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opic Dermatitis and the Making of an Environmental Diseas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아토피 질환의 '한국적' 탄생과 부상: 대중적 지식활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정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Received : 2010.05.04
  • Accepted : 2010.06.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process that created a specific understanding of and responses to atopic dermatitis(AD) in Korea. AD hardly has a status of an environmental disease in other societies but it is a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disease in South Korea in connection with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most notably with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This understanding of AD as an environmental disease led to an unprecedented legislat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of 2008, a broad environmental health law with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d the focus on human aspect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line with the growing body of works that articulate the roles of the public and culture in regulatory process, this paper argues that both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regulatory responses to AD owe greatly to the knowledge and political practice of the public, especially that of the 'Atopy moms'. Their knowledge practice that creatively appropriated scientific uncertainty regarding AD brought unexpected epistemological and political alliances, respectively with alternative medicine and with organic coop movement and an emergent political party and generated enough dynamics for the legislation of the EHA.

이 논문은 아토피 질환에 대한 '한국적'인 이해와 대응을 낳은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다. 유전적 소인이 있는 특이면역성 질환 아토피는 외국의 경우에 '환경병'으로 인식되는 우가 드물다. 하지만 한국에서 아토피는 '환경호르몬' 등의 위험요소들과 결부되며 표적 환경병의 지위를 갖고 있다. 아토피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사전예방원칙과, 매체중심이 아닌 수용자중심의 환경오염 관리라는 전향적 원칙을 내세운 2008년의 환경보건법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논문은 이 규제과정에 있어서 대중의 지식적 정치적 활동의 역할을 살펴본다. '아토피 = 환경병'으로 아토피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아토피 아이들을 둔 아토피 엄마들이다. 이들은 의학과 독성학 등 과학계의 성과는 물론 본의 '아토피 아이, 지구의 아이'와 같은 환자조직의 활동경험과 성과를 이용, 대중적 호소력을 발휘한 '아토피 이론'을 제시했다. 이들은 과학적 불확실성을 전용하는 편, 한의학계, 생협, 민노당 등과도 지식 정치적 연대를 형성함으로써 환경보건법이라는 성과를 내게 된다. 이 논문은 이 과정을 검토함에 있어 '대중'이라는 주체가 성되어가는 역사성과 사회적 이슈 형성의 문화적 맥락에 관심을 돌린다. 이러한 연구는 위험규제나 정책연구 등에 역사적 역동성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만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택 (2004), 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한국정치연구, 제13권 제2호, pp. 143-165.
  2. 권현조.김연정 (2006), 아토피피부염과 관련된 국내 인터넷상의 정보에 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제44권 제2호, pp. 137-140.
  3. 김록호 (1998),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과 인류의 미래, 대한의사협회지, 제41권 제10호, pp. 1039-1047.
  4. 김소형 (2004), 아토피 아가 애기똥풀 엄마, 이미지박스.
  5. 김영한 (2007), 지후맘의 베이비 바이블(임신출산대백과) , 김영사.
  6. 김충희 (2005), 아빠 가려워(아토피 육아기) , 청년사.
  7. 김홍석 (2006), 진보정치가 녹색정치를 만나다, 환경과 생명, 제50권, pp. 160-166.
  8. 꿈지모 (2003), 꿈꾸는 지렁이들, 환경과생명.
  9. 다음을지키는사람들 (2000),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 1, 시공사.
  10.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2002), 우리 집에서 아토피를 잡는 99가지 방법, 시공사.
  11.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2004),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 2, 시공사.
  12.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2005), 광용아 햄버거 맛있니, 랜덤하우스코리아.
  13. 단병호 (2005), 2005년 국민환경의식 조사보고서: 환경부 국정감사자료집 3 , 단병호 의원실.
  14. 단병호 (2007a), 환경보건법안 (7620), 단병호 의원실.
  15. 단병호 (2007b), 환경보건법안은 국민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인가?,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 및 환경보건법안 평가 토론회.
  16. 마키세.허정구 (2008), 아토피 바이블, 한국학술정보.
