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Detection Index) from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DI(Detection Index)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의 조기감별

  • Kim, Moon-Il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Woo-Kyun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won, Tae-Hyub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wak, Doo-Ahn (Division of Environment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You-Seung (Sundosoft Inc.) ;
  • Lee, Seung-Ho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권태협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곽두안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김유승 ((주)선도소프트) ;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11.04.01
  • Accepted : 2011.07.0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arly detection of Pine Wilt Disease (PWD) using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rom ADC (Agricultural Digital Camera) imageries. The PWD induces the different patterns of reduction of NDVI between healthy trees and infected trees, due to the withered leaves on the infected trees. Based on these phenomena, the DI showing the NDVI variations of trees by time series was employed to detect the infected tree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DI level between normal and infected trees, DIs of trees from May to August in 2007 were calculated and these were analyzed with GLM (General Linear Models) in SAS 9.2.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DI between in June and August shows the most significant level (0.0001).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normal and infected trees, using the DI of June and August. As the result, hit ratio of trees and the accuracy of grouping with Jack-knife method were shown 71.9% and 73.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I is effective to detect the trees infected by the PWD and it is useful to prevent the PWD.

본 연구에서는 지상형 원격탐사장비인 ADC(Agricultural Digital Camera)를 통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값을 산출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의 조기감별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선충에 감염된 임목의 잎은 시들음 현상을 보이게 되고, 이것은 NDVI의 감소를 유발하므로, 정상목과 감염목은 시기에 따라 NDVI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에 착안하여, 시기에 따라 임목의 NDVI 값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DI(Detection Index)를 고안하여 감염목의 판별에 사용하였다.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의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감염목과 정상목의 DI 값을 산출한 후, GLM(General Linear Model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6~8월 DI 값이 가장 낮은 유의수준(0.0001)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6~8월 DI 값으로 감염목과 정상목의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한 결과, DI 값을 통한 감염목과 정상목의 분류정확도(Hit Ratio)는 71.9%였고, 잭나이프(Jack-knife) 추정방법을 사용했을 때는 73.5%의 정확도를 얻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DI는 감염목과 정상목을 판별하는데 유용한 지수라고 판단되고, 재선충병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섭, 김종필. 2010. NOAA/AVHRR 정규식생지수의 시공간 변화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3): 295-303.
  2. 김영표. 2008.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 47-54.
  3. 김동수, 이상명, 정영진, 최광식, 문일성, 박정규. 2003.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 생태.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2(4): 307-313.
  4. 김유승, 정성은, 이우균, 김준범, 권태형. 2008. 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의 식생지수 변화분석. 한국임학회지 97(6): 516-564.
  5. 김응남, 김대영. 2008. 지상형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조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1): 84-92.
  6. 김준범, 조명희, 김인호, 김영걸. 2003. IKONOS 위성영상과 GPS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지역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2(4): 362-366.
  7. 문일성, 이상명, 김동수, 김철수. 2007. 시기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율과 솔수염하늘소의 후식양상.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발표회. pp. 134.
  8. 성춘자, 정종철. 2003. 지형요소에 따른 NDVI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 92-100.
  9. 산림청. 2009.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상황 및 방제실적. http://www.forest.go.kr/foahome/user.tdf?a=user.board.Board-App&c=2002&seq=49&board_id=GPB_PINE_DATA&cp=1&pg=1&npp=10&mc=WWW_STUDY_PINE_050&skin=&ctx=&re_level=0&re_step=4999&basic=SUBJECT(2009. 11. 12).
  10. 산림청. 2005. 소나무재선충에대해. http://www.forest.go.kr/foahome/user.tdf?a=user.board.BoardApp&c=2002&seq=4&board_id=GPB_PINE_DATA&cp=3&pg=1&npp=10&mc=WWW_STUDY_PINE_050&skin=&ctx=&re_level=0&re_step=499&basic=SUBJECT(2005. 10. 25).
  11. 산림청. 2010. 2011년 업무계획. pp. 11.
  12. 산림청. 2011. 2011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전략. pp. 363.
  13. 손민호, 이우균, 이승호, 조현국, 이준학. 2006. 공간통계학적 방법에 의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의 자연적 확산유형분석. 한국임학회지 95(3): 240-249.
  14. 신수현. 국민정, 이규성. 한반도의 다중시기 NDVI를 이용한 가뭄지수 적용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03-208.
  15. 이규성. 1994. 시계열 AVHRR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식생분포 구분. 한국임학회지 83(4): 441-449.
  16. 조윤철. 2008. 사진학 강의. 포토스페이스. 서울. pp. 416.
  17. 최승필, 김동희, Ryutaro, T. 2006. 식생의 분광 반사특성을 이용한 산불 피해지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4(2): 89-94.
  18. 최병선, 이성백. 2003. SAS를 이용한 현대통계학. 세경사. 서울. pp. 631.
  19. 황의진, 신계종, 최석근, 이재기. 2005. 한국GIS학회 2005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pp. 249-253.
  20. Enda, N. 1997. The damage of pine wilt disease and control in Asia. Forest Pest 46: 182-188.
  21. Fisher, R.A. 1936. The use of multiple measurements in taxonomic problems. Annals of Human Genetics 7: 179-188. https://doi.org/10.1111/j.1469-1809.1936.tb02137.x
  22. Jensen, J.R. 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Prentice Hall.
  23. Kelly, N.M. 2002. Monitoring sudden oak death in California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USDA-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SW-GTR-184: 799-810.
  24. Kishi, Y. 1995. The pine wood nematode and the Japanese pine sawyer. Thomas Company Limited, Tokyo, Japan. pp. 302.
  25. Mamiya, Y. 1988. History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The Journal of Nematology 20(2): 219-226.
  26. Mota, M.M., Braasch, M., Bravo, M.A., Penas, A.C., Burgermeister, W., Metge, K., Sousa, E.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 727-734. https://doi.org/10.1163/156854199508757
  27. Rouse, J.W., Hass, R.H., Schell, J.A., Deering, D.W. 1973. Monitoring the vernal advancement and retrogradation( Green wave effect) of natural vegetation. Prog. Rep. RSC 1978-1. Remote Sensing Cent., Texas A&M Univ., College Station.
  28. Tzean, S., and Jan, S. 1985. The occurrence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aiwan. In Proceedings of the 6th ROC symposium of eletron microscopy. pp. 39-39.
  29. Yi, C.K., Byun, B.H., Park, J.D., Yang, S.I., Chang, K.H.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Steiner et Buhrer) n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The Research Reports of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38: 141-149.
  30. Zhao, B.G., Futai, K., Sutherland, J.R., Takeuchi, Y. 2008. Pine wilt disease. Tokyo, Japan, Springer, pp.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