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 abridged version of the Joseon Mathematics (Su-Hak-Jeol-Yo), a mathematics book written by Jong-Hwa AN

안종화(安鍾和)의 <수학절요(數學節要)>에 대한 고찰

  • Lee, Sang-Gu (Department of Mathematics,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Jae-Hwa (BK21 Math. Modeling HRD Divis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Byun, Hyung-Woo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1.11.15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In 2007, a Taiwanese mathematics historian Wann-Sheng HORNG made a visit to Kyujanggak(the royal library of Joseon Dynasty) in Seoul, Korea. During this visit, he found the Korean math book An abridged version of the Joseon Mathematics (<數學節要>, Su-Hak-Jeol-Yo), which was written by Jong-Hwa AN(9 Nov 1860 - 24 Nov 1924) in 1882. Then he mentioned the possible importance of AN's book in his article in the Journal Kyujanggak(vol. 32, June 2008). Jong-Hwa AN is a Korean scholar, activist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in the latter era of Joseon Dynasty. He passed the last examination of Joseon Dynasty to become a high government officer in 1894. The father of the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Sang-Seol LEE(1870-1917) also passed the same examination with him. It is interesting that government high officer AN and LEE both wrote mathematics books in 19th century. In this talk, we now analyze this mathematics book of Joseon written in 1882.

한말 국학자이며 애국계몽운동가인 안종화(安鍾和, 1860. 11. 9-1924. 11. 24, 본관은 경주(廣州)-경능(廣陵), 호(號)는 함재(涵齋), 자(字)는 사응(士應))는 조선의 마지막 과거인 1894년 식년 문과에서 이상설(李相卨, 1870-1917)과 같이 합격하였으며, 두 분 모두 수학책을 저술하였다. 대만의 수학사학자인 홍만생(洪萬生)은 규장각의 조선 산서를 비교 검토하던 중 안종화의 <수학정경절요괄집(數學正徑節要括集), 약칭(略稱) 수학절요(數學節要)>을 처음 발견하고, 이 책의 잠재적 가치에 대하여 크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종화가 1882년에 저술한 현재까지 발굴된 조선의 마지막 전통수학책인 <수학절요>에 대하여 최초로 소개한다. <수학절요>의 목록을 살펴보면 이 책이 기본적으로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산학정의(算學正義)>와 <수리정온(數理精蘊)>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승법은 포지금(鋪地錦)이라 불리는 방법으로 계산되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석 (2003). 한말 국학자 안종화 연보, 내포문화, 15, 200-215.
  2. 김효전 (2008). 번역과 근대 한국-법학과 국가학 문헌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창간호, 25-78.
  3. 南秉吉(1867). 算學正義.
  4. 박권수 (2010).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奎章閣, 36, 1-25.
  5. 安鍾和(1882). 數學節要.
  6. 이상구․이재화 (2011), 조선시대 산서(算書)연구-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韓國數學敎育學會誌시리즈 E <數學敎育論文集>, 25(1), 1-19.
  7. 최기영 (1994). 안종화,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 (창작과 비평사), 23-34.
  8. 한영우 (1987). 開化期安鍾和의 歷史敍述, 韓國文化, 8, 135-157.
  9. 聖祖(淸) (1722). 數理精蘊 (國學基本叢書四百種: 王雲五 主編, 臺灣商務印書館, 1968).
  10. 李儼․杜石然(1964). 中國古代數學簡史下冊, 北京: 中華書局.
  11. 洪萬生(2008). 奎章閣收藏算書初訪, 奎章閣, 32, 283-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