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28
  • Published : 2010.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and analyse the relative efficiency of 17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In this paper, total staffs, total area, total holdings are used as library inputs and total circulations, total user visits are used as library outputs. The estimated results show that libraries operate at 64.15% efficiency and only 4 libraries are relatively efficient. Inefficiency of the public libraries was due to small use of outputs compared to inputs.

본 연구는 대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7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DEA기법을 사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투입요소로는 직원수, 면적, 장서수가 사용되었으며 산출요소로는 이용책수와 이용자수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의 평균 효율성은 64.15%로 평가되었다. 효율적인 도서관은 4개관으로 전체의 24%에 불과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비효율적인 도서관들의 비효율성은 투입물에 비해 산출물의 과소사용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진. 1999.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평가: 충청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회계연구 4(1): 151-176.
  2. 김선애. 2005.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20-239. https://doi.org/10.4275/KSLIS.2005.39.1.221
  3. 김선애. 2007.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비교분석: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237-256. https://doi.org/10.4275/KSLIS.2007.41.2.237
  4. 김진현, 유왕근. 2001. 보건소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와 정책적 의의. 보건행정학회지, 9(4): 87-119.
  5.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 2009. 대전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전략연구. 대전: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2008 전국도서관 평가결과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7. 문경주. 2009.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부산지역 21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 59-92.
  8. 오승은. 2000. 지방자치단체 기업적 활동의 효율성 분석: 지방공영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9. 윤희윤. 1999.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경제성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37-256.
  10. 한국. 기획재정부. 2009.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안 작성세부지침(안). [한국]:기획 재정부. [인용 2010. 02. 14]. .
  11.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 2009.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2. 한복희 외. 2010.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267-295.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267
  13. 함요상. 2007.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전환의 논거: 공공도서관서비스의 공급방식간 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2007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집, 369-394.
  14. Charnes, A. Cooper, W. W &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The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2(6):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5. Clark, C. T. 1989.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Extensions for Decision Support and Management Planning.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University of Texas, Austin.
  16. Cook, Wade D., Larry M. Seiford. 2009.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hirty Years o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92: 1-17. https://doi.org/10.1016/j.ejor.2008.01.032
  17.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20(3): 253-290. https://doi.org/10.2307/2343100
  18. Hammond, C. J. 2009.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nge on UK Public Library Efficiency." Int. J. Production Economics, 121: 286-295. https://doi.org/10.1016/j.ijpe.2009.04.027
  19. Hammond, C. J. 2002.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A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UK Public Library Systems." Applied Economics, 34: 649-657. https://doi.org/10.1080/00036840110053252
  20. Vitaliano, D. F. 1998. "Assessing Public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69(1): 107-122. https://doi.org/10.1111/1467-8292.00075
  21. Worthington, A. 1999. "Performance Indicators and Efficiency Measurement in Public Libraries." The Australian Economic Review, 32(1): 31-42. https://doi.org/10.1111/1467-8462.00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