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Transfer Student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ABEEK

공과대학 편입생들의 공학교육인증 수용 증대를 위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Choi, Keum-Ji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Konkuk University)
  • 최금진 (건국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1.01.2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mpus life of engineering transfer students, to devise a means for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ABEEK, and to assist them to have the satisfactory campus lives through researching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transfer student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93 engineering transfer students of K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e study shows that most transfer students were accepted into college through a general screening process, their grades are likely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college, however, they tend to be satisfactory with the current campus life, an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the ABEEK is low. Therefore university officials need to work hard to raise the rat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BEEK track and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transfer students. Moreover, the male transfer students tend to be more satisfactory than the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er grades in the previous college are likely to show higher adaptation than those with lower grades. Therefore we should make effor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ransfer students and need to accommodate the programs for the female transfer students more positively.

본 연구는 공학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공과대학 편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써 공과대학 편입생들의 대학생활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편입생들의 공학인증 참여를 제고하고, 의미 있고 원만한 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교와 D대학교의 공과대학에 편입학한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편입생은 주로 일반편입학전형에 의해 편입하고 있었으며, 편입학 이후의 성적이 전적대학의 성적보다 낮 으나 편입학 이후의 학교생활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공학인증의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과대학 편입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공학인증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육성과측면에서의 만족도가 높았고, 전적대학에서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편입학 이후의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입 여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편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식(2008).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및 학교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영향, 한국교육, 35(1): 227-249.
  2. 박상철(2004). 취업전과 취업시 직업선택 요인의 부합정도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심은숙(2003). 대학생의 성별.학년별 전공학과 만족도 및 학과인기도에 따른 진로성숙 수준의 차이 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오영재(2005). 대학 간 학생이동이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1): 327-356.
  5. 오영재(2006). 대학 편입생들의 편입 후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2): 451-474.
  6. 이두현(2009). 대학 입학유형별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Brakamap, L. A,Wise, S. L, & Hengstler, D. D(1979). Student satisfaction as a measure of development qu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494-498. https://doi.org/10.1037/0022-0663.71.4.494
  8. Blakers, R. et al.(2003). Mobility: why do university student move? Occational Paper Series 03-A, Research Analysis and Evaluation Group,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and Training.
  9. Braxton, J. M., Milem, J. F, & Sullivan, A. S.(2000). The influence of active learning on the college student departure proces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1(5): 569-89. https://doi.org/10.2307/2649260
  10. Campbell, R. T.(1980). The freshman class or the University of wisconsin, 1964.
  11. Cohen, A. M., Brawer F. B.(1987). The collegiate Function of Community Colleges-Fostering Higher Learning Through Curriculum And Student Transfer.
  12. Grubb, W. N.(1991). The decline of community college transfer rat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2: 194-222. https://doi.org/10.2307/1982145
  13. Lee, V. E. and Frank, K. A.(1990). Students' characteristic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from two-year colleges. Sociology of Education, 63(3): 178-193. https://doi.org/10.2307/2112836
  14. Levine, D. U. and Havighurst, R. J.(1992). Society and Education. 8th ed. Boston: Allyn and Bacon.
  15. Velez, W. and Rajshekher. G. Javalgi(1987). Two-year college to four-year college: the likelihood of transfer.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96(1): 81-94. https://doi.org/10.1086/443882
  16. Shelton, DNSc, RN, E. N.,(2003). Faculty support and student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2(2): 6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