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Wang S?nsan(王船山) Chungyong's Practical Principles of Self-Cultivation, Chonyangsŏngchal

왕선산(王船山) 『중용(中庸)』의 실천적 존양성찰(存養省察) 방법론

  • Received : 2010.08.12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articulate concretel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onfucius self-cultivation and their pract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S?nsan Wang Fuzhi (船山 王夫之, 1619~1692)'s On Reading Four Classics - Chungyong 讀四書大全說-中庸. The essence of the practical philosophy that penetrates Chungyong (中庸: The Doctrine of the Mean) is the practice of self-cultivation through Chonyang (存養: Preserving one's self) and $S{\breve{o}}ngchal$ (省察: Self-reflection). It can come down to two cultivation practices: 1) careful and discrete thinking without seeing or listening (Kyesingonggu: 戒愼恐懼), 2) solely looking into what is hidden and covert (Sindok: 愼獨). $S{\breve{o}}nsan$ grasped the importance of the two concepts for practical philosophy and articulate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self-cultivation of Chungyo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and mutual-relations of the two concepts. Especially, he put the emphasis on the study through Chonyang and then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honyang and $S{\breve{o}}ngchal$. He consistently argued that the Kyesingonggu's Chonyang study was what enabled the Sindok's $S{\breve{o}}ngchal$ study and clarified the meanings of Chonyang in self-cultivation. Furthermore, he established the self-cultivation study of Chungyong as the primary self-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by maximizing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within $Chonyangs{\breve{o}}ngchal$.

본 논문은 선산(船山) 왕부지(王夫之)(1619~1692)의 "독사서대전설(讀四書大全說)-중용(中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학의 수양공부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실천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용" 전체를 관통하는 실천철학의 핵심은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의 수양공부이며, 그것은 '계신공구(戒愼恐懼)'와 '신독(愼獨)'이라는 개념으로 압축된다. '계신공구(戒愼恐懼)'은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상태(부도불문(不睹不聞))에서 경계하고 삼가며 두려워하는 존양의 공부이며, '신독(愼獨)'은 숨은 것과 은미한 것을 홀로 보는 성찰의 공부이다. 여기에서 '부도불문(不睹不聞)'은 곧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이 교차하는 지점이며, 계신공구(戒愼恐懼)는 곧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하는 노력의 과정이다. 이러한 존양의 과정이 전제되어 있어야만 사물과 접촉하는 순간 남들이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곳에서도 숨은 것과 은미한 것을 홀로 보고 들을 수 있는 신독(愼獨)의 수양공부가 가능하다. 선산(船山)은 실천적 하학(下學)의 측면에서 두 개념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두 개념의 차별성과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중용"의 실천적 수양공부에 대해 해석하였다. 특히 그는 존양 공부에 무게의 중심을 두고, 존양과 성찰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즉 계신공구(戒愼恐懼)의 존양 공부가 신독(愼獨)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조건임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수양공부의 과정에서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나아가 존양성찰에 담긴 실천적 성격을 최대한 부각시킴으로써 "중용"의 수양공부를 유학의 핵심적인 수양론으로 정립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