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rosion and Deposition by Debris-flow with LiDAR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에 의한 침식, 퇴적량 측정

  • Jun, Byong-Hee (School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Chang-Deok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Gyu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전병희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 장창덕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김남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intensive rainfall over 455 mm occurred between on 9 to 14 July 2009 triggered debris flows around the mountain area in Jecheon County. We mapped the debris flow area and estimated the debris flow volume using a high 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respectively from terrestria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topographic maps. For the LiDAR measurement, the terrestrial laser scanning system RIEGL LMS-Z390i which is equipped with GPS system and high-resolution digital camera were used. After the clipping and filtering, the point data generated by LiDAR scanning were overlapped with digital map and produced DEM after debris flow. The comparison between digital map and LiDAR scanning result showed the erosion and deposition volumes of about $17,586m^3$ and $7,520m^3$, respectively. The LiDAR data allowe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present along the sliding surface and in the deposit areas.

2009년 7월 9일부터 14일까지 누적강우 455mm의 집중호우에 의해 제천시 일대에 다수의 토석류 사태가 발생하였다. 토석류 발생에 따른 지형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지도와 라이다(LiDAR) 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수치고도모델(DEM)을 생성하였다. 라이다측량을 위해서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와 GPS가 탑재된 3차원 스캐너 시스템 (RIEGLE LMS-Z390i)을 이용하였다. 라이다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포인트 자료는 클리핑과 필터링 작업을 거친 후 수치지도에 중첩시켜 토석류 발생 후의 지형의 DEM을 생성한다. 이렇게 토석류 발생 전후의 DEM 비교결과, 토석류 발생에 의한 침식과 퇴적량은 각각 $17,586m^3$, $7,520m^3$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고해상도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변화 관측을 통해 장래 토석류 모델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이원영. 2007.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4):3-9.
  2.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75-87.
  3.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8(5C):263-271.
  4. 김기홍, 원상연, 윤준희, 송영선. 2008. 강릉지역 국도의 재해위험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33-39.
  5. 김기환, 이동혁, 김대회, 이승호. 2008. 토석류 흐름 상태 특성 파악을 위한 모형실험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9(5):83-89.
  6. 박덕근, 노성열, 손종철, 유병옥, 장범수. 2007. 집중호우에 따른 비탈면 재해분석을 통한 피해 저감 방안 제시.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11(4):3-11.
  7. 우충식, 윤호중, 이창우, 정용호. 2008.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영향인자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14-22.
  8.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 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9. 윤희천, 박준규. 2007. LiDAR에 의한 3차원 GIS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71-182.
  10. 이승기, 이병두, 정주상.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81-90.
  11. 조남춘, 최철웅, 전성우, 한경수. 2006.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54-66.
  12. 채병곤, 송영석, 서용석, 조용찬, 김원영. 2006. 모형실험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및 사태물질 거동특성 실험. 대한지질공학회지 16(3):275-282.
  13. Du, J.C. and H.C. Teng. 2007. 3D laser scanning and GPS technology for landslide earthwork volume estim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6:657-663. https://doi.org/10.1016/j.autcon.2006.11.002
  14. Glenn, N.F., D.R. Streutker, D.J. Chadwick, G.D. Thackray and S.J. Dorsch. 2006. Aan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73:131-148.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7.006
  15. Kasai, M., M. Ikeda, T, Asahina and K. Fujisawa.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113:57-6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9.06.004
  16. Lan, H., C.D. Martin, C. Zhou and C.H. Lim. 2010. Rockfall hazard analysis using LiDAR and spatial modeling. Geomorphology 118:213-223. https://doi.org/10.1016/j.geomorph.2010.01.002

Cited by

  1. 항공라이다 DEM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 일원의 GIS 기반의 토석류 발생가능성 분석 vol.13, pp.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4.050
  2. 제천지역 토석류의 2차원 수치해석 vol.15, pp.6, 2010,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6.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