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Practices from below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24 Low, Middle Income and Emerging Economy Countries

  • Pengpid, Supa;Peltzer, Kar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637-8640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BSE)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24 low, middle income and emerging economy countries. Using anonymous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810 female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ged 16-30 (mean age 20.7, SD=2.9) from 25 universities in 24 countries across Asia, Africa and the Americas. Overall, 50.4% of the female students indicated that they knew how to conduct BSE. Among all women, 59.3% had never practiced BSE in the past 12 months, 21.3% 1-2 times, 10.3% 3-10 times, and 9.1% monthly. The proportion of monthly BSE was above 20% in Nigeria and Laos and below 2% in Bangladesh, India, Singapore, Russia, and South Africa. Logistic regression found that BSE importance or positive attitude was highly associated with BSE practice. BSE practices were found to be inadequate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programmes that can increase knowledge related to breast cancer as well as the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alyzing Safety Culture in Sri Lankan Industrial Chemical Laboratories

  • Samaranayake, Ashen I.;Nishadya, Sajani;Jayasundara, Udaya 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86-92
    • /
    • 2022
  • Background: A laboratory where chemicals are handled can be considered a hazardous environment, and hence, prudent practices should be strictly enforced. If not, deadly accidents and incidents could occur due to a lack of safety practices and poor safety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safety culture and propose potential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level of safety education in the chemical laboratories in the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mong the laboratory supervisors of the chemical laboratories in the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in 2019. Results: Even though 80 surveys were distributed among prospective participants, only 46 surveys were submitted, which is 58% of the response rate. Most of the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females below 35 years old, and approximately 96% of the participants had at least one year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same laboratory setting. The majority considered safety as an important factor that requires further improvements with third-party safety inspections; however, 54% of the respondents mentioned that those inspections were conducted by the employees from their laboratory. Conclusion: From the stud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employees have knowledge of safety culture to a certain extent. A significant percentage (83%) of participants believed that further safety measures are required for a safer laboratory. Howev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attitudes of some employees should be changed to have a better safety culture. Hence the authors would like to suggest having annual training sessions and well-formulated safety policies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Awareness of Reproductive Health Risks, Sex Hormone Levels and Sperm Indices among Farmers Exposed to Pesticides in Akungba Akoko, Nigeria

  • Yeiya, Evelyn Apiriboh;Emokpae, Mathias Abiod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4-253
    • /
    • 2022
  • Background: The indiscriminate use of pesticides in Nigeria may have harmful effects on reproductive health of farmers.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awareness of reproductive health,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uteinizing hormone (LH), testosterone, estradiol, progesterone and sperm characteristics of male farm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pesticides. Methods: Eighty four male farme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the socio-demographic data. Blood and seme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ubjects in the morning for hormonal assays and semen analysis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and SQAV sperm quality analyzer. Data were analyzed using chi square, Student's-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erum FSH (p<0.01), LH (p<0.005) and Estradiol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le prolactin (p<0.02) and testosterone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pesticides exposed farmers than nonexposed subjects. Some 34/84 (40.5%) of the pesticides exposed farmers had serum testosterone levels below the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range. Those with low testosterone levels (p<0.001), also had FSH (p<0.05), LH (p<0.001) and Estradiol (p<0.002)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ith normal testosterone levels. The sperm count among pesticides exposed farmers; total motility and percentage morpholog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n-pesticides exposed subjects. Some 14/84 (16.7%) of the pesticides exposed farmers had sperm count below 15 million/mL (oligozoospermia). More than 70% of the farmers were not aware of the reproductive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pesticides and only 23.8% of the farmers were using protective devices. Conclusions: Deliberate efforts to improve awareness, knowledge, personal hygiene, and interventions necessary to lessen both pesticides exposure and health risks by adopting safe practices are suggested.

