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업무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 사항 -조합설립추진위원회와 조합설립 업무를 중심으로-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Derived from an Analysis of the Work of the Urban & Residenc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Preparation Committee and Association Committee-

  • 투고 : 2009.12.21
  • 심사 : 2010.02.08
  • 발행 : 2010.06.20

초록

정부는 국지적 입체복합공간 개발사업에서 벗어나 광역적 도시재생사업을 통하여 낙후된 지역에 대한 도시및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도시기능의 회복을 위한 사업을 광역적으로 계획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도시의 균형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도시재생과 같은 대규모 사업이 단편적으로 있었으나 다양한 사업형태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정형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가 정립되지 않아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간의 혼선이 발생한다. 특히 일반 주민들로 구성된 조합설립추진위원회와 조합은 재개발, 재건축, 도시및주거환경정비사업 등을 수행하는데 지식이 부족하므로 추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재생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세 가지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의 도시및주거환경정비사업의 민간시행자의 역할을 하는 시행단계(조합설립추진위원회 승인, 조합 설립인가)의 행정적 업무 절차와 실무상의 업무 절차를 분석하였다. 둘째, 도시및주거환경정비사업의 조합설립추진위원회 및 조합 설립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e government has routinely made effort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of less-developed areas through large area urban remodeling projects, which are in themselves attempt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piecemeal local area development. Such projects are very complex, and various stakeholders are involved. However, the data on such projects has not been well managed, and has not lent itself to being easily adopted to similar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umerous fragmented mega-projects that seem to be performed based on "rules of thumb" To address this issue, the work process of many urban and residence project types should be standardized otherwise the participants will be confused to work properly. In particular, typical residents who lack knowledge about building redevelopment, building remodeling,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and the like think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preparation committees and association committees for the projects. Therefore, we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urban and building renovation to solve the prescribed present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the three necessary research performances: first, we analyzed the administrative work process in the related laws; second, we examined the practical work process of the preparation committee and association committee stages; and finally we deduced the problem and presented the required improv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구외 3인, 도시재생사업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가치체계 관리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2009.7(b)
  2. 강현구외 3인, 도시재생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주요 관리 요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5권 제7호, 2009.7(a)
  3.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 제2006-330호 정비사업조합설립추진위원회 운영규정
  4. 경실련도시개혁센터(2008.10). 재개발 재건축 뉴타운 사업 특별시민강좌 주민권리찾기 (제15기 도시대학)
  5. 김선규, 김한, [특집] 도시재생사업 위험요인분류체계 및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4호, pp.33-42, 2009.8
  6. 김주영, 정성훈, 재정비촉진사업에서의 재원조달기법에 관한 소고,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주거환경), 제7권 제1호 (통권 11호), pp.212-131, 2009.6
  7. 김창석, [특집] 도시재생관련 법제 및 지원체계 개발의 필요성, 대한건축학회, pp.18-21, 2008.7
  8. 김창석,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특별세미나_대한주택공사, pp.1-7, 2008.11
  9. 나인수, 박소현, 안건혁, 기성시가지 재생과정의 갈등해소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한국도시설계학회, pp.73-90, 2009.6
  10. 도시및주거환경정비사업법, 시행령, 시행규칙, 2009
  11. 도시재생사업단, 3-4세부 메가프로젝트 건설관리시스템 개발, 2차년도 연구보고서, 2008
  12.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제09539호, 2009.3.25 개정
  13. 박미규, 황희연, 지방도시 재생의 유형과 특성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3회, pp.173-181, 2009.5
  14. 박채운, 이주형,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정책적 함의,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89-102, 2009.3
  15. 이명훈외 4인, [특집] 도시정비사업에서 공공의 역할과 책임 강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3-14, 2009.4
  16. 정철모, 선진국의 도시재생을 위한 파트너쉽제도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제22권 제1호, pp.69-91, 2009.4
  17. 천현숙, 김유리, 뉴타운사업지구 내 주민민원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주거환경) 제7권 제1호(통권 11호), pp.105-120, 2009.6
  18. 최진도, 김영, 박진호,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구체화 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3회, pp.191-199, 2009.5
  19. 한국도시설계학회,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pp.34-35, 2006
  20. 현창택 외 4인, 복합용도개발사업의 기획/계획단계 CBS Organization Tool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5권 제8호, pp.185-194, 2009.8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methods to enhance utilization of the Urban & Residence Environment Improvement Fund for redevelopment proje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vol.12, pp.8,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8.3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