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Happiness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 정현정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 전공)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8.2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ego-resilience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Happiness. The subjects were 426 5th and 6th grade students living in Seoul.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 Happiness index was higher in the fifth grade and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b) Ego-resilience was deeply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아동의 삶을 이해하고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부 설문지 중 누락, 이중 기재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426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부모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은 긍정적 지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전반적 생활과 욕구만족에서도 긍정적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하위변인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감정의 인내와 긍정적 지지관계가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가 교육적인 관심을 갖고 대화를 하며 부모가 기대와 훈육을 덜할 때, 그리고 아동이 부정적인 감정을 잘 견디고 긍정적 지지관계를 가질 때 아동의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의 행복감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 뿐 아니라 가정에서 부모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아동의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효율적인 부모교육 및 상담을 위한 자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1990). 자기아동의 사회경제적 수준, 성별, 자보기간에 따른 지능, 성격, 학업 성취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강영하(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교육연구, 5(2), 1-18.
  3.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구재선(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국민일보(2010. 5. 4). 청소년이 매긴 행복점수. http://news.kukinews.com에서 2010년 7월10일 인출.
  6. 김명소, 임지영(2001).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7. 김연화(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의 관계. 서울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8. 김윤희, 황순택(2003). 부모갈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제신념과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2(2), 343-362.
  9. 김.의철, 박영신, 곽금주(1998).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회지: 건강, 3(10), 79-101.
  10.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2000).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11. 김현옥(2010).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김현준(2009).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대처를 매개효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김혜원, 홍미애(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 분석. 청소년학 연구, 149(2), 269-297.
  14. 김혜은(2008).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김희중(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도미향(2006). 맞벌이 가족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3), 77-92.
  17. 문선화, 류기영, 김경로, 이경남, 홍봉선(2000). 아동의 삶의 질. 한국아동복지학, 9(1), 9-49.
  18. 문정현(2002).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학교생활 만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박선영, 도현심(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20. 박숙경(2002). 현실요법을 적용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박은영(2005). 초등학생의 과외학습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박현철(2010).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백경숙, 변미희(2002). 보육관련 변인이 유아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31, 135-152.
  24. 백수현(2008). 아동의 일상생활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안우환(2004).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7. 안우환(2006).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의 측정도구 개발. 초등교육연구, 19(1), 217-235.
  28. 엄은미(2001). 자기표현훈련프로그램이 분노표현, 자기표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양정호(2007). 한국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 :KYPS 초등자료 분석. 초등교육연구, 20(1), 335-353.
  30. 이경숙(2001). 초등학교 아동이 인식하는 과외스트레스에 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다은(2007).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의 사회적 자본 영향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이은경(2007).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71-95.
  33. 이정미(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4. 이정선(2001).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사회 문화적 관계: 콜만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4(2), 147-181.
  35. 이현주 외(2008). 한국 청소년 안녕감 척도(K-WBSA)의 타당화 및 삶의 질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2(1), 301-315.
  36. 임미향, 박영신, 김의철(2005).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질 지각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아동교육, 14(1), 205-222.
  37. 장수한(2002). 아동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 인간환경복지연구, 2, 195-223
  38. 장윤옥, 정서린(1997). 가정자원도 지각과 통제소제가 주부의 가정자원관리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6), 141-153.
  39. 정은선(1997). 성격 및 생애사건과 주관적 안녕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조명환, 김정오, 권석만(1994).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6(2), 31-94.
  41.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2008). 한국의 아동은 행복한가? 2008년도 한국 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아동이 행복한 사회, 67-84.
  42. 조은희(2007). 대안학교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 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3. 조정희(1994). 초등학교 아동의 과외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조한숙(2008).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가족의 건강성 및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성차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9), 47-60.
  45. 주소영, 이양희(2007). 아동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학회, 28(2), 91-113.
  46. 지연경, 조병은(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2), 217-240.
  47. 채경림(2004). 거주지역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8. 천윤희(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행복과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9. 최혜영, 신혜영, 최미숙, 조성연(2009).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 개발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19.
  50. 허영선(2009).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1.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52.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01-357.
  53.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https://doi.org/10.1086/228943
  54.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 Sage.
  55.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56. Diener, E.(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57. Diener, E., Lucas, R. E., & Oishi, S.(2002).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Snyder, C. R. & Lopez, S. J.(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8. Gorb, A., Little, T. D., Wanner, B., & Wearing A. J.(1996). Adolescents well-being and perceived control across 14 sociocultural contex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785-795. https://doi.org/10.1037/0022-3514.71.4.785
  59. Hilleras, P. K., Aguero-Torres, H., & Winblad, B.(2001). Factors influencing well-being in the elderly.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14, 361-365. https://doi.org/10.1097/00001504-200107000-00021
  60. Hotard, S. R., Mc Fatter, R. M. Mc whirter, R. M., & Stegall, M. E.(1989). Interactive effects of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social relationships on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323-331.
  61. Lin, N.(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ew York: Cambridge.
  62. Peterson, C.(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3. Rutter, M.(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https://doi.org/10.1192/bjp.147.6.598
  64.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65. Saucer, W.(1977). Morale of the urban aged :A regression analysis by race. Journal of Gerontaology, 32, 600-608. https://doi.org/10.1093/geronj/32.5.600
  66. Veenhoven, R.(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 l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Strack, F., Argyle, Argyle, M. & Schwarz, N.(Eds.). Subjective Well-Being, 7-26, Oxford: Pergam on Press.
  67. Wangner, E. F., Lloyd, D. A., & Gil, A. G.(2002). Racial/ethnic and sex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and onset age of DSM-IV alcohol use disorder sympto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3(5), 609-619. https://doi.org/10.15288/jsa.2002.63.609
  68. Wood, W., R hodes ,N.,& Whelan, M.(1989). Sex differences in positive well-being: A consideration of emotional style and marital status. Psychological Bulletin, 106, 249-264. https://doi.org/10.1037/0033-2909.106.2.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