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alogy of the Rainbow Stripe in Ethnic Costumes in East Asia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 Cho, Woo-Hyu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Mi-Ji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Life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의상학과) ;
  • 김미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1.20
  • Accepted : 2010.03.25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 to trace a genealogy of Rainbow stripe in 30 ethnic costumes in East Asia. And with through comparative views between Korean and the other minority that is shown a bilateral relation of rainbow stripe in their costume, we make sure the unique character of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stripe in the costumes was generally used on sleeves with 3~6 patches. There were 10 types of methods for making the stripe including sewing. Weaving and sewing with trimming was also frequently used either and the stripe by weaving with multicolored yarns were mostly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Black, blue and red were frequently used in the costume as a main color that was contrasted with rainbow stripe and especially, black was mostly used. Korean preferred bright colors as a main color. Contents of the genealogy of the multicolored stripe in ethnic costume in East Asia are followed. The 28 ethnic groups who used the stripe in their dress except Korean, the Mans, Mongo people and Tibetan were loca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 Asia. And the other ethnic group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region of East Asia. The distribution of the rainbow stripe in the costume could be grouped into two sections: the southern region people and Korean-the Mongol people-the Tus- the Zangs group. And the latter group was shown strong relation with the culture of Korean's rainbow stripe costume. 11 ethnic peoples including Korean, the Vis, the Miaos, the Tus, the Mongol people, the Chaoxians, the Zangs, the Lahus, the Jinuos, the Hanis, the Luobas and the Dulongs, were saliently used the stripe in their costume. The stripe in Japanese costume was judged that was not a kind of the rainbow stripe was shown the other ethnic groups, was a color arrangement by layered dress or geometrical pattern. From above, we could recap 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the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Many colors were used in the stripe and bodies than the other ethnic people and the color was bright. In many cases, a color of patch at the point of armhole was red and Black color was not used in the stripe. The width of patch was a relatively narrow and regular. It has shown that the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was organized independentl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성균관대학교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색동, 자료검색일: 2009. 110.03. 자료출처: http://124.137.201.223/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동에 관한 정의 중 3번째정의, 자료검색일: 2009. 11. 03, 자료출처: http://124.137.201.223/
  3.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미술문화, p. 238.
  4. 한국어대사전편찬회 (1976). 한국어대사전. 서울:현문사, p. 844.
  5. 안옥규 (1989). 어원사전. 서울: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진동, 자료검색일: 2010. 1. 17, 자료출처: http://124.137.201.223/
  7. 김영숙 (1988). 한국복식사사전. 서울: 民文庫.
  8. 성승연 (1998). 색동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p. 3-4.
  9. 금기숙 (1997).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p. 73-74.
  10. 성승연 (1998). 색동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p. 3-4., 이훈종. 국학도감저자, 1999. 3. 12. 인터뷰
  11. 성승연 (1998). 색동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p. 3-4., 유희경, 복식학회 고문이사, 복식문화원, 1998. 9. 19. 인터뷰
  12. 김헌식 문화평론가 (2007.07.15.). 데일리안, 초고층 랜드마트 빌딩과 솔롱고스의 나라, 자료검색일: 2010. 2. 15, 자료출처: http://www.dailian.co.kr
  13. 김규현 (2003). 티베트의 역사산책. 서울: 정신세계사.
  14. 김영인, 권영걸 저 (2001). 색색가지 세상. 서울: 도서출판국제, p. 63.
  15. 김화숙 (2008). 기모노에 내재된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 고찰.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정자 (1996). 일본 기모노 직물문양을 이미지화한 패턴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17. 양지나 (2010). 에도시대 우키요에 복식에 표현된 문양과 색체.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3-133.
  18. 천잇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9). 오색창연. 서울: 문화체육부(문화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108.
  19. 선: 민족문화관편저 (1985). 중국묘족복식. 香港: 民族出版社, p. 108.
  20. 수: 소소연 (2008). 경산이족복식문화여공예. 중국방식출판사, p. 13.
  21. 직조: Romain, Hippolyte, Romain, Yann (2006), Tibet Style, Paris : Flammarion : New York: Distributed in North America by Rizzoli, p. 59.
  22. 천잇기+선: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23. 천잇기+수: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2005). 중국운남민족문화전. 서울: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p. 98.
  24. 천잇기+선+수: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25. 천잇기+직조: 이춘생. 中華人民共和國 國家民族事務委員會 (1994). 中國少數民族=China's minority peoples, 北京: 人民畵報社: 中國畵報出版社.
  26. 선+수: 소소연 (2008). 경산이족복식문화여공예. 중국방식출판사, p. 19.
  27. 실로감기: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2005). 중국운남민족문화전. 서울: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p. 135.
  28.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소수민족복식. 서울: 도서출판 민속원, p. 239.
  29.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976.
  30.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소수민족복식. 서울: 도서출판 민속원, p. 246.
  31.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451.
  32. 한국민족,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9). 오색창연. 서울: 문화체육부(문화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108.
  33. 조선족,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32.
  34. 조선족,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86.
  35. 조선족,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004.
  36. 조선족,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87.
  37. 조선족,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402.
  38. 소소연 (2008). 경산이족복식문화여공예. 중국방식출판사, p. 4.
  39.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上,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536.
  40. 민족문화궁 (1985). 중국묘족복식. 香港: 民族出版社, p. 38.
  41.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455.
  42.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353.
  43.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351.
  44.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2005). 중국운남민족문화전. 서울: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p. 81.
  45.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68.
  46.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2005). 중국운남민족문화전. 서울: 경기도박물관: 중국 운남민족박물관, p. 98.
  47.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323.
  48.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49.
  49.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09.
  50.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06.
  51.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14.
  52.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05.
  53.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88.
  54.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44.
  55.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54.
  56. 中國織繡服飾全集編纂委員會 (2004). 中國織繡復飾全集-少數民族復飾卷 下,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90.
  57.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179.
  58.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소수민족복식. 서울: 도서출판 민속원, p. 239.
  59.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975.
  60. 양지나 (2010). 에도시대 우키요에 복식에 표현된 문양과 색체.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21.
  61.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269.
  62. 김영인, 권영걸 저 (2001). 색색가지 세상. 서울: 도서출판국제, p. 63-70.
  63. 장정룡 (1996). 라후족 虎神崇拜 와 색동문양 고찰. 남방문화, 2.
  64. 장정룡 (2000). 라후족과 한민족 민속의 비교. 중앙음악연구, 8-9.
  65.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529.
  66.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239-247, 269-273, 531-540.
  67.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413-414.
  6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9). 오색창연. 서울: 문화체육부(문화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109.
  69.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36.
  70. 홍원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자료검색일: 2010년 2월 6일, 자료출처:www.gogung.go.kr
  71. 중화민족복식문화 (1992).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51.
  72. 정재남 (2007). 중국소수민족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p. 268.
  73.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第十 寶藏王 下 및 唐書 東夷傳高句麗, 舊唐書 卷43 職官2
  74. 최윤정 (2001). 복식에 나타난 색동의 미적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6.
  75. 하상효 (2000). 전통어린이 복식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76.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1980.의 저자
  77. 최윤정 (2001). 복식에 나타난 색동의 미적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78. 하상효 (2000). 전통어린이 복식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8.
  79. 하상효 (2000). 전통어린이 복식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