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own Fuel Characteristics and Allometric Equation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oungju Region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 및 수관연료량 추정

  • Kim, Sungy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Byungd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eo, Yeono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성용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서연옥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영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1.03.2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own fuel biomass and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crown fuel biomass by subjectively categorized the crown component in Pinus densiflora stands. A total of ten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Youngju region. Crown fuel were weighed separately for each fuel category by siz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oliar moisture content was 119% while the average crown moisture content was 105.3%. The crown fuel/total fuel loading ratio was 30%, needles and twigs with less than 1 cm diameter accounted 50.3% for its fuel/crown fuel loading ratio. Adjusted multipl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suggested allometric equations ranged from 0.6846 to 0.9246 for crown fuel biomass, 0.8308 for crown volume.

본 연구는 영주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고, 각 부위별 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영주시 장수면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였으며, 매목 조사를 실시한 후, 1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다. 벌채한 소나무는 수간, 잎, 가지 순으로 분류하였고, 가지는 다시 굵기 별로 분류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엽의 수분함량은 119%, 수관층 수분함량은 105.3%로 나타났다. 전체 연료량에 대한 수관층 연료량 비율은 30%로 나타났으며, 수관화 확산시 이용 가능한 연료량(잎-1 cm 가지) 비율은 50.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관층 연료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의 범위는 0.6846-0.9246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층 체적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는 0.8308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교상, 이병두, 원명수, 이명보. 2010. 대구 팔공산 지역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한국임학회지 99(1):5 2-56.
  2. 국립산림과학원. 2010. 교토의정서 대응 산림탄소계정 기반 구축 연구. pp. 436.
  3. 권성민, 전근우, 김남훈. 2008.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목재공학 36(4): 84-92.
  4. 김준호, 윤성모. 1972.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대한 연구 II. 춘천지방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비교. 한국식물학회지 15(3): 1-8.
  5. 박인협, 김준선. 1989. 한국산 4개 지역별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3-330.
  6. 박인협, 이석면. 1990. 한국산 4개 지역별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7. 산림청. 2010. 임업통계연보. 제40권 pp. 186-193.
  8. 신만용, 정동준, 이태희. 1999. 우리나라 주요 수종별 수관형태식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측정학회지 2(1): 3-11.
  9. 이경학, 손영모, 노대균, 권순덕. 2002. 우리나라 주요 6 수종의 수간중량 추정식. 한국임학회지 91(2): 206-212.
  10. 이병두, 원명수, 김선영, 윤석희, 이명보. 2010.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 391-396.
  11. 이필우, 한관석. 1968. 리기다소나무 입목의 수분분포에 관하여. 한국임학회지 pp. 45-49.
  12. 정재엽, 조현종, 서정현, 김래현, 손영모, 이경학, 김춘식. 2010.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임분의 지상부 Biomass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9(1): 62-67.
  13. Agee, J.K. and Skinner, C.N. 2005. Basic principles of forest fuel reduction treatmen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11: 83-96. https://doi.org/10.1016/j.foreco.2005.01.034
  14. Call, P.T. and Albini, F.A. 1997. Aerial and surface fuel consumption in crown f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7(3): 259-264. https://doi.org/10.1071/WF9970259
  15. Kozlowski, T.T. and Clausen, J.J. 1965. Changes in moisture contents and dry weights of buds and leaves of forest trees. Botanical Gazette 126(1): 20-26. https://doi.org/10.1086/336289
  16. Kucuk, O., Bilgili, E. and Saglam, B. 2008 Estimating crown fuel loading for Calabrian pine and Anatolian black pin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7(1): 1-8. https://doi.org/10.1071/WF08016
  17. Mason, G.J., Baker. T.T., Cram, D.S., Boren, J.C., Fernald, A.G. and Vanleeuwen, D.M. 2007. Mechanical fuel treatment effects on fuel loads and indices of crown fire potential in a south central New Mexico dry mixed conifer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1: 195-204. https://doi.org/10.1016/j.foreco.2007.06.006
  18. Mitsopoulos, I.D. and Dimitrakopoulos, A.P. 2007 Allometric equations for crown fuel biomass of Aleppo pine (Pinus halepensis Mill.) in Greec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6: 642-647. https://doi.org/10.1071/WF06038
  19. Peterson, J.A., Seiler, J.R., Nowak, J., Ginn, S.E. and Kreh, R.E. 1997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young loblolly pine stands to thinning. Forest Science 43: 529-534.
  20. Rothermel, R.C. 1991. Predicting the behavior and size of crown fires in the Northern Rocky Mountains. Research paper INT-RP-438. Inter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Ogden, UT. pp. 46.
  21. Sando, R.W. and Wick, C.H. 1972. A method of evaluating crown fuels in forest stands. Research paper NC-8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p. 10.
  22. Scott, J.H. 1998. Sensitivity analysis of a method for assessing crown fire hazard in the Northern Rocky Mountains, USA. pp. 2517-2532. In: Viegas, D.X., e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rest fire research; 14th conference on fire and forest meteorology.
  23. Springer, E.A. and Van Wagner, C.E. 1984. The seasonal foliar moisture trend of black spruce at Kapuskasing, Ontario. Canadian Forest Service Research Note 4: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