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 Received : 2011.09.24
  • Accepted : 2011.11.15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Currently science and technology are changing so fast and college mathematic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ut the downturn of freshmen's scholastic performance has been intensified and this phenomenon leads to serious problems in managing college curriculums. During the recent years at a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many freshmen had a lot of difficulties in their mathematics courses. In consequence, many of them had hard time to survive at their major curriculums. In this point of view, we analyse the situation of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mong engineering majored freshme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mathematical backgrou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test, college mathematics scores,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scores. We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core of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of freshmen of a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essential reasons for the above situations are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the system of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In order for improving mathematical accomplishment. we give suggestions such as a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in mathematics.

최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대학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반면, 제7차 수학과교육과정의 인문계 수학에는 미분적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많은 중위권 대학의 입학전형에서 교차지원을 허용하기 때문에 공과대학 대학수학의 교수학습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리영역 성적의 관계를 조사하여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입학전형 제도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2010학년도 A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과 수학 기초학력평가 및 대학수학 교과목의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2). 6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 (1997).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광한․김병학․김경석․박은아 (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 교육과정 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255-277.
  4. 김지하․정동욱 (2007). 내신성적과 수학능력시험 성적이 대학진학 및 대학성취도 선행지표에 주는 영향력 비교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585-609.
  5. 노국향 (1997). 대학지원 양상에 기조한 한국고등교육 인구의 편포분석, 체육과학연구 19(2), 82-90.
  6. 손준종 (2002). 지방사립대학 신입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연구 13(2), 49-73
  7. 신봉섭․이석열 (2003). 대학 간의 대학선택 결정과 선택 확신도의 영향요인 비교: 컴퓨터공학 관련 학부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연구 14(1), 27-53.
  8. 신정철․정지선․신택수 (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287-313.
  9. 장인식․양우석․최경미․정순모․정보현 (2008). 중위권 교육중심 공과대학생을 위한 전공 연계형 수학교재 모형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7.
  10.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2(4), 399-415.
  11. 최경미․장인식․정보현․정순모․양우석․조규남 (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53-67.
  12.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325-336.
  13. 최은정 (2009). 대학 미적분학 수준별 교육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3), 213-234.

Cited by

  1.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vol.29, pp.4,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4.745
  2.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 기초학력 평가자료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오류 유형 분석 vol.32, pp.4, 2011, https://doi.org/10.7858/eamj.2016.036
  3.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대학 미적분학 교과에 대한 탐색 vol.31, pp.3, 2017, https://doi.org/10.7468/jksmee.2017.31.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