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riations in Childcare Style and Work-Family Conflict Related to Extended Working Hours: Focusing on Employed Mothers of Preschoolers or Elementary-School Children

연장근로에 따른 아동돌봄 형태와 일 가족 갈등: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를 중심으로

  • 성혜영 (한국사회서비스관리원 연구기획팀)
  • Received : 2010.06.09
  • Accepted : 2010.09.02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mployed mothers' extended working hours have effects on childcare style and work-family conflicts. The data came from the 2007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KLoWF)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475 females with preschoolers or elementary-school childre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ekly average working hours varied by education, salary, and the presence of preschoolers. (2) The time of childcar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mothers who work more than 50 hours/week (3) Mothers who worked more than 50 hours/week felt significantly high work-family conflict. These analyses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obeying the law related to working hou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stain work-family balance. Institutional foundations should be enabled to keep legal working hours.

Keywords

References

  1. 김혜경, 류왕효(2006). 시간연장 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07-225.
  2. 노동부(각년도). 사업체임금근로시간조사
  3. 대한민국정부(2006).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서울: 보건복지부.
  4. 박성옥, 김정훈(1995) 취업모의 가정생활과 일의 균형을 위한 방안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3(4), 13-25.
  5. 백선희, 조성우(2005) 미취학 자녀의 보육.교육비 지출수준과 결정요인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 429-455.
  6. 보건복지부(2009). 아동권리협약과 함께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 서울: 보건복지부.
  7. 삼성경제연구소(2008). 장시간 근로실태와 개선방안 -제조업을 중심으로-.
  8. 오선영, 이숙(2002). 초등학교 저학년 취업모 자녀의 방과후 보호형태와 어머니의 애정 및 감독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대한가정학회 2002년 제55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논문집, 92-93.
  9. 윤혜리(1996). 취업주부의 시간관리 전략과 심리적 복지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기영, 구혜령(1992).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 갈등과 갈등 대처 전략.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99-112.
  11. 이세인(2006). 취업모의 일-가족갈등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희정, 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6). 25-41.
  13. 장영인(2009). 보육재정 지원방식으로서의 보육바우처의 재조명: 아동권리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189-217.
  14. 조영주, 이숙현(1998).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 수준과 시회적 지원 변인. 생활과학논집, 12, 94-103.
  15. 조은숙, 옥선화(1998). 비전문직 취업모의 역할긴장에 대한 대처행동 및 관련변수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55-71.
  16. 진서영(2007) 기업의 가족친화 제도가 기혼직장인의 직장- 가정간 갈등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최연화, 조복희(2007).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 한국보육지원학회, 3(1), 1-15.
  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9).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 정책이용실태 및 일가족양립현실.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9. 한유미(2009). 보육바우처 도입의 과제: 미국과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3(1), 33-56.
  20. 허혜옥(2007). 일.가정 갈등과 노동시간 선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황혜경, 정미미(2008). 강원도 보육시설에 대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이용실태, 만족도,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 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99-218.
  22. 통계청(2006). 2005년 출생.사망 통계결과. 대전: 통계청.
  23. 통계청(2009). 사회조사보고서. 대전: 통계청.
  24. 연합뉴스(2010. 03. 05). 후진적 야근문화 언제 바뀌나.
  25.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2007), Children's Plan. UK.
  26. OECD. Stat Extracts. http://stats.oecd.org
  27. 厚生勞動省(1994). 今後の子育て支援のために施策の 基本的方向について
  28. 厚生勞動省(2002). 少子化策プラスワン
  29. 厚生勞動省(2004). 子ども.子育て応援プラン
  30. 厚生勞動省(2010). 子ども.子育てビジョン
  31. 山口一男(2010). ワ-クライフバランス実証と政策提言. 東京: 日本經濟新聞出版社. 일과 가정의 양립과 저출산. 이충남(역).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년 원저발간)

Cited by

  1. Effects of Gains and Strains of Work-Family and Work-Parenting on Married Office Worker’s Self-Esteem vol.27, pp.5, 2018, https://doi.org/10.5934/kjhe.2018.27.5.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