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태풍 Manyi와 Usagi 사례에 대한 고해상도 대기모델 해면기압 정확도 비교 분석

Analysis of Precision for Mean Sea Level Pressure simulated by high resolution Weather Model for Typhoon Manyi and Usagi in 2007

  • 유승협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 권지혜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You, Sung-Hyup (Global Environment System Research Lab.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Kwon, Ji-Hye (Global Environment System Research Lab.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투고 : 2010.06.22
  • 심사 : 2010.08.03
  • 발행 : 2010.08.25

초록

본 연구는 2007년의 태풍 Manyi와 Usagi 기간 동안에 대기모델에 의해 예측된 한반도 주변의 해면기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중규모 지역 모델인 RDAPS, KWRF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9 km, 3 km 수평해상도의 고해상도 WRF 모델 결과가 활용되었다. 모델로 예측된 해면기압은 한반도 주변의 AWS와 해양기상 부이 등 연안지역에 총35개 지점 관측자료와 비교하였다. 비록 4개의 모델이 태풍 기간 동안 해면기압을 잘 모의하였지만 3 km WRF가가장 좋은 예측 결과를 보였으며 지역 모델인 RDAPS와 KWRF와 비교하여 최대 69%와 60%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uracy of mean sea level pressure(MSLP) predicted by weather models around Korean Peninsula during typhoon Manyi and Usagi period in 2007. The mesoscale regional model, RDAPS, KWRF with 30 and 10 km horizontal resolution and developed high-resolution WRF models with 9 and 3 km horizontal resolutions are used to predict the features of MSLP. The predicted MSLP aspects were verified using observed results from total 35 coastal stations including AWS and ocean buoy. Although 4 models showed the reasonable MLSP results during typhoon periods, the highest resolution, 3km WRF model show the most accurate MSLP results with maximum 69% and 60% improvement with comparisons of RDAPS and KWRF,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기상연구소, 2007, 고해상도 폭풍해일 및 파랑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274 pp.
  2. 나정열, 한상규, 서장원, 노의근, 강인식, 1997, 한국 동해에서의 해면기압, 해수면 온도와 해상풍의 경험적 직교 함수분석, 한국수산학회지, 30(2), 188-202.
  3. 이영규, 이승수, 2008, 태풍 나리(2007)의 해면기압과 바람장에 관한 연구, 제 11회 한국풍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7-103.
  4. 전기천, 강시환, 이동영, 박광순, 2001, 폭풍해일 예측을 위한 태풍 해면기압 및 해상풍 추정, 대기, 11(3), 532-535.
  5. 정진용, 심재설, 이동규, 민인기, 권재일, 2008, 한반도 연안 에서의 12.5 km 해상도 QuikSCAT 해상풍 검증, Ocean and Polar Research, 30(1), 47-58. https://doi.org/10.4217/OPR.2008.30.1.047
  6. 유승협, 조재갑, 서장원, 2007, 기상청 현업 모델 RDAPS와 QuikSCAT 해상풍 자료의 비교,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5), 467-475.
  7. 유승협, 권지혜, 김정식, 2009, 2006-2007년 해양기상 특성:해상풍, 대기지 19(2), 145-154.
  8. Dudhia, J., 1993, A nonhydrostatic version of the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Validation tests and simulation of an Atlantic cyclone and cold front, Monthly Weather Review, 121, 1493-1513. https://doi.org/10.1175/1520-0493(1993)121<1493:ANVOTP>2.0.CO;2
  9. Kwun, J.H. and You, S.H., 2009, Nmnerical study of sea winds simulated by the high-resolution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Asia-Pacific Journal of Atmopsheric Sciences, 45(5). 523-554.
  10. Lie, H.-J., Na, J.Y., Han, S.K. and Seo, J.W, 1994, Monlhly mean sea surface winds over the East China Sea. KORDI Rep. BSPE 00367-681-1,91 pp. (In Korean)
  11. Lie, H.-J., Na, J.Y. and Han, S.K., 1995, Variabilities in time and space of sea surface winds around Korea., KORDI Rep. BSPE 00444-788-1, 53 pp. (In Korean)
  12. Na, J.Y., Seo, J.W and Han, SK., 1992, Monlhly-mean sea surface winds over the adjacent seas of the Korea Peninsula. J. of the Oceanol. Soc. Korea, 27, 1-10.
  13. Wang, W., Barker, D., Bruyere, C., Duda, M., Dudhia, J., Gill, D., Michalakes, J. and Rizvi, S., 2008, ARW Version 3 Modeling System User's Guide. Mesoscale & Microscale Meteorology Division,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