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Analysis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and USA

한국과 미국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사례분석

  • 진성희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조우석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1.18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ways of improving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through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is on those of the United States. Case-study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Five university programs, which have been well recognized as good practices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ose of thre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chosen for comparative analysis, which were reformed by university affiliated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ve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program's program outcomes, assessment level of program outcomes, evaluation methods on program outcomes achievement, and analysis and improvement records. It was drawn up that the evaluation methods on program outcomes achievement should be paid full attention. For better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however, the followings are in more attention. Firstly, to establish program outcomes reflecting program goal. Secondly, to set up the detailed plans for analysis and quality improvement on program outcomes. Thirdly, to keep continuing efforts on curriculum updat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미국에서 공학교육인증을 우수하게 수행하고 있는 5개 대학 프로그램과 한국에서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주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개선한 3개 대학을 선정하여 각각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학습성과, 학습성과를 평가하는 수준, 학생의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 방법, 분석 및 개선 실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방법에 대한 관심보다는 프로그램의 특성이 반영된 학습성과 설정, 학습성과 평가결과 분석 및 개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보다 노력을 기울일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윤국 (2008). 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제도와 운영의 비교. 공학교육, 15(1), 32-37.
  2. 성균관대학교 (2010). 2010 SKKU 공학교육 워크샵.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3. 성균관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2010). 인증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중간보고서.
  4. 이기영 (2004). 평가유형과 채점 방식에 따른 중고등학교 과학 수행 평가의 일반화 가능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8). 공학인증기준(KEC2005) 설명서.
  6.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0a). 2010년 4차 평가자교육워크숍. 한국공학교육인증원.
  7.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0b). 2010년 제1차 E3 Camp. 한국공학교육인증원.
  8.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0c). 제28회 공학교육인증포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9. 황성호(2010). 연구중심대학 ABEEK 인증제도 운영방안 제안. 성균관대학교(편). 2010 SKKU 공학교육 워크샵 & 인증제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과제 공청회.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10. ABET(2009).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 Retrieve from http://abet.org
  11. FSU(2003). Engineering Criteria 2002-2003 Program Self-Study Report. Mechanical Engineering. Florida State University.
  12. OSU(2005). ABET Program Self Study Report.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Ohio State University.
  13. Purdue University(2007). Program Self-Study Report.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14. RHIT(2006). Program Self-Study Report.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Rose-Hulman Institute Technology.
  15. University of Iowa (2008). ABET Self-Study Report.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Io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