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ser's awareness for Workable Environment Improvement of Public Building by Green Building Renovation - Focus on the 1st & 2nd Building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그린빌딩화를 통한 청사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사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제 1, 2청사를 중심으로 -

  • 오창훈 (제주특별자치도청) ;
  • 김태일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
  • 양건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e sustainable architectural concept, "green buildings,"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 concept has not yet been converted to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The leading role of public sector has been socially and economically influential in the nation, hence green public buildings are significant to stimulate the spread of green buildings in the nation. This study is to draw an appropriate method of implementing the green building concept to the two mai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ased on the plan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it is also to provide long-term directions of implementing policies and reference fo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o utilize the green building concept. Its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survey method.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government employees of the two buildings. It accounts for 20% of the total number of 711 workers of the buil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have a positive evaluurned toward the introduction of green buildings due to their expecturned for the possible i the buildingstheir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showed more interest in space planning with natural ventilation than automatic systems regarding applied methods for green buildings.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일․이태경․이상홍, 업무용건축물의 친환경성 측정을 위한 간편한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6호(통권236호), 2008.
  2. 김동희․조동우․유기형,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용도별 인증결과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권1호(통권255호), 2010
  3. 김명운․전재열, 기존건축물의 친환경 인증기준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1호, 2009
  4. 김병수․임오연, LED램프를 적용한 사무소건물의 실내조명환경 및 에너지성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7호, 2009
  5. 김지연․박효순․김성실․서승직․현종훈, 소규모 학교의 냉난방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2호, 2009
  6. 김자경, 친환경 초고층 건축계획 특성 및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8, No.3, 2008
  7. 김창성․정희영․김강수, 국내 친환경 인증건축물의 사후관리 및 재인증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9호, 2008
  8. 김태한, EPIQR+를 이용한 구청사 건물에 대한 경제적, 에너지관점에서의 건물 재평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9, No.5, 2009
  9. 김혜성․김민지․윤성원, 국내 PV 통합 프로젝트의 사례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통권 제52집), 2008
  10. 공효주․김정태, 썬 스쿠푸와 라이트 스쿠푸 시스템의 자연채광 성능에 관한 축소모형 실험-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2호(통권 13호), 2007
  11. 박태범․김용식, 인천경제자유구역 건축물의 친환경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10, No.1, 2010
  12. 서정규․김명운․박종순․이재석․전재열, 기존건물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친환경 인증기준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구조계, 제29권 제1호, 2009
  13. 송호준․임영환, 도심지 오피스 건축물의 친환경 요소 도입방법에 관한 연구-4개국의 그린빌딩 인증 오피스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통권 제52집), 2008
  14. 이건호․김현수․장대희․문수영, 다양한 기후조건에 대응하는 이중외피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5, No.2, 2005
  15. 이규인․김민석,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평가기준 설정에 대한 전문가의식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10
  16. 이규인․염동우, 친환경 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평가기준 개선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2호, 2009
  17. 이명식, 건축물 성능평가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2호, 2009
  18. 오경환․임영환, 국내외 그린빌딩 인즌건축물 사례분석을 통한 초고층 건축물의 친환경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호, 2009
  19. 임영환․유연수, 이동 가능형 건축의 PV시스템 통합디자인 방법 및 특성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3호, 2009
  20. 조진균․홍민호․유창우, 자연환기 계획을 위한 국내 초고층 공동주택 커튼월의 창호유형 사례분석 및 환기창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4호, 2009
  21. 정근주․김동완․임영빈, 그린빌딩 평가기준의 운영에너지 및 대기공해 성능 평가규정 비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권 6호(통권200호), 2005
  22. 정영광․박상동․이승민․최무혁, 업무용 친환경건축물 인증사례를 통한 평가 항목에 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제8호, 2007
  23. 최준성, 건축물 환경성 평가도구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권 12호(통권254호), 2009
  24. 태성호․신성우․임수철, 실내환경평가와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 분석요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제8호, 2007
  25. Friodmann, Zimring, Zube 저, 환경설계평가, 정철모․조영미 역, 명보문화사, 1990
  26. Wolfgang F.E. Preiser 외 2인, 건물평가방법론, 태림문화사, 1993
  27. Klaus Daniels, The Technology of Ecological Building, Birkhauser, 1997
  28. 日本ファシリティマネジメント協會編, ファシリティマネジメントの實際, 丸善,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