  17. 문희범 (1994), 알레르겐과 아토피, 대한알레르기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10-18.
  18. 미야니시나오코 외 (2000),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가족을 지키는 50가지 방법, 삼신각.
  19. 민주노동당 (2005a), 생활의제의 중심: 아토피 STOP 프로젝트.
  20. 민주노동당 (2005b), 아토피 STOP 프로젝트 심포지엄 자료집.
  21. 박명숙 (2009), 환경호르몬 대 성장호르몬, 작은 것이 아름답다.
  22. 박명숙 (2010), 방문인터뷰 (2010.04.27)
  23. 박상신 (2004), 생활협동조합운동 15년 (1987-2002), 시민운동연감, 서울: NGO Times.
  24. 박용신 (2004), 천인상응 사상 - 환경오염과 한의학,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 시민환경백서, pp. 53-57, 나남출판사.
  25. 박창근.박천욱 (2007), 유, 소아기 아토피피부염이 환아의 삶의 질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과학회지, 제45권 제5호, pp. 429-438.
  26. 보건복지부 (2007), 천식.아토피 질환 극복, 정부가 앞장선다.
  27. 부산일보 (2008.6.5), [기고] WHO 어린이 건강환경 컨퍼런스를 앞두고.
  28. 산지킬러 (2005), 의사도 못 고치는 아토피 아토피안이 고친다, 이한출판사.
  29. 양성완 (2003), 한방으로 잡는 아토피 피부염, 시공사.
  30. 여성환경연대 (2008), 아토피 없는 나라 만들기 정책 심포지엄.
  31. 연합통신 (2005.10.10), [국감] 주부참고인 '아토피 심각성' 호소.
  32. 오마이뉴스 (2007.11.6), [아토피 Zero 세상을 열자(1)] 여는 글-어린이 4명중 1명이 앓는 '국민병'.
  33. 오마이뉴스 (2007.12.14), 어떤 후보 당선돼야 우리 아이 몸 덜 긁을까.
  34. 우석훈 (2005a), 아픈 아이들의 세대, 뿌리와이파리.
  35. 우석훈 (2005b), 음식국부론, 생각의나무.
  36. 이상진.변대규 (1993), 경기도 부천시 공립 유치원 학동들의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율과 동반되는 보조 피부 증상의 빈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p. 394.
  37. 장하원 (2009), 새집증후군 배상 판결 사례를 통해서 본 환경분쟁조정의 특성,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제1호, pp. 57-90.
  38. 조선일보 (2001.7.4), 안방서 사회활동 아줌마 네티즌 사이버 세상 '여인천하'.
  39. 조선일보 (2002.5.16), 막강 아줌마 파워 -아줌마가 경제를 움직인다.
  40. 조선일보 (2003.11.5), 쌍둥이 아빠 이종훈의 한방 육아.
  41. 조선일보 (2006.4.24), SMART 바른 선거 바른 선택: 한나라 서울시장 예비후보 3人 공약 첫 SMART 평가.
  42. 조선일보 (2006.5.19), 5.31지방선거 관심지역 [수원시장] .
  43. 진현우.장호선 (2005),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대체의학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제43권 제7호, pp. 903-911.
  44. 청뇌체질의학연구소 (2002), 손을 묶을까 아토피를 묶을까, 시유시.
  45. 최민희 (2001a), 작은 것이 아름답다, pp. 88-91, 녹색연합.
  46. 최민희 (2001b), 황금빛 똥을 누는 아기 (개정판) , 21세기북스.
  47. 최민희 (2002), 해맑은 피부를 되찾은 아이, 문화유람.
  48. 테오 콜본 외, 권규복 번역 (1997), 도둑 맞은 미래, 사이언스북스. [Theo Colborn, et al. (1996), Our Stolen Future, Plume.]
  49. 통계청 (2009), KOSIS 국가통계포털.
  50. 편복양 (2005), 영유아 아토피피부염의 위험 인자,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235-237.
  51. 한겨례신문 (2004.12.3), 민언련 20년, 최민희의 20년!.
