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Husband-Related Changes in the Family Relationship Following the First Born Child

첫 아이 출산 후 남편이 경험한 가족관계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Oh, Jea-Eun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 오제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상담심리)
  • Received : 2011.04.29
  • Accepted : 2011.08.06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husband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re experienced by Korean husbands (2) how to reform the dynamic from a dyad to a triad relationship (3) how the relationship changes with the experience of parenthood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included six men and the data was gathered through half-structured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Van Manen's analysis guideline. The results were as: First, there was a distinct financial change to stabilize the role of the couple. Second, the husbands' voluntary participation in house work was influenced by the couples' intimacy. Third, the enriching dialogue between couples was related to becoming parents. Lastly, after child birth, husbands felt less attraction toward their wives as women and the sexual relationship was almost completely controlled by their wive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주, 옥선화(1993a).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 I. 대한가정학회지, 31(3), 55-67.
  2. 고선주. 옥선화(1993b).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연구2: 부모기로의 전이에 따른 부부 결혼적응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1(3), 127-141.
  3. 고선주, 옥선화(1994).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III. 대한가정학회지, 32(5), 83-96.
  4. 공진수(2006). 아버지됨에 관한 연구: 기독교인 아버지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곽배희(2002). 한국 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권혜연(1996).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영향 요인: 가족생활주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기획재정부(2010). 2010년 국가경쟁력보고서. 서울: 기획재정부.
  8. 김선영(2005). 결혼만족도와 이혼 의도에 관련된 부부관계 요인: 신혼 초와 현재 결혼생활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43(9), 41-57.
  9. 김수경(2009).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을 위한 과제 개발에 대한 질적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미(200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와 가정 내 역할 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원. 김유정(200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우리나라 아버지관련 연구 경향 분석: 198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5), 25-38.
  12. 김희진(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13. 마미정(2008).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문은정 (2009). 성만족과 결혼만족의 관계: 친밀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숙자(1991). 가족과 사회문제: 가족과 직업. 가족학논집, 3, 143-160.
  16. 박평식(2009). 부부친밀감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변선아(2009). 중년기 남성의 부부 친밀감이 생활만족도 및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선영(2001). 결혼 초기 부부관계에서의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사랑과 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손승아(2000). 첫 어머니됨의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손인아(1983). 임신과 출산 시 아버지-남편으로서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경림(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2. 양명숙(1991). 부모전환기에서의 결혼만족도 연구. 가족학회지, 3, 31-53.
  23. 양명숙(1993). 부모전환기에서의 역할연구(1): 부모역할관에 대하여 첫째자녀와 둘째 자녀를 출산하는 한국의 부모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4), 53-66.
  24. 이강호(2006). 가족생활주기별 결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희(1991). 부모기로의 전환에 관한 문헌연구. 원우론집, 2(18), 209-228.
  26. 이경희(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미숙(1990). 한국에서의 결혼만족 연구에 대한 고찰 및 평가. 생활과학연구논집, 10(1), 27-71. 성심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8. 이세미(2009). 첫 아버지 되기에 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숙현(1988). 한국 근로자계층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2, 2161-2181.
  30. 이숙현(1990). 부모기로의 전환에 따른 부부관계의 변화. 가족학논집, 2, 1-27.
  31. 이영환(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아동과 권리, 12(2), 189-210.
  32. 이인기(2002). 부모 전이기 어머니의 어려움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정순(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부부관계, 부모 성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4(3), 99-108.
  34. 이정연(1987). 주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 변수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5(1), 105-119.
  35. 이주희(2010). 첫 자녀 출산 후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수진(2006). 결혼 초기 부부의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현숙, 유계숙(2003). 가족관계론. 서울: 신정.
  38. 최규련(1984).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2), 81-102.
  39. 최규련(1993a). 가족생활만족. 한국가족학 연구회편, 가족학(pp.285-315). 서울: 하우.
  40. 최규련(1993b).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학동기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1), 61-84.
  41. 홍길회. 황정해(2006).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27(3), 301-317.
  42. Belsky, J., Spanier, G. B., & Rovine, M.(1983). Stability and Change in Marria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567-577. https://doi.org/10.2307/351661
  43. Creswell, J. W.(200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 서울: 학지사. (1998년 원저발간)
  44. Freud, S.(1934). Selbstdarstellung. Internationaler Psychoanalytischer Verlag.
  45. Freud, S.(1940). Abriss der Psychoanalyse. International Zeitschrift fur Psychoanalyse und Imago. 25.
  46. Gadamer, H. G.(2000). Wahrheit und Methode: Grundzue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ubingen. 진리와 방법I. 이길우(역). 서울: 문학동네. (1965년 원저발간)
  47. Jung, G. C.(1963). Die Beziehungen zwischen dem Ich und dem Unbewupten. Zurich.
  48. Jung, G. C.(2009). Man and his symbols. Laurel Book. 인간과 상징. 이윤기(역). 서울: 열린책들. (1968년 원저발간)
  49. Kerr, M. E., & Bowen, M.(2005).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on Bowen Therapy. W. W. Norton & Company.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공역). 서울: 학지사. (1988년 원저발간)
  50.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Cited by

  1. Transacti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vol.39, pp.3,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3.45
  2. 우리나라 아버지 연구 동향과 과제 vol.12, pp.6, 2011,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