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evance of the Area of Home Economic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Green Growth Education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가정생활영역에서의 녹색성장교육 관련성 탐색

  • Park, Mi-Jeo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9.06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lucidate the relevance of the area of home economic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green growth education, finding applicable cases of green growth education content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iven this base, we performed a survey with people who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how green growth education related to their education. We studied applied cases and performed a survey by open-ended questions that extracts the green growth education content. In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o far, we have concluded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s much related to green growth education, and that with a change of people's conceptions when relating school life to household life, home economics can be a very useful subject that can lead to the practice of the green growth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돌(2006). 희망의 대안은 녹색 경제다. 환경과 생명, 50호, 182-196.
  2. 강지영(2007). 지속가능발전이슈에 대한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007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29.
  3. 고선강(2009). 녹색생활혁명과 가정 토론문. 제3차 가족정책 포럼집, 62-64.
  4. 고철환(2007). 지속가능발전의 이해,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21.
  5. 그린스타트. http://www.greenstart.kr
  6. 김영순(1997). 중학생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가정과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인숙(200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에너지 정책, 사회연구, 2003-2, 79-99.
  8. 김정희, 박경숙(2003).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환경관련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개발과 활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3), 59-73.
  9. 녹색성장위원회(2009). 녹색성장교육 활성화 방안. 2009.8.24.
  10.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 저, 환경운동연합 역(2008). 뜨거운 지구에서 살아남는 유쾌한 생활습관 77. 서울: 추수밭 (청림출판).
  11. 민현선, 이기춘(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와 소비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2), 29-44.
  12. 박영옥(1998). 여고생의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운아, 이기춘(1997).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관련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5). 221-238.
  14. 박희정(2009). 환경친화적 주생활 교육을 위한 쟁점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배순영(2009). 녹색생활혁명과 가정, 제3차 가족정책 포럼집, 1-59.
  16. 우정애, 남영숙(2007). 학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평가,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0-134.
  17. 이선희, 조재순(2005). ICT를 활용한 환경친화적 주거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광주광역시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지, 17(4), 101-115.
  18. 이옥순, 김영남(2005). 중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및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49-60.
  19. 이홍균(2005). 현대 사회 딜레마의 해법, 녹색 진보. 환경과생명, 44, 190-202.
  20. 장윤옥, 박수경(2004). 청소년의 환경교육경험과 또래집단이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11), 151-165.
  21. 정미경(2004). 의생활자원 관점에서의 실과(기술.가정)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3), 131-146.
  22. 정영근, 장민수(2007).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논의 전개, 한국동서경제연구, 19(1), 143-164.
  23. 정현희(1997). 가정교과과정에서의 환경교육실태 및 학생의 환경보전행동 연구-경기도 시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조윤아(2000). 중학생들의 환경친화적 의식 및 교육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차성란(2009). 녹색생활혁명과 가정 토론문. 제3차 가족정책 포럼집, 85-90.
  26. 차정은(2000).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최은지, 최돈형(2005).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환경보전시범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48-151.
  28. 황현정, 이연숙(2003). 환경친화적 소비자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요구도 및 관련변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3), 45-57.
  29. Brown, M. M.(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hington D.C. :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Cited by

  1. 가정교과에서의 생활환경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vol.33, pp.1, 2010, https://doi.org/10.19031/jkheea.2021.3.33.1.37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vol.33, pp.2, 2021, https://doi.org/10.19031/jkheea.2021.6.33.2.115