  52. 한겨레신문 (2006.2.2), 우리사회 민주주의는 과학기술 앞에서 멈춰서죠: 권은정의 인터뷰 무제한/한재각 과학기술 시민운동가.
  53. 한겨레신문 (2006.5.3), [선택 5․31] 서울시장 후보 공약 집중비교.
  54. 한겨레신문 (2006.5.4), 경기지사 후보 공약 집중비교.
  55. 한겨레신문 (2008.1.24), 청정마을 진안서 '아토피와 이별해요-'.
  56. 한겨레신문 (2008.12.22), 자연요법 2년, 아토피 뚝: 김진경 원장의 '딸아이 아토피 치료기' .
  57. 한길리서치연구소 (2005), 2005년 국민환경의식 여론조사 보고서.
  58. 한살림 (1991), 우리밀의 슬픈 역사, 한살림.
  59. 한재각 (2007), 한국에서 적녹연대는 가능한가, 사회 국가, 한국 사회 재설계도, pp. 315-322, 후마니타스.
  60. 한재각.장영배. (2009),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수행되지 않은 과학하기,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제1호, pp. 1-31.
  61. 홍천수 (1995), 우리나라에서 아토피가 증가하고 있는가?, 대한알레르기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300-303.
  62. 환경노동위원회 (2005), 2005년도 국정감사결과보고서.
  63. 환경부 (2005), 환경보건정책법.
  64. 환경부 (2006a), 환경보건법안 입법계획.
  65. 환경부 (2006b), 환경노동위 국정감사보고서.
  66. 환경부 (2008), 환경보건법 2008.
  67. 환경부 (2009), 국내 PCBs함유(액상)폐기물 기준 검토 토론회 개최.
  68.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69. 수수팥떡아이사랑모임, http://www.asamo.or.kr
  70. 더불어 사는 세상 한 살림, http://www.hansalim.or.kr
  71. Beck, U. (1992),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London: Sage Publications.
  72. Beck, U. (1995), Ecological Politics in an Age of Risk, Cambridge: Polity Press.
  73. Begley, S. (2009), "When Studies Collide", Newsweek, Vol. 53, No. 26, p. 28.
  74. Berkson, L. (2001), Hormone Deception, McGraw-Hill Professional.
  75. Daemmrich, A. (2008), "FORUM - Risk Frameworks and Biomonitoring: distributed regulation of synthetic chemicals in humans", Environmental History, Vol. 13, No. 4, pp. 684-694.
  76. Jasanoff, S. (2005), Designs on Na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7. Jasanoff, S. and Martello, M. L. eds., (2004), Earthly Politics: local and global in environmental governance,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78. Krimsky, S. (2000), Hormonal Chaos: The Scientific and Social Origins of the Environmental Endocrine Hypothesis,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9.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80. Latour, B. (1993), We Have Never Been Modern, Harvard University Press.
  81. Leach, M., Scoones, I. and Wynne, B. (2005), Science and Citizens, ZedBooks.
  82. Levidow, L. (2001), "Precautionary Uncertainty: Regulating GM Crops in Europ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31, No. 6, pp. 842-874. https://doi.org/10.1177/030631201031006003
  83. McGeady, S. J. (2004), "Immunocompetence and allergy.", Pediatrics, Vol. 113, No. 4, pp. 1107-1113.
  84. Miyake, Y. et al. (2004), "Was the prevalence of Japanese childhood atopic eczema symptoms overestimated in the ISAAC study?",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113, No. 3, pp. 571-572.
  85. Murphy, C. M. (2006), Sick Building Syndrome and The Problem Of Uncertainty, Duke University Press.
  86. Nash, L. L. (2006), Inescapable Ecologies: A History of Environment, Disease, and Knowled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7. OECD (2004), OECD Environmental Data: Compendium2004, Paris: OECD.
  88. Underwood, A. and Kuchment, A. (2008), "The Chemicals Within", Newsweek, Vol. 151, No. 5, pp. 50-53.
  89. Williams, H. et al. (1999), "Worldwide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topic eczema in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103, pp. 125-138. https://doi.org/10.1016/S0091-6749(99)70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