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Features of the Costum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Won-taek Kim in Cheongju

청주출토 김원택(金元澤, 1683-1766)묘 유물의 복식사적 특징

  • Chang, In-Woo (Dept. of Fashion Industry, University of Incheon)
  • 장인우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Received : 2010.02.23
  • Accepted : 2010.03.25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18th-century man's clothing excavated from Mr. Kim(1683-1766)'s tomb in Cheongju, Chungbuk in 2003. There are more than 100 pieces of excavated costumes from the tomb of Won-taek Kim. The excavated costumes have the value of genuine materials. Among them, 36 garments in good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kinds of the excavated coats with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ats-Simui(深衣), Danryeong(團領), Sagyusam(四揆衫), Daechang, jungchimak(中赤莫), and Sochangui. These different-size coats reveal the degree of ritual; the length of the ritual costume is longer than that of the daily one. We can see two kinds (large and small) of coats, jackets, and pants. The large-size clothing is for the dead, the small size one as daily clothing was used for filling the empty space of the coffin. Among the excavated clothing from Mr. Kim's tomb, clothing for the dead(shroud) is bigger than man's daily costume. Concerning the form, color, and materials of the costumes, clothing for the dead is similar to daily clothing, while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ir size. The oversized costumes of coats, jackets, and pants are also different in size, matching the structure of clothing.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천대학교

References

  1. 李縡, 사례편람(四禮便覽), 국역사례편람(1992). 우봉이씨대종회. 이화문화출판사
  2. 金長生. 沙溪全書 권 36 <儀禮問解>
  3. 筍南淑 (2000). 茶山 丁若鏞의 深衣制度에 關한 硏究. 한복문화학회지, 3(1), pp. 39-48.
  4. 이민주, 최은수(2007). 조선시대 방령의 확산과정과 그의미. 한복문화학회, 10(2), p. 176.
  5. 孟子, 離婁章句 上, 凡二十八章
  6. 金長生, 沙溪全書, 第25卷, 家禮輯覽 通禮
  7. 이은주 (2002). 이영응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조선의 옷매무새. 경기도박물관 민속원, pp. 230-242.
  8. 장인우 (2006). 전주이씨묘 출토의복의 형태와 봉제. 한복문화학회, 9(2), pp. 111-121.
  9. 김미자 (2002). 의원군(義原君)묘, 출토복식. 조선의 옷매무새, 경기도박물관. 민속원, pp. 188-209.
  10. 이은주 (2002). 이영응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조선의 옷매무새. 경기도박물관 민속원, pp. 236.
  11. 송미경 (2007). 김확묘 출토복식연구.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p. 148-283.
  12. 朴聖實 (1994). 天安出土 豊山洪氏 遺物小考, 한국복식 제12호,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pp. 119-143.
  13. 고부자 (2001). 풍산홍씨 출토복식. 한국복식 제19호,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pp. 93-101.
  14. 이민주, 최은수(2007). 조선시대 방령의 확산과정과 그의미. 한복문화학회, 10(2), p. 176.
  15. 李翼. 星湖僿設 卷12 人事門. (이돈형(李暾衡)의 이씨본 30권 30책)
  16. 金集 (1574-1656). 愼獨齊全書, 제5권, 서(書)
  17. 金長生. 沙溪全書, 제24권, 가례집람도설(家禮輯覽圖說)
  18. 고부자 (2001). 홍의준 출토복식. 한국복식, 12, pp. 119-147.
  19. 김문숙, 최지연 (2004). 남오성묘 출토복식에 관한 고찰. 남오성 묘 출토복식, 국립민속박물관 유물보존총서I, pp. 96-141.
  20. 이은주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남자묘에서 출토된 복식류.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p. 162-190.
  21. 이은주 (2005). 김여온묘의 출토복식분석. 길짐슴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옷이야기. 국립안동대학교 박물관, pp. 38-113.
  22. 金長生. 喪禮備要. 乾
  23. 이민주, 최은수 (2007). 조선시대 방령의 확산과정과 그 의미. 한복문화학회, 10(2), p. 175.
  24. 筍南淑 (2000). 茶山 丁若鏞의 深衣制度에 關한 硏究. 한복문화학회지, 3(1), pp.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