아토피 질환의 '한국적' 탄생과 부상: 대중적 지식활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Atopic Dermatitis and the Making of an Environmental Diseas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이정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7-152
    • /
    • 2010
  • 이 논문은 아토피 질환에 대한 '한국적'인 이해와 대응을 낳은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다. 유전적 소인이 있는 특이면역성 질환 아토피는 외국의 경우에 '환경병'으로 인식되는 우가 드물다. 하지만 한국에서 아토피는 '환경호르몬' 등의 위험요소들과 결부되며 표적 환경병의 지위를 갖고 있다. 아토피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사전예방원칙과, 매체중심이 아닌 수용자중심의 환경오염 관리라는 전향적 원칙을 내세운 2008년의 환경보건법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논문은 이 규제과정에 있어서 대중의 지식적 정치적 활동의 역할을 살펴본다. '아토피 = 환경병'으로 아토피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아토피 아이들을 둔 아토피 엄마들이다. 이들은 의학과 독성학 등 과학계의 성과는 물론 본의 '아토피 아이, 지구의 아이'와 같은 환자조직의 활동경험과 성과를 이용, 대중적 호소력을 발휘한 '아토피 이론'을 제시했다. 이들은 과학적 불확실성을 전용하는 편, 한의학계, 생협, 민노당 등과도 지식 정치적 연대를 형성함으로써 환경보건법이라는 성과를 내게 된다. 이 논문은 이 과정을 검토함에 있어 '대중'이라는 주체가 성되어가는 역사성과 사회적 이슈 형성의 문화적 맥락에 관심을 돌린다. 이러한 연구는 위험규제나 정책연구 등에 역사적 역동성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만들 수 있다.

  • PDF

순암(醇庵) 오재순(吳載純) 성공도(聖功圖) 고석(考釋) (A Study of Sunam Oh Jae-soon's Seonggongdo)

  • 김영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249-274
    • /
    • 2012
  • 본 논문은 정조시대 학자인 순암 오재순(1727-1792)의 성공(聖功)사상을 "성공도(聖功圖)"와 "성공도설(聖功圖說)"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순암의 성공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첫째, 성학(聖學)이 아닌 성공(聖功)을 강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성인지학(聖人之學)의 준말인 성학으로 표현하나 순암은 성공이라 하여 '학(學)'(학문) 보다는 실천적인 '공(功)'(공부)를 특히 더욱 강조하였다. 각각의 도(圖)의 명칭의 경우에도 논학도(論學圖)라고 명명은 하였으나 지(知), 행(行), 존심(存心), 신언(愼言), 근행조(謹行條)에 제시된 각각의 인물과 각 경서의 핵심 내용은 대부분 수양과 실천에 관계된 것이다. 둘째, 도통(道統)(인물)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요순우상전심학도를 볼 때 도통을 제시((요- 순- 우)- 공자- 증자- 자사- 맹자- 정주)하여 은근히 자신에게 까지 도통이 이어짐을 시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중국 사람, 중국 저서만 있는 것이 아쉽다. 셋째, 일관된 자기 사상에 의해 해석하였다. 즉 모든 인물과 경서를 지(知), 행(行), 존심(存心), 신언(愼言), 근행(謹行)의 다섯 조목으로 일관되게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순암은 위의 다섯 가지 조목으로 분류하되 면밀히 경서나 인물의 사상을 분석 파악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전체적으로 도표식으로 정리하였고 인물과 경서 중심으로 분석하여 간명, 직절한 느낌을 주며 각인 저술의 핵심 문장을 선택해 그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다섯째, 사서삼경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특히 "시경"과 "서경"도 아울러 중시하고 있음을 본다. 다만 "춘추" "예기"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는바 양서는 성공사상을 나타내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취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여섯째, 순암의 성공사상은 이후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순암학결로 이어져 후학의 선하(先河)가 되었다.

외국인투자기업의 국제이전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기업요인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Korea)

  • 전태영;변용환
    • 중소기업연구
    • /
    • 제31권2호
    • /
    • pp.85-102
    • /
    • 2009
  • 기업환경의 국제화 및 세계화에 따라 국내에 진출하는 다국적기업의 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은 별로 연구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다국적기업의 국제이전가격은 정교하게 설정되어 조세부담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국적기업의 행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인 기업의 특성 및 환경적 요인이 국제이전가격의 설정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2004년 현재 우리나라에 미화 100만불 이상의 직접투자를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 86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121개 기업이 응답하여 이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국제이전가격설정방법이 시장기준 혹은 원가기준에 의거하였는지의 여부를 묻는 2원적변수를 채택하였다. 시장기준방법의 경우 객관성이 높아 세무당국이 선호하는 방법임에 비해 원가기준은 경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소지가 많아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구분되기 때문이다. 독립변수로는 법인세, 관세, 세무당국과의 관계, 세무조사가능성, 현지투자자의 지분율, 내부거래비중, 매출액 및 제품수명주기가 채택되었고, 통제변수로는 중소기업여부 및 투자자의 국적이 더미변수의 형태로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무변수로는 법인세와 관세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요도가 높을수록 경영자에게 재량권이 있는 원가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세무당국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평가할수록 시장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지 정부는 객관성이 높은 시장기준을 가장 선호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 이 점을 고려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제품 수명주기의 성숙도가 높을수록 원가기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제품의 성숙도가 높을수록 경쟁 때문에 현지자회사가 시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므로 이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원가기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