 황매향(2004). 대학생의 진로선택을 중심으로 한 Holland 이론의 문화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53-666.
  35. Bloom, B. S(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ie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 Mckay.
  36. Dik, Bryan Jay(2005). Moderators of the Holland-type congruence-satisfaction and congruence-performance relations. Ph. D. Dissertation, Minnesota University, Minneapolis and St. Paul, 236.
  37. Holland, J. L(1977).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
  38. Holland, J. L(1992). Making vocational choices (2n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9. Holland, J. L(1985). The Self-Directed Search: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40. Kruger, R. A(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41. Marshalek, B., Lohman, D.F., & Snow, R.E(1983). The complexity continuum in the radex and hierarchical models of intelligence. Intelligence. 7: 107-127. https://doi.org/10.1016/0160-2896(83)90023-5
  42. Morgan, D. L., Scannell, A. U(1998). Planning focus group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43.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44. Toomey, K.D. & Levinson, E.M. & Palmer, E.J(2009). A Test of Holland's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ling.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