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ctation-performance Analysis on Natural Landscape Review Program in Korea

자연경관심의제 도입의 기대-성과 분석

  • Lee, Gwan-Gyu (College of Forest Environment &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ong, Jeong-Kee (Policy Coordination Division, Ministry of Environment)
  • Received : 2010.05.24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부 주관으로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온 자연경관심의제도의 제도 도입 당시의 기대수준과 현재의 성과수준을 분석함으로써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동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얻고자 하였던 목표와 효과를 분석변수로 설정하고 당시의 기대수준과 제도도입 약 4년이 지난 2010년도 시점의 기대치 달성 성과수준을 비교하였다. 자연경관심의위원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으며, 비교결과 도출된 기대와 성과의 불일치 수준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도 도입시 기대수준은 3.79, 성과수준은 3.09으로 나타나 당초 기대에 비해 그 성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요 항목은 자연경관을 고려한 개발사업계획 수준 제고(-2.91), 경관개선 실천성 제고(-2.97), 자연경관자원 주변경관의 개선(-3.00)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찰하여 동 제도의 발전방향으로 심의절차개선과 홍보강화, 자연경관심의위원 전문성 확보, 심의내용과 범위 개선, 심의기준 객관화, 전문가 참여 의무화를 단기적 발전과제로 도출하였다. 중장기적으로는 계획적 접근에 의한 경관관리 및 심의와 자연경관보전자원의 대상과 개념을 시각적 자원 뿐만 아니라 생태적 자원으로도 확장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yeon, Byeong-seol et al. 2000. A study on development of landscape evaluation skills. Research report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 Choi, Jae-yong et al. 2004. A study on system management measures for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Report of Ministry of Environment.
  3. Japa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enter, 1995. Technical manual for natural environment impact assess- ment (translation : Ministry of Environment).
  4. Dearden, P. 1985.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in landscape evaluation. Canadian Geographer, 29 : 263-265. https://doi.org/10.1111/j.1541-0064.1985.tb00371.x
  5.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Local government's guidelines for the natural landscape review. Ministry of Environment Regulation No. 271.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7a. Guidelines for natural landscape review on development projects. Regulation of Ministry of Environment Number 309.
  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b. Collection of Natural Landscape Impact Committee cases.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7c. Internal Statistics of Nature Policy Division, Ministry of Environment.
  9. Parsons, R. 1991. The potential influence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on human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 1-23.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002-7
  10. Song, In-joo et al. 2007. Development of evaluation skills of natural landscape impact and natural landscape review system. Report of Ministry of Environment.
  11. Yoo, Heon-seok et al. 2002. A study on natural environment management policy. Research report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