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Healthy Housing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강나나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0.10.22
  • Accepted : 2011.01.31
  • Published : 2011.02.25

Abstract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hat measure the healthy housing condition of multi-family hous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healthy housing was defined by physical, mental, social, and management aspects and proposed the conceptual model of hierarchy structure of evaluation of healthy housing by literature reviews. Second, evaluating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f existing indicators and preceding studies about both domestic and overseas multi-family housing. The evaluating indicators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87 evaluating items which were composed of four dimensions and 16 attributes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model. They cover comprehensive scope of the multi-family housing such as unit, building, complex, and site. Third, as the measurement, the 5-point ordinal scale measure was suggested. The evaluating measurement including measure standards, measure methods, and measure contents were developed by each evaluating items. Lastly, the weighting of evaluating indicators was developed by AHP method conducted by survey of an expert group. Items were identified as high contributors or low contributors. The weighting of these items could suggest several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level of healthy housing condition may be evaluated by both total evaluation and a specific field of evalu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호.이승미.박인석 (2009). 전문가 특성별 거주성능 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분석.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88-293.
  2. 김건영.황선휘.최진원 (2008). 건강주택의 개념을 적용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평가항목 분석에 관한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8(2), 11-15.
  3. 김동진 (2003). 저층주거지역 주거환경의 질 결정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광진구 중곡 1, 2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4. 김선숙.김광우.양인호 (2004). 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9), 265-272.
  5. 김유일 (1988).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6. 김윤주 (2008). 가중치 추출기법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7. 박인석.강인호.강부성.백혜선.김정미 (1992). 공사주택 거주후 평가모델 개발 연구. 대한주택공사.
  8. 박태은 (2003).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사용자의 태도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9. 박현구.양승희.고성석 (2009).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9(6), 79-89.
  10. 방춘일.이상현 (2008). 거주성능 자동평가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8(1), 525-528.
  11. 손세욱 (2001). 집합주거에서 심리행태적 환경과 근린관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2(1) 57-66.
  12. 손준혁(2002). 아파트 주민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부산.
  13. 신중진.서기영.허지연.김혜영.이성창 (2001). 거주성 측면에서의 초고층 아파트의 건축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3), 11-22.
  14. 이강희.황은경 (2002). 건물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4), 55-62.
  15. 이경훈.정요진 (2006). 공동주택의 중요설계요소 도출 및 요소별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거주자와 설계자간의 중요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4), 3-12.
  16. 이라영, (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공간구성.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17. 이명식 (2009). 건축물 성능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2), 13-20.
  18. 이선민.이연숙 (2008). 국내 미래주택에서 나타난 건강관련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8(1), 77-80.
  19. 이선민.이연숙 (2008). 건강친화 주거환경 계획요소에 관한 소비자 요구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2), 23-28.
  20. 이선민.이연숙 (2008). 거주자 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8(6), 11-20.
  21. 이선민.이연숙.안창헌 (2009). 건강친화 지능형주택 계획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9(2), 27-36.
  22. 이연숙.이수진.김혜진.김건형 (2007). 건강주택의 건강지원 특성에 관한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7(1), 227-232.
  23. 이재혁.제해성(2005). 신문광고와 소비자 의식조사 비교에서 나타난 웰빙아파트의 건축계획적 특성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2). 127-134
  24. 이진숙.박찬규.진은미.김원도.강영 (2001). 공동주택 거주자의 시각적 프라이버시 침해정도 분석을 위한 예측식 작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9), 273-279.
  25. 이현민.유상연.김선국 (2009). 건축물의 건강성능에 관한 법적 기준의 기초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9(6), 19-27.
  26. 장한두 (2008).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11-21.
  27. 정성운.이재혁.제해성 (2006). 지속가능한 초고층 공동 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9-252.
  28. 제해성.이재혁.김경훈 (2006). 웰빙아파트 마케팅요소에 대한 주거만족도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9), 57-66.
  29. 제혜성.이재혁.홍수진 (2006). 초고층 공동주택의 삶의 질에 근거한 주거환경지표 체계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8), 89-96.
  30. 조성희.이경희.이영석.박경옥 (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31. 조성희.이태경 (2009).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4). 131-143.
  32. 조성희.최인영.정수진 (2010).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지표 체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49-154.
  33. 최윤정 (2006). 웰빙아파트 계획요소의 도입현황과 선호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8(1). 57-66.
  34. 하미경.임보련 (2005). 웰빙 트렌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관련 실내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3), 130-138.
  35. 한국소비자원 (2009).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36. 한국소비자원 (2010). 고령자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37. 허영숙.조성희 (1994). 부산시 집합주택계획의 기본방향 설정을 위한 거주후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61-72.
  38. 현택수.이병태 (2006). 노후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2), 77-85.
  39. Amerigo, M. & Aragones, J. I. (1997).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h the study of residential satisf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1), 47-57. https://doi.org/10.1006/jevp.1996.0038
  40. Bluyssen, M. P. (2010). Towards new methods and ways to create healthy and comfortable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45, 808-818.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9.08.020
  41. Ho, D. C. W., Leung, H. F., Wong, S. K., Cheung, A. K. C., Lau, S. S. Y., Wong, W. S., Lung, D. P. Y., & Chau, K. W. (2004). Assessing the health and hygiene performance of apartment buildings, Facilities, 22, 58-69. https://doi.org/10.1108/02632770410527789
  42. Ho, D. C. W., Chau, K. W., Cheung, A. K. C., Yau, Y., Wong, S. K., Leung, H. F., Lau, S. S. Y., & Wong, W. S. (2008). A survey of the health and safety conditions of apartment buildings in hong kong. Building and Environment, 43(5), 764-775.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7.01.035
  43. Kamp, V. I., Leidelmeijer, K., Marsman, G., & Hollander, D. A. (2003). Urban environmental quality and human well-being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demarcation of concepts; a literature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5, 5-18.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232-3
  44. Liu, A. M. M. (1999). Residential satisfaction in housing estates: a Hong Kong perspective. Automation in Construction, 8, 511-524. https://doi.org/10.1016/S0926-5805(98)00098-3
  45. WHO (2004). WHO technical meeting on Housing-Health Indicators.
  46. WHO (2006). Housing and health regulation in Europe.

Cited by

  1. Residents’ Adjusting Behaviour to Enhance Indoor Environmental Comfort in Apartments vol.21, pp.1, 2012, https://doi.org/10.1177/1420326X11420120
  2. Characteristics of the Quality of Korean High-Rise Apartments Using the Health Performance Indicator vol.22, pp.1, 2013, https://doi.org/10.1177/1420326X12470344
  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ive Comfort Performance of Hanok Residence vol.24, pp.3, 2013, https://doi.org/10.6107/JKHA.2013.24.3.027
  4. Residents’ and experts’ perspectives for evaluation of importance of Health Performance Indicators in social housings vol.23, pp.1, 2014, https://doi.org/10.1177/1420326X14523156
  5.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ns Enabling Linkage between Well-Being, Well-dying and Space vol.25, pp.5,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5.649
  6. Finding the Management Entity’s Roles by Analyzing the Needs of Condominium Management Service and Management Consciousness vol.28, pp.5, 2017, https://doi.org/10.6107/JKHA.2017.28.5.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