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Analysis of Eulsukdo Wetland Using Qualitative Multi-temporal Image Data

다중시기 영상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습지 지역의 정성적 변화분석

  • Lee, Jae-One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 Kim, Yong-Suk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 We, Gwang-Jae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GKYUNKAN University)
  • 이재원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용석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위광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0.04.20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research collected some multi-image inform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Eulsukdo area in last 30 years, which ar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in run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opography relief's deformation. First, to obtain the data, this research carried out a field survey and GCP measurement, then classified and collected the image information by analog and digital image. The acquired images which have passed a high-precise scan process and geometric correction is manufactured by Ortho Mosaic image, then divided them into 9 sections time period classification before we run a qualitative analysis. In late of 1980's there are many changes of environmental topography deformation of the Eulsukdo area which caused by large scale building constructions, appeared to be known through this research. And then in late of 1990's, we organized the wild cultivated lands, started the wetland restoration of the artificial ecology, in 2000's we are able to know the existence of topograph relief change which caused by big scale of bridge construction. Hereafter, in this quick process of the environmental and topographical change of this area caused by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expected to be something applicable as important basic data.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을숙도 지역에 대하여 지난 30년간의 다중시기 영상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형변화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자료 획득을 위하여 현지조사 및 지상기준점 측량을 실시하였고, 영상정보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영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취득된 영상은 고정밀 스캔과정과 기하보정을 거쳐 정사 모자이크 영상으로 제작하였으며, 시기별 총9단계로 구분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을숙도 지역의 환경적 지형변화는 1980년 중후반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무분별한 경작지들을 정리하고 인공생태 습지 복원을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대규모 교량 공사로 인한 지형의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이 지역의 지형적, 환경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곽재하, 박기태. 1993. 항공사진의 지형 공간정보 자료기반에 의한 자연환경변화의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2(2): 159-166.
  2. 김감래, 김재연. 2003. 항공사진 영상과 위성영상간의 지형지물 비교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1(1):1-7.
  3. 박근애. 2004.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0-143쪽.
  4. 박수영, 윤성윤, 이기철, 김귀곤, 배덕효, 김형수, 경남발전연구원. 2000. 습지학 원론: 한국의늪. 은혜기획. 55-74쪽.
  5. 반용부. 2009.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 지형변화.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452-455쪽.
  6. 부산발전연구원. 2008.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7.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한국제사기학회지 13(1):67-78.
  8. 유목모, 토니쉥크. 2003. 현대 디지털사진측량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93-144쪽.
  9. 이재원, 김용석. 2007. RTK-GPS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량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5(3):191-198.
  10. 환경부. 2005. 하구역생태계 정밀조사. 국립환경연구원. 45-72쪽.
  11. Barrette, J., P. August and F. Golet. 2000. Accuracy Assessment of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Digital Orthophoto graphy. PE&RS 66(4):409-416.

Cited by

  1. 항공영상을 이용한 을숙도 지형의 정량적 변화 분석 vol.29, pp.5,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1.29.5.527
  2. Terra/Aqua MODIS LST를 이용한 폭염 및 한파기간 동안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 분석 vol.21, pp.no.spc, 2010, https://doi.org/10.17663/jwr.2019.21.s-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