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hange,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s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hange,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s.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117 copies like the one where insincerely responds to any question was foun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I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lik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ia PASW 18.0, item-total correlation and the tota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I undertook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ia AMOS 7.0 to ensure the validity of items together with a structural analysis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variables and assess the suitability of model.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ecause fit index of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met standards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model was judged appropriately. Second,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And,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is important to activ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hir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it needs to raise self-efficacy level through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변인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카이자승, 근사치 오차평균제곱근(RMSEA),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기술교육 혁신요구는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과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은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교사들이 변화에 몰입하여 기술교육이 더욱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술교사들 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육의 현황을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기술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교사들의 기술교육혁신 요구, 변화몰입, 커뮤니케이션, 자기효능감 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이 연구는 기술교육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것으로 추후에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적인 변인 도출, 기술교육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한 방안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권정숙, 최규상(2009). 조직공정성, 변화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기업의 인수합병 과정을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23(3), 145-172.
  2. 김민영 (2009). 변화몰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효능감, 변화의 특성, 사회적 지원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석사 학위논문.
  3. 김용익 (2003).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올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평가모형 개발 - 충남대학교 및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사 양성기관의 적용을 위한 탐색 -. 한국학술진흥재단 지방대학육성정책지원연구보고서.
  4. 김용재, 김종완(2008).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1(2), 1-23.
  5. 김진순(1991). 기술교원 양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직업교육연구, 10(2), 82-92.
  6. 김진희 (2008).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팀웍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인력개발연구, 10(3), 175-194.
  7. 박순경 . 강익수 . 김재춘 . 김평국 . 민용성. 박소영 . 백경선 . 성열관 . 소경희 . 이경진. 이광우. 이근호 . 이미숙 . 정영근 . 한혜정 . 홍후조(2008). 초 . 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1), (II), (III), (IV).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8. 민상기, 나승일 (2010). 마이스터고 교사의 변화몰입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1-23.
  9. 임민수(2004). 교장의 지도성 동인 및 변화촉진 유형과 교사의 교육혁신관심 관계 연구. 교육연구논총, 25(1). 71-90.
  10. 박혜진, 유태용(2009). 상사의 리더십, 조직의 변화 준비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수행, 조직변화지지 행동에 대한 조직변화몰입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조직, 22(1), 131-153.
  11. 손영민(1980). 교육혁신 보급에 관한 이론적 기초.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흥준(1989). 중등학교 기술교과목 담당교사의 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8(1).
  13. 양윤희 (2007). 변화에 대한 몰입과 변화지지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학석사 학위논문.
  14. 이강명 (1991). 기술교사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재은, 최항석, 신강현 (2009). 변혁적 리더십이 보험업 종사자의 변화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0(1), 299-330.
  16. 엄민수(2004) 교장의 지도성 동인 및 변화촉진 유형과 교사의 교육혁신관심 관계 연구. 교육연구논총, 25(1). 71-90.
  17. 장명희, 정태화, 김종우, 전승환(2008). 마이스터고(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선정 연구사업. 교육과학기술부.
  18. 조경순(2006).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변화몰입의 효과: 국내금융기관의 인수합병 상황에 대한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13(1), 167-182.
  19. 최태호(1998).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혁신에 대한 관심단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홍후조.(2009).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 어떻게 할 것인가?. 2009년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제53차 교육정책토론회 자료집.
  21. Chawla, A, & Kelloway, E. K (2004). Predicting opermess and commitment to change. The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5(6), 485-498. https://doi.org/10.1108/01437730410556734
  22. Herold, D. M., Fedor, D. B., & Caldwell, S. D. (2007). Beyond change management: A multilevel investigation of contextual and personal influence on employees' commitment to chang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942-951. https://doi.org/10.1037/0021-9010.92.4.942
  23. Herold, D. M., Fedor, D. B., Caldwell, S., & Liu, Y, (2008). The effect of transfonnational and change leadership on employees' commitment to change: A multilevel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2), 346-357. https://doi.org/10.1037/0021-9010.93.2.346
  24. Herscovitch, L., & Meyer, J. P. (2002).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Extension of a three - component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474-487. https://doi.org/10.1037/0021-9010.87.3.474
  25. Leithwood, K, Jantzi, D., & Fernandez, A (1993). Secondary school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The contribu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tlanta, GA, April.
  26. Leithwood, K, Jantzi, D., & Steinbach, R. (1999). Changing leadership for changing times. Philadelphia, P A: Open University Press.
  27. Machin, M. A, & Bannon, S. F. (2005). Australian public sector employees'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In: 40th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Armual Conference.
  28. Michael Wright(2001), Designing a New Paradigm for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New Paradigm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Educ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Daejeon, Republic of Korea, Oct. 30-Nov. 2, 2001.
  29.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1996). Vocational Education Draft Standards for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30. Penley, L. E., & Hawkins, B. (1985). Study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A leadership applic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8, 309-326. https://doi.org/10.2307/256203
  31.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rmovations (4th ed.). New York: Free Press.
  32. Rogers, E. M. (2003). Diffusion of irmovations (5th ed.). New York: Free Press.
  33.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echnology Teacher, 68(4), 20-26.
  34. Savery, C. A (2005). Innovators or laggards: Surveying diffusion of innovations by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Akron.
  35. Tschannen-Moran, M., & Woolfolk Hoy, A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36-1
  36. Witmer, M. L. (2005). Relationships among transfonnational leadership, family background,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effective schools' characteristics, and student achievement in california public comprehensive high schools: A stn/ctural model. Doctoral dissertation. Azusa Pacific University.
  37. Yu, H., Leithwood, K, & Jantzi, D. (2002).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in Hong Kong.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40(4), 368-389. https://doi.org/10.1108/0957823